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무심코 즉석밥 '이곳'에 보관했다간…방부제 없이 9개월 버티는 즉석밥의 배신

 1인 가구의 증가와 간편식을 선호하는 식문화가 맞물리면서 즉석밥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에 가까운 생필품으로 자리 잡았다. 저렴할 때 대량으로 구매해 비축해두는 소비 패턴이 보편화됐지만, 이러한 편리함 뒤에는 소비기한이나 보관상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특히 즉석밥은 겉으로 드러나는 미세한 변화가 변질을 판가름하는 핵심 지표이므로, 소비기한이 충분히 남아있다는 사실만 믿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사소한 징후라도 발견된다면 즉각적인 폐기를 고려해야 할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즉석밥이 방부제 없이도 평균 9개월 이상 실온에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은 무균 포장 기술에 있다. 제조 과정에서 고온·고압의 멸균 공정을 거친 뒤, 외부 균의 침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된 클린룸에서 완벽하게 밀봉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술적 안정성 덕분에 소비자들은 즉석밥을 라면이나 통조림처럼 오래 보관해도 괜찮은 비상식량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바로 이 지점에서 안전 불감증이 싹튼다. ‘실온 보관’이라는 말을 ‘아무 데나 두어도 된다’는 의미로 오해하고, 여름철 뜨거운 베란다나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곳에 방치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런 환경에서는 포장 용기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급격히 변하면서 밀봉 상태가 손상될 수 있고, 이때 생긴 미세한 틈으로 외부 공기나 미생물이 유입되어 내용물을 변질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렇다면 변질된 즉석밥은 어떻게 알아챌 수 있을까. 소비기한과 관계없이 즉시 폐기해야 하는 명백한 위험 신호들이 있다. 포장 용기가 눈에 띄게 부풀어 올랐거나, 용기 가장자리를 만졌을 때 내용물이 샌 듯한 습기나 끈적임이 느껴진다면 이미 내부에서 변질이 시작되었다는 증거다. 또한, 개봉 전에는 문제가 없어 보였더라도 전자레인지에 데운 직후 평소와 다른 탄 냄새나 시큼한 냄새가 난다면 절대 섭취해서는 안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역시 “즉석밥은 무균 제품이지만 보관 또는 유통 과정에서 용기 파손 등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며 “조금이라도 이상이 느껴지면 즉시 섭취를 중단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경고한다.

 

많은 사람이 ‘가열하면 세균이 죽으니 괜찮다’고 착각하지만, 이는 즉석밥 안전에 있어 가장 위험한 오해다. 일부 세균이 만들어내는 독소는 가열 과정에서도 파괴되지 않고 남아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변질이 시작된 제품은 어떤 조리 과정을 거치더라도 안전성을 회복할 수 없다는 의미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 가구의 간편식 지출은 최근 5년간 43%나 급증했으며, 즉석밥과 같은 가정간편식(HMR)이 전체 식비의 16.2%를 차지할 정도로 우리 삶 깊숙이 들어와 있다. 편리함의 대명사가 된 즉석밥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대량 구매 시 보관 장소의 온도와 습도를 세심하게 점검하고, 섭취 전 포장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예고된 이별, 그러나 너무나도 아쉬운 마침표…체룬돌로 시대의 비극적 종언

 스티븐 체룬돌로 감독의 시대가 아쉬운 패배와 함께 막을 내렸다. LAFC는 23일 캐나다 밴쿠버 BC 플레이스에서 열린 2025 MLS컵 서부 콘퍼런스 준결승전에서 밴쿠버 화이트캡스를 상대로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투를 벌였으나, 끝내 무릎을 꿇으며 플레이오프 여정을 마감했다. 이날 경기는 LAFC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체룬돌로 감독의 고별전이었기에 패배의 아픔은 더욱 짙었다. 이미 지난 4월 가족 문제를 이유로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나겠다고 발표했던 그의 마지막 경기는 그렇게 아쉬움 속에 마무리됐다.경기는 한 편의 드라마와 같았다. LAFC는 전반에만 두 골을 내주며 0-2로 끌려가 패색이 짙었다. 하지만 팀의 패색이 짙던 후반, 해결사로 나선 것은 손흥민이었다. 그는 후반 15분 추격의 불씨를 살리는 만회골을 터뜨린 데 이어, 후반 추가시간에는 극적인 프리킥 동점골까지 성공시키며 경기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그의 원맨쇼에 힘입어 승부를 연장전으로 끌고 갔지만, LAFC는 끝내 경기를 뒤집지 못했고 운명의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이날의 패배로 한 시대가 공식적으로 저물었다. 2022년 1월 LAFC의 지휘봉을 잡은 체룬돌로 감독은 부임 첫해부터 MLS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그는 데뷔 시즌에 신인 감독 최다승(21승) 신기록을 세우며 팀에 정규시즌 우승 트로피인 '서포터스 실드'를 안겼고, 플레이오프에서는 필라델피아 유니언을 꺾고 구단 역사상 최초의 MLS컵 우승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팀의 최전성기를 이끌며 명장 반열에 올랐던 그의 마지막이 허무한 패배로 기록된 순간이었다.경기 후 체룬돌로 감독은 "받아들이기 힘든 결과"라며 짙은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오늘 우리가 더 나은 팀이었다고 생각하지만, 이것이 축구"라며 짧은 소회를 남겼다. 이어서 LAFC와 함께한 빛나는 시간에 대해 "우리가 이룬 것들에 대해 정말 자랑스러운 것들이 많다. 모든 걸 다 말하긴 어렵지만, 우리는 충분히 자부심을 가질 만하다"고 말하며 선수들과 구단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비록 마지막은 눈물이었지만, 그가 LAFC에 남긴 족적은 구단 역사에 영원한 자부심으로 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