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작년 40만원도 비쌌는데…'역대급' 가격표 붙이고 등장한 연말 한정판 호텔 케이크

 연말 시즌이 다가오면서 호텔업계의 ‘프리미엄 케이크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 선두에 선 서울신라호텔은 올해도 역대급 라인업을 공개하며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특히 작년 블랙 트러플 케이크를 넘어, 올해는 세계 3대 진미 중에서도 희소성이 높은 100% 자연산 화이트 트러플을 주재료로 내세운 ‘더 파이니스트 럭셔리’를 선보이며 고급화 전략의 정점을 찍었다. 연말의 특별한 순간을 위해 기꺼이 지갑을 여는 ‘스몰 럭셔리’ 소비 트렌드를 정조준한 것으로, 단순한 디저트를 넘어 하나의 예술 작품에 가까운 케이크를 통해 최고의 미식 경험을 선사하겠다는 포부다.

 

이번에 공개된 라인업 중 단연 화제가 되는 것은 50만원이라는 역대급 가격표를 달고 나온 ‘더 파이니스트 럭셔리’ 케이크다. 이는 지난해 40만원에 판매됐던 블랙 트러플 케이크 ‘더 테이스트 오브 럭셔리’보다 10만원이나 인상된 가격으로, 최고급 식재료에 대한 호텔의 자신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가격뿐만 아니라 희소성도 극대화했다. 제철을 맞은 최상급 화이트 트러플의 수급 문제와 까다로운 제작 과정을 고려해 하루 최대 3개만 한정 판매한다. 케이크 하나를 완성하는 데 최대 7일이 소요되는 정교한 수작업을 거치며, 상단에는 화이트 트러플을 형상화한 초콜릿 장식과 예술적인 초콜릿 아트워크를 올려 시각적인 화려함까지 더했다.

 


물론 모든 고객을 최고가 라인업만으로 공략하는 것은 아니다. 35만원에 출시된 ‘더 조이풀 신라베어’는 호텔의 대표 캐릭터인 신라베어를 귀여운 모양으로 구현해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한다. 특히 이 케이크는 치즈, 밀크 및 다크 초콜릿, 산딸기 크림 등 6가지 다채로운 맛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해 여러 사람의 입맛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 파티용으로 제격이다. 이 역시 하루 7개만 한정 판매하여 프리미엄의 가치를 유지했다. 이와 함께,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신라호텔의 연말 분위기를 즐기고 싶은 고객들을 위해 10만원대의 실속형 케이크 3종도 함께 준비했다. 트러플의 풍미를 담은 ‘누아 트러플 미니’, 크리스마스 트리 모양의 ‘화이트 홀리데이’, 매혹적인 붉은색의 ‘루미너스 레드’가 그 주인공이다.

 

이러한 서울신라호텔의 홀리데이 케이크 전략은 미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단순한 맛을 넘어 경험과 가치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호텔 관계자는 대표적인 럭셔리 케이크를 한층 더 고급화하여 선보이게 된 배경을 설명하며, 특별한 날을 기념하기 위한 소비자들의 수요에 부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올해 홀리데이 스페셜 케이크는 전량 사전 예약제로만 판매되며, 오는 17일부터 호텔 공식 홈페이지 또는 유선을 통해 예약 전쟁에 돌입한다. 최고급 미식의 정점을 맛보려는 이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내년엔 '계산이 서는 선수'가 되겠다"…FA 폭풍 속에서 살아남은 그가 밝힌 진짜 목표

 올 시즌을 앞두고 주전 유격수였던 이도윤(29·한화 이글스)에게는 날벼락 같은 소식이 연이어 들려왔다. 구단이 센터라인 강화를 명분으로 KBO리그 최고의 수비력을 자랑하는 심우준을 4년 총액 50억 원이라는 거액에 영입한 데 이어, 팀을 떠날 것으로 보였던 FA 유격수 하주석마저 잔류 계약을 맺었기 때문이다. 한순간에 자신의 입지가 위태로워진 상황이었지만, 그는 "달라질 건 없다"며 묵묵히 경쟁자의 마음으로 새 시즌을 준비했다. 벤치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도 더그아웃에서 가장 먼저 파이팅을 외쳤고, 언제 찾아올지 모를 출전 기회에 대비해 100%의 역량을 쏟아낼 수 있도록 묵묵히 땀을 흘렸다.그의 땀은 배신하지 않았다. 김경문 감독은 묵묵히 제 역할을 다해준 이도윤에게 생애 첫 올스타전 출전이라는 값진 선물을 안겼고, 시즌 내내 그를 핵심 전력으로 활용했다. 심우준 영입 당시 "이도윤을 어떻게 기용할지 구상이 있다"고 밝혔던 김 감독의 말처럼, 그는 유격수와 2루수를 오가는 멀티 플레이어로서 팀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올 시즌 단 한 번의 1군 엔트리 말소 없이 113경기에 출전해 타율 2할 6푼 1홈런이라는 준수한 성적을 남겼고, 한화가 정규시즌 2위를 차지하고 19년 만에 한국시리즈 무대를 밟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올해는 유독 길었던 것 같다"는 그의 말처럼, 이도윤에게 2025년은 잊을 수 없는 한 해였다. 생애 처음으로 경험한 가을야구는 그에게 더 큰 아쉬움과 동기부여를 남겼다. 그는 "가을야구는 단기전이라 작은 것 하나가 엄청나게 크게 느껴졌다"며, "한 점을 내야 할 때 내지 못하거나, 주지 말아야 할 점수를 내주면 그 한 번 때문에 경기가 뒤집히는 게 아쉬웠다"고 곱씹었다. 비록 한국시리즈에서 LG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그는 "많이 아쉽고 분하면서도 한편으로는 LG라는 팀의 야구에 감탄했다"고 솔직하게 털어놨다. "인정하기 싫었지만, 인정해야만 했다"는 그의 말에서 챔피언에 대한 존중과 더 높은 곳을 향한 갈망이 동시에 묻어났다.치열했던 시즌이 끝났지만, 그는 곧바로 마무리캠프에 합류해 주장 완장을 차고 다음 시즌을 준비하고 있다. 그는 "사실 경기에 못 나가고 팀이 지면, 내가 못해서 지는 것보다 더 분한 마음이 크다"며 주전 경쟁의 어려움 속에서도 버틸 수 있었던 원동력을 밝혔다. 한 번 찾아오는 기회를 잡기 위해 수없이 연습했고, 그 노력이 결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제 그의 목표는 더욱 명확해졌다. "내년에는 '계산이 서는 선수'가 되고 싶다"는 것이 그의 다짐이다. 단순히 개인 성적을 넘어, "저 선수가 나가면 됐다"는 믿음을 주는 선수, 팀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는 선수가 되겠다는 그의 시선은 벌써부터 더 뜨거워질 2026시즌을 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