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결국 무대엔 못 섰다…투병 최불암, 소년원 아이들에게 전한 마지막 당부

 배우 최불암이 10년 넘게 이어온 소년 수형자들을 위한 특별한 무대가 올해도 어김없이 막을 올렸다. 사단법인 제로캠프의 이사장인 그는 20일 경북 김천소년교도소에서 열리는 창작 뮤지컬 ‘夢(몽)’에 출연하는 소년수들을 향해 "인간이 이루지 못할 일은 없다"는 묵직한 격려를 전했다. 이 공연은 지난 2013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13번째를 맞는 의미 깊은 행사로, 차가운 담장 안에 갇힌 소년들의 마음에 예술을 통한 변화의 씨앗을 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로캠프는 2012년, 한 독지가가 소년 수형자들의 새 출발을 위해 쾌척한 30억 원의 기부금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배우 최불암의 굳건한 신념이 자리하고 있다.

 

최불암 이사장은 문화예술이야말로 인간의 내면을 순화하고 잠재된 선한 의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는 믿음 아래 단체를 설립하고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묵묵히 이끌어왔다. 그는 "아무리 제멋대로인 사람이라도 연극이라는 틀 안에 들어오면 약속을 지키고, 대본을 읽고, 스스로를 돌아보게 된다"고 강조하며 예술이 가진 교육적, 교화적 힘을 역설해왔다. 단순히 이름만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사재까지 보태가며 단체의 운영을 도맡아 온 그는, 사회의 그늘에 가려진 소년 수형자 한 명 한 명을 따뜻한 시선으로 보듬으며 이들의 진정한 변화와 사회 복귀를 위해 깊은 애정을 쏟아부었다.

 


이번에 13번째로 무대에 오르는 창작 뮤지컬 ‘夢(몽)’은 제목 그대로 소년 수형자들의 새로운 시작과 희망에 대한 염원을 담아낸 작품이다. 연출을 맡은 추미정 연출가는 "이것은 단순히 한 편의 공연을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교정시설의 아이들이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어 표현하고 세상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과정 그 자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무대를 통해 아이들이 과거의 자신을 반성하고, 타인과 세상을 이해하며, 앞으로 나아갈 용기를 얻기를 바란다는 소망을 밝혔다. 김천소년교도소의 이일환 소장 역시 "이번 공연이 수형자들이 피해자의 아픔을 공감하고 깊이 반성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함께 땀 흘린 경험이 이들의 남은 인생에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전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올해 공연에는 아이들이 그토록 기다렸을 최불암 이사장이 함께하지 못했다. 그의 뜻에 깊이 공감하여 이번 공연을 후원한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의 여승수 사무총장은 "최불암 배우님은 저희 재단 전국후원회 회장으로 40년 넘게 봉사해오셨다"고 오랜 인연을 밝히며, "현재 건강 문제로 투병 중이시라 아쉽게도 이번 공연에는 참석하지 못하신다"고 전했다. 여 총장은 "투병 중에도 아이들의 공연을 세심하게 챙기시는 모습에 가슴이 뭉클했다"고 덧붙였다. 비록 몸은 함께하지 못했지만, 최 이사장은 "예술을 바라보는 사람은 행복합니다. 아이들이 무대에서 깨달은 그 행복을 주머니 속에 소중히 넣고, 앞으로의 바쁜 인생길을 씩씩하게 걸어가길 바랍니다"라는 따뜻한 당부의 말을 전하며 아이들의 새로운 꿈을 멀리서나마 응원했다.

 

'스스로 희생양 코스프레'…추경호 체포동의안 가결, 민주당의 '사필귀정' 선언

 더불어민주당은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것을 두고 '사필귀정(事必歸正)'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민주당은 이번 가결이 헌정사상 초유의 사태였던 '12·3 불법 비상계엄' 당시, 계엄 해제 의결을 조직적으로 방해하고 사실상 내란에 동조한 혐의를 받는 추 의원에 대해 국회가 내린 지극히 당연한 결단이라고 평가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공식화하며, 추 의원을 향해 더 이상 변명으로 일관하지 말고 사법부의 공정한 심판을 통해 혐의를 소명하라고 촉구했다.민주당은 추 의원이 표결 직전 신상발언을 통해 '영장을 창작했다', '보수 정당의 맥을 끊으려는 내란몰이 정치 공작'이라며 자신을 '정치 탄압의 희생양'으로 포장하려 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불법계엄이 선포된 당일, 추 의원이 국회의장의 본회의장 집결 지시를 따르기는커녕 오히려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며 소속 의원들의 동선을 혼란에 빠뜨렸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당시 본회의장에 이미 들어가 있던 의원들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밖으로 나오게 했다는 구체적인 의혹까지 제기하며, 그의 해명이 사실과 다르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특히 민주당은 '표결 불참을 권유한 적 없다'는 추 의원의 주장을 핵심을 비껴가는 교묘한 '말장난'으로 규정했다. 중요한 것은 불참 권유 여부가 아니라, 국가의 운명이 걸린 그 중차대한 순간에 왜 본회의장으로 뛰어 들어가 계엄 해제를 위해 싸우지 않고 오히려 의원들의 진입을 막는 듯한 행보를 보였는지 해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추 의원이 억울한 듯 말하는 그 '아무것도 하지 않은 행위'야말로 내란에 동조했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이며, 국민 역시 이를 명확히 인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실상의 '부작위'를 통한 내란 동조 혐의를 정면으로 겨눈 셈이다.결국 국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총투표수 180표 중 찬성 172표, 반대 4표, 기권 2표, 무효 2표라는 압도적인 표차로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을 통과시켰다. 민주당은 이제 추 의원이 국회의원 특권과 변명 뒤에 더 이상 숨지 말고, 사법부의 심판대에 올라 자신의 혐의에 대해 성실히 소명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또한 그것만이 국민에게 사죄하는 유일한 길임을 분명히 하며, 향후 불법 비상계엄 사태의 진실을 낱낱이 규명하고 모든 책임자에게 그 책임을 묻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