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고려 배와는 차원이 달랐다…조선시대 최첨단 선박, 600년 만에 모습 드러내

 '바닷속의 경주'로 불리는 충남 태안 마도 해역에서 또다시 고려시대의 비밀을 품은 고선박의 흔적이 발견되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올해 4월부터 11월까지 마도 해역 일대에서 진행한 수중 발굴조사 결과, 1150년에서 1175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청자 87점과 함께 고선박의 선체 조각, 화물받침목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5년 마도4호선 발견 이후 약 10년 만에 새로운 난파선의 존재를 암시하는 신호탄이다. 과거 마도1호선과 2호선 역시 청자 다발이나 원통형 받침목이 발견된 후 선체 발굴로 이어진 전례가 있어, 전문가들은 반경 50~100m 이내에 '마도5호선'으로 명명될 새로운 고려 선박이 잠들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유물들은 고려 해상 교역의 역사를 다시 쓸 중요한 단서로 평가된다. 수중에서 인양된 청자들은 접시, 완, 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틀을 이용해 문양을 찍어내는 기법과 팽이 및 삿갓 형태의 모양 등 12세기 중후반에 유행했던 양식적 특징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비록 왕실에서 사용하던 최상급 청자는 아니지만, 당시 중하급 관료들이 사용했을 법한 고급품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이 시기의 도자기가 수중에서 다량으로 발견된 사례는 매우 드물어, 앞으로 고려시대 선박의 구조와 항해 기술, 그리고 해상 물류 유통망을 연구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연구소는 유물의 가치와 추가 발견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고, 내년 4월부터 '마도5호선'으로 추정되는 지점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새로운 난파선에 대한 단서 확보와 더불어, 2015년에 발견되었던 마도4호선의 선체를 온전히 인양하는 쾌거도 이루어졌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1420년경 침몰한 것으로 밝혀진 마도4호선은 수중에서 발견된 최초의 조선시대 조운선(세곡선)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길이 12m, 너비 5m 규모의 이 선박은 기존에 발굴된 고려시대 배들과는 다른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어 주목된다. 돛대를 2개 설치하고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쇠못을 사용하는 등, 고려시대보다 한 단계 발전한 조선 전기의 선박 제작 기술과 항해술의 발달 과정을 명확히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1976년 신안선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우리 바다에서 발굴된 15척의 고선박 중 4척이 집중적으로 발견된 태안 마도 해역은 이번 성과로 다시 한번 대한민국 수중고고학의 중심지임을 입증했다. 인양된 마도4호선은 앞으로 약 15년에 걸친漫長한 보존처리를 거친 뒤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따라 당시 조운선 외부에 배의 이름이 적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향후 적외선 촬영 등을 통해 600년 전 침몰한 이 배의 실제 이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10년 만에 감지된 새로운 고려 선박의 숨결과 마침내 물 위로 모습을 드러낸 조선시대 세곡선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해상 실크로드의 비밀을 풀어낼 귀중한 열쇠가 될 전망이다.

 

사장 승진은 단 1명, 대신 하버드 석학 수혈…이재용의 '기술 삼성' 승부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사법 리스크를 완전히 털어낸 후 처음으로 단행한 정기 사장단 인사는 '안정 속 기술 혁신'이라는 명확한 방향성을 드러냈다. 전 세계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있는 인공지능(AI) 대전환기를 맞아, 승진 인사를 최소화하며 조직에 안정감을 부여하는 한편, 외부 기술 인재를 파격적으로 영입해 '기술 초격차'의 고삐를 다시 죄겠다는 이재용 회장의 의지가 선명하게 읽힌다. 이번 인사는 향후 이어질 임원 인사와 조직 개편의 서막으로, 삼성전자가 AI 시대의 파고를 어떻게 넘어설지에 대한 전략적 밑그림을 제시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이번 인사의 핵심은 양대 축인 반도체(DS)와 스마트폰·가전(DX) 부문 수장들의 유임과 역할 강화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전영현 부회장과 DX 부문을 이끄는 노태문 사장에게 각각 핵심 사업부장인 메모리사업부장과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을 계속 겸직하도록 했다. 이는 극심한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 검증된 리더십을 중심으로 조직을 안정시키고, 핵심 사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겠다는 포석이다. 특히 전영현 부회장은 지난 1년간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의 부진을 씻고 실적을 정상화 궤도에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재신임을 얻었다. 메모리 반도체 초호황기 진입을 앞둔 시점에서 그의 리더십에 다시 한번 힘을 실어준 셈이다.안정 기조 속에서도 미래를 향한 변화의 의지는 외부 인재 영입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삼성전자는 하버드대학교 화학과 교수인 박홍근 사장을 삼성의 미래 기술 연구개발을 책임지는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 원장으로 전격 영입했다. 1967년생인 박 사장은 서울대 화학과 수석 입학 및 전체 수석 졸업, 스탠퍼드대 박사 학위 취득 등 화려한 이력을 자랑하는 세계적인 석학이다. 이는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을 외치며 기술 확보를 생존의 문제로 여겨 온 이재용 회장의 경영 철학이 그대로 반영된 파격적인 인사다. 선행 기술 연구의 심장부에 외부의 수재를 앉혀 기존의 틀을 깨는 혁신을 추구하겠다는 강력한 시그널이다.이번 인사에서 유일한 사장 승진자인 윤장현 사장 역시 기술 전문가로서,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라는 중책을 맡았다. 오랜 기간 무선사업부에서 경력을 쌓은 윤 사장의 발탁은 전통적인 주력 사업인 모바일, TV, 가전 등에 AI와 로봇 기술을 본격적으로 접목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한편, 이번 사장단 인사가 안정에 무게를 두면서 마무리됐지만, '2인자'로 불리던 정현호 부회장이 물러나고 사업지원실이 신설되는 등 큰 변화가 있었던 만큼, 향후 이어질 임원 인사와 조직 개편에서 본격적인 세대교체와 변화의 바람이 불어닥칠 것이라는 전망이 삼성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