건강모아

반려인 절반, '콩고기 사료' 먹일 생각 있다

 자신의 반려동물에게 고기가 아닌 다른 사료를 급여하는 것에 대한 반려인들의 인식이 생각보다 훨씬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그리피스대 연구팀이 전 세계 반려인 4,0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역대 최대 규모의 설문 조사 결과, 현재 육류 기반 사료를 먹이는 보호자 중 상당수가 환경과 동물 윤리를 고려한 ‘지속 가능한 대안 사료’로 전환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반려견 보호자의 43%, 반려묘 보호자의 51%가 콩고기나 배양육 같은 새로운 형태의 사료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혀,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만큼, 그들의 먹거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려는 성숙한 인식이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보호자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인 대안 사료는 단연 ‘배양육’이었다. 배양육은 가축을 도축하는 대신 동물의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만든 고기로, 실제 고기와 성분은 동일하면서도 가축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온실가스나 토지 사용 같은 환경 문제를 줄일 수 있는 미래 기술로 주목받는다. 반려견 보호자들은 배양육(24%)을 채식(17%)이나 비건(13%) 사료보다 선호했으며, 육식 성향이 더 강한 고양이의 보호자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려묘 보호자의 33%가 배양육을 1순위로 꼽아, 식물성 단백질보다는 실제 고기의 풍미와 영양을 그대로 간직한 배양육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반려인들이 대안 사료를 선택하는 데에는 명확한 전제 조건이 따른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보호자의 80% 이상은 사료를 바꿀 때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영양학적 안전성’과 ‘반려동물의 건강’을 꼽았다. 아무리 환경에 좋고 윤리적인 사료라 할지라도, 반려동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가 균형 있게 포함되어 있고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는 과학적인 확신이 없다면 섣불리 급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보호자들이 새로운 변화에 개방적이면서도, 동시에 반려동물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책임감 있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대안 사료 시장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영양학적 완전성을 입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될 전망이다.

 

한편, 이번 조사를 통해 보호자의 특성에 따라서도 대안 사료에 대한 수용도에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보호자 자신이 채식을 하거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반려동물에게 대안 사료를 먹이는 데 더욱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 연령대가 높거나 영국에 거주하는 보호자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연구를 이끈 앤드류 나이트 교수는 “전체 육류 소비에서 개와 고양이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다”고 지적하며, “식물성 재료나 배양육을 활용한 사료는 환경 파괴를 줄이고 동물 윤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대체 미국에서 무슨 일이?…오타니 아내, 출산 후 가족과 '사실상 단절' 상태

 '슈퍼스타' 오타니 쇼헤이를 둘러싼 열기가 그의 아내 다나카 마미코에게로 옮겨붙고 있다. 오타니의 야구 실력만큼이나 그의 사생활, 특히 아내의 근황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폭발적인 가운데, 일본의 한 매체가 그녀가 출산 후 가족과도 만나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며 일본 사회에 또 다른 화두를 던졌다. 모든 이야기의 시작은 오타니가 내년 3월 열리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출전을 깜짝 발표하면서부터였다.오타니는 지난 25일, 자신의 SNS를 통해 "다시 일본 대표 선수로 뛸 수 있어 자랑스럽고 기쁜 마음"이라며 WBC 출전 의사를 공식화했다. 이는 다가오는 시즌에 투타 겸업을 완벽하게 소화하기 위해 컨디션을 조절해야 하는 만큼, 그가 WBC에 불참할 것이라는 대다수의 예상을 뒤엎는 파격적인 선택이었다. 일본 야구계가 그의 대표팀 합류 소식에 들썩이는 한편, 대중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새로운 포인트로 향했다. 바로 그의 아내 마미코가 이번 기회에 출산 후 처음으로 일본 땅을 밟게 될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다.일본 매체 '포스트 세븐'에 따르면, 마미코는 결혼 발표 이후 단 한 번도 일본에 귀국하지 않았다. 작년 도쿄돔에서 열렸던 소속팀의 개막 시리즈 역시 출산 시기와 겹치면서 LA에 머물렀던 것으로 확인됐다. 매체는 그녀가 현지 스태프나 다른 선수들과 대화하는 모습이 거의 포착되지 않았고, 오타니가 공개 석상에서 통역을 해주는 모습으로 미루어 볼 때 아직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오타니의 WBC 참가 일정은, 부부가 오랜만에 일본에서 마음 편히 모국어로 대화를 나누고 가족과 함께할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특히 매체는 마미코의 지인이라고 밝힌 익명의 인물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녀의 구체적인 상황을 전하며 안타까움을 더했다. 이 지인은 "마미코는 조부모님까지 포함해 가족 관계가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미국과 일본의 물리적 거리 때문에 가족과 직접 만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출산 전후로 마미코의 어머니가 잠시 LA로 건너와 도움을 주기는 했지만, 조부모님과는 영상 통화로만 안부를 주고받았을 뿐, 아직 갓 태어난 증손주를 직접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심지어 "오타니까지 포함된 가족 단체 대화방에서 소통하고 있지만, 마미코는 출산 후 친오빠와도 아직 만나지 못했다"는 충격적인 주장까지 제기됐다. 오타니의 WBC 출전이라는 스포츠 뉴스가 그의 아내를 둘러싼 애틋한 가족사로 번지며 일본 열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