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올해 서점가 뒤흔들 '괴물 신인'의 등장...역대 최다 경쟁 뚫고 김수영문학상 거머쥔 나하늘

 올해 한국 시단에 가장 빛나는 별이 될 이름으로 나하늘(33) 시인이 호명되었다. 출판사 민음사는 제44회 김수영문학상 수상자로 나하늘 시인을 선정했다고 17일 공식 발표했다. 올해 김수영문학상은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관심을 증명하듯 역대 최다 인원인 350명의 시인이 자신의 작품을 투고하며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수많은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당선된 나하늘 시인의 수상작은 ‘사라지기’ 외 50편의 시로, 곧 한 권의 시집으로 묶여 독자들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 이번 수상은 한국 문학의 미래를 이끌어갈 새로운 목소리의 등장을 알리는 의미 있는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심사위원단은 나하늘 시인의 작품 세계에 대해 아낌없는 찬사를 보냈다. 이들은 수상작에 대해 “지금-현재라는 동시대적 감각을 날카롭게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그것에 매몰되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정교하게 구축해내는 건축술이 매우 능하다”고 평가하며, 시인이 가진 독보적인 개성과 완성도 높은 기량에 주목했다. 특히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문학평론가 조강석 연세대 국문과 교수는 “시적 대상과 사태를 정확하게 움켜쥐면서도 과도하게 힘을 주어 억지 감동을 자아내지 않는다”고 언급하며, “오히려 자신만의 고유한 직관과 사유를 마치 가볍게 부풀려 풍선처럼 띄워 보내는 듯한 기량이 경이로울 정도로 빼어나다”고 극찬을 더했다. 이는 나 시인의 시가 힘을 뺀 듯 자연스러우면서도 얼마나 깊은 사유와 정교한 기술을 담고 있는지를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이번 수상으로 문단의 중심에 서게 된 나하늘 시인은 오랫동안 묵묵히 자신만의 문학 세계를 다져온 실력파다. 서강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치는 등 탄탄한 학문적 기반을 쌓았으며, 특히 2017년에는 독립문예지 ‘베개’의 창간 멤버로 활동하며 제도권 밖에서도 문학에 대한 순수한 열정과 실험 정신을 보여준 바 있다. 이는 시인이 주류 문단에 편입되기 이전부터 이미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해 온 문학적 동지들과 함께 호흡해왔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끈질긴 노력과 시간들이 쌓여 마침내 김수영문학상이라는 큰 결실을 맺게 된 것이다.

 

제44회 김수영문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은 나하늘 시인에게는 상금으로 선인세 1000만 원이 주어지며, 문학계의 가장 큰 기대를 모으고 있는 수상 시집은 올해 안에 민음사를 통해 정식 출간될 예정이다. 벌써부터 서점가에서는 새로운 스타 시인의 탄생을 예고하며 그의 첫 시집에 대한 독자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수상의 기쁨을 담은 나 시인의 소감과 심사위원들의 더욱 상세하고 깊이 있는 심사평 전문은 다음 달 발간되는 문예지 ‘릿터’를 통해 독자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한 젊은 시인이 펼쳐 보일 ‘사라지기’의 시학이 한국 문단에 어떤 새로운 파장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

 

"내년엔 '계산이 서는 선수'가 되겠다"…FA 폭풍 속에서 살아남은 그가 밝힌 진짜 목표

 올 시즌을 앞두고 주전 유격수였던 이도윤(29·한화 이글스)에게는 날벼락 같은 소식이 연이어 들려왔다. 구단이 센터라인 강화를 명분으로 KBO리그 최고의 수비력을 자랑하는 심우준을 4년 총액 50억 원이라는 거액에 영입한 데 이어, 팀을 떠날 것으로 보였던 FA 유격수 하주석마저 잔류 계약을 맺었기 때문이다. 한순간에 자신의 입지가 위태로워진 상황이었지만, 그는 "달라질 건 없다"며 묵묵히 경쟁자의 마음으로 새 시즌을 준비했다. 벤치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도 더그아웃에서 가장 먼저 파이팅을 외쳤고, 언제 찾아올지 모를 출전 기회에 대비해 100%의 역량을 쏟아낼 수 있도록 묵묵히 땀을 흘렸다.그의 땀은 배신하지 않았다. 김경문 감독은 묵묵히 제 역할을 다해준 이도윤에게 생애 첫 올스타전 출전이라는 값진 선물을 안겼고, 시즌 내내 그를 핵심 전력으로 활용했다. 심우준 영입 당시 "이도윤을 어떻게 기용할지 구상이 있다"고 밝혔던 김 감독의 말처럼, 그는 유격수와 2루수를 오가는 멀티 플레이어로서 팀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올 시즌 단 한 번의 1군 엔트리 말소 없이 113경기에 출전해 타율 2할 6푼 1홈런이라는 준수한 성적을 남겼고, 한화가 정규시즌 2위를 차지하고 19년 만에 한국시리즈 무대를 밟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올해는 유독 길었던 것 같다"는 그의 말처럼, 이도윤에게 2025년은 잊을 수 없는 한 해였다. 생애 처음으로 경험한 가을야구는 그에게 더 큰 아쉬움과 동기부여를 남겼다. 그는 "가을야구는 단기전이라 작은 것 하나가 엄청나게 크게 느껴졌다"며, "한 점을 내야 할 때 내지 못하거나, 주지 말아야 할 점수를 내주면 그 한 번 때문에 경기가 뒤집히는 게 아쉬웠다"고 곱씹었다. 비록 한국시리즈에서 LG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그는 "많이 아쉽고 분하면서도 한편으로는 LG라는 팀의 야구에 감탄했다"고 솔직하게 털어놨다. "인정하기 싫었지만, 인정해야만 했다"는 그의 말에서 챔피언에 대한 존중과 더 높은 곳을 향한 갈망이 동시에 묻어났다.치열했던 시즌이 끝났지만, 그는 곧바로 마무리캠프에 합류해 주장 완장을 차고 다음 시즌을 준비하고 있다. 그는 "사실 경기에 못 나가고 팀이 지면, 내가 못해서 지는 것보다 더 분한 마음이 크다"며 주전 경쟁의 어려움 속에서도 버틸 수 있었던 원동력을 밝혔다. 한 번 찾아오는 기회를 잡기 위해 수없이 연습했고, 그 노력이 결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제 그의 목표는 더욱 명확해졌다. "내년에는 '계산이 서는 선수'가 되고 싶다"는 것이 그의 다짐이다. 단순히 개인 성적을 넘어, "저 선수가 나가면 됐다"는 믿음을 주는 선수, 팀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는 선수가 되겠다는 그의 시선은 벌써부터 더 뜨거워질 2026시즌을 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