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맥도날드 가도 못 먹는다?” 미국서 저소득층 ‘소비 절벽’ 현실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치솟는 가운데, 최근 미국에서는 관세 영향까지 겹치며 소비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6일 로스앤젤레스(LA)타임스는 맥도날드, 델타항공, 주요 호텔 체인의 매출 실적과 연체율 자료를 분석해 미국 내 소비 동향의 변화를 조명했다. 분석 결과,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소비 패턴 차이가 갈수록 커지면서 양극화가 구조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의 매장 방문과 여행·숙박 이용이 줄어드는 반면, 고소득층의 소비는 오히려 증가하는 모습이 확인됐다.

 

맥도날드의 2분기 실적이 소비 양극화 논란을 촉발했다. 맥도날드 2분기 매출은 68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 증가했지만, 주 고객층인 저소득층의 매장 방문은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반대로 고소득층 방문은 늘었고, 중산층 고객의 방문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이러한 현상은 메뉴 가격 인상과 무관치 않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맥도날드 메뉴 평균 가격은 약 40% 상승했다. 빅맥의 평균 가격은 4.39달러에서 5.29달러로, 10조각 맥너겟 세트 가격은 7.19달러에서 9.19달러로 뛰었다. 팬데믹으로 풀린 유동성이 물가를 밀어 올린 상황에서 관세 정책까지 겹치며 저소득층의 구매력은 크게 위축됐다.

 


저소득층의 구매력이 감소한 또 다른 이유는 높은 금리와 주거비 부담이다. 신용점수 모델링 업체 밴티지스코어의 분석에 따르면, 연소득 4만5000달러 미만 가구의 60일 이상 연체율은 팬데믹 이후 급증했고 2022년 이후에도 하락하지 않았다. 또한 2023년 연 소득 3만 달러 미만 임차 가구의 주거비를 제외한 잔여 소득 중앙값은 월 250달러에 불과해, 2001년보다 55%나 감소했다. 높은 주거비와 금리로 인해 쪼그라든 저소득층의 구매력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고소득층의 소비와 대조를 이루면서 양극화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항공과 숙박 업계에서도 비슷한 양극화가 나타났다. 델타항공의 2분기 일반석 매출은 전년 대비 5% 감소했지만, 프리미엄 좌석 판매는 같은 기간 5% 증가했다. 포시즌스, 리츠칼튼 등 고급 호텔 브랜드의 올해 매출은 최근까지 2.9% 늘어난 반면, 저가 호텔 매출은 3.1% 줄었다. 전반적으로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프리미엄 서비스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저소득층 소비는 위축된 상태를 이어가면서 미국 내 소비 양극화가 점점 구조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너무 잔혹" 생계 위해 나선 60대 가장, 만취 승객 '차량 매달기'에 참변

 생계를 위해 늦은 밤 대리운전 길에 나섰던 60대 기사가 만취한 승객의 폭행과 잔혹한 운전으로 인해 목숨을 잃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단순 음주운전 사고를 넘어 살인에 가까운 행위로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가운데, 유족들은 "어떻게 사람을 1.5km나 매달고 갈 수 있느냐"며 참담한 심경을 토로했다.대전유성경찰서는 60대 대리운전 기사를 1.5km가량 차량에 매달고 끌고 가 숨지게 한 혐의로 30대 남성 A씨를 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겼다고 26일 밝혔다. A씨에게는 살인과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운전자 폭행치사 혐의가 적용됐다. 이는 단순 교통사고가 아닌, 고의성이 의심되는 잔혹한 범죄로 보고 엄중하게 수사한 결과다.사건은 지난 14일 오전 1시 15분께 대전 유성구 관평동 인근 도로에서 벌어졌다. A씨는 회사 동료들과 술을 마신 뒤 대리운전 기사 B씨(60대)를 불러 충북 청주로 향하던 중이었다. 목적지로 향하던 도중, 만취 상태였던 A씨는 갑자기 B씨에게 욕설을 퍼붓고 폭행을 가하기 시작했다.A씨는 운전대를 빼앗겠다며 B씨를 운전석 밖으로 밀쳐냈다. 이 과정에서 B씨는 안전벨트조차 풀지 못한 채 차량 문에 매달리는 위급한 상황에 처했다. 그러나 A씨는 멈추지 않았다. 운전석을 차지한 A씨는 B씨가 매달려 있는 상태 그대로 차량을 몰아 1.5km가량을 광란하듯 질주했다.B씨는 빠른 속도로 달리는 차량 문에 매달린 채 도로 위를 끌려가야 했다. 이 참혹한 질주는 A씨가 몰던 차량이 도로 보호난간을 강하게 들이받고서야 멈춰 섰다. 머리를 심하게 다친 B씨는 의식이 없는 상태로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지만, 결국 끝내 숨을 거두고 말았다.사고 직후 현장을 목격한 다른 운전자의 신고로 경찰이 출동했다. 경찰은 주변 CCTV 영상과 차량 블랙박스 등을 확보해 A씨의 잔혹한 범행 전모를 파악했다. CCTV 영상에는 운전석 문이 열린 채 빠른 속도로 질주하는 A씨 차량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사고 당시 A씨는 면허 취소 수준의 만취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조사에서 A씨는 자신의 범행에 대해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져 더욱 공분을 사고 있다. 경찰은 A씨에게 단순 교통사고가 아닌, 운전자 폭행치사 및 살인의 미필적 고의가 있다고 판단해 살인 혐의를 적용해 검찰에 송치했다.피해자 B씨는 10년 전부터 대리운전을 하며 두 자녀를 홀로 키워온 가장이었다. 사고 당일, B씨는 대전에서 청주까지 가는 4만 원짜리 콜을 잡았다가 참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한 언론사의 보도에 따르면 B씨의 유족은 "생계를 위해서 힘들게 저희 남매를 혼자 키우셨다"며 고인의 삶을 회상했다. 이어 가해자의 잔혹한 행위에 대해 "너무 잔혹한 사건이라 너무 참담하다"며 "어떻게 사람을 매달고서 주행을 하는 게, 그것도 그렇게 짧은 거리도 아니고 1.5㎞면 굉장히 긴 거리다"라고 울분을 토했다.이번 사건은 단순 음주운전의 문제를 넘어, 대리운전 기사 등 서비스 노동자에 대한 폭행과 생명을 경시하는 행위가 결합된 극단적인 범죄로 인식되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A씨의 행위가 고의성이 다분한 살인에 해당한다며 엄벌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잔혹한 범죄에 대해 사법부가 어떤 판단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