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무대 위에서 '뚝'…온라인 뒤덮은 현아 실신 영상, 소속사가 밝힌 현재 상태

 가수 현아가 공연 도중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아찔한 상황이 발생해 팬들의 가슴을 철렁하게 만들었다. 지난 9일, 현아는 '워터밤 2025 마카오' 페스티벌 무대에 올라 열정적인 공연을 펼치고 있었다. 사건은 자신의 대표 히트곡인 '버블 팝(Bubble Pop!)'을 부르던 중에 일어났다. 뜨거운 무대 매너로 관객을 사로잡던 그는 갑작스럽게 무대 위에서 그대로 기절했고, 이 모습은 현장에 있던 관객들의 카메라에 고스란히 포착되었다. 곧바로 무대 아래에 있던 경호원들이 급히 올라와 쓰러진 현아를 안아 들고 무대 뒤편으로 이동했으며, 해당 장면이 담긴 영상은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순식간에 퍼져나가며 팬들의 걱정을 자아냈다.

 

이번 실신 사태가 팬들에게 더욱 큰 충격과 우려로 다가온 것은 현아가 최근 무리한 다이어트를 하고 있음을 암시했기 때문이다. 그는 컴백을 앞두고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꾸준히 다이어트 근황을 전하며 체중 감량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 왔다. 이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이번 일이 과도한 스케줄 소화와 급격한 체중 감량으로 인한 체력 저하가 원인이 아니냐는 추측이 쏟아졌다. 평소 '건강미'의 아이콘으로 불리며 에너지 넘치는 퍼포먼스를 선보여온 그였기에, 무대 위에서 힘없이 쓰러지는 모습은 팬들에게 더욱 큰 충격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었다.

 


사건 발생 다음 날인 10일, 소속사 앳에어리어 측은 현아의 건강 상태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혔다. 소속사는 "충분한 휴식을 취한 뒤 안정을 되찾고 있는 중"이라고 전하며 팬들을 안심시켰다. 현아 역시 직접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심경을 고백했다. 그는 "정말 정말 미안해요"라며 팬들에게 가장 먼저 사과의 뜻을 전했다. 이어 "좋은 모습 보여주고 싶었는데 프로답지 못했던 것만 같다"고 자책하면서도, "사실은 나도 아무 기억이 안 나서"라며 당시의 아찔했던 상황을 간접적으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나 정말 괜찮아"라는 말을 덧붙이며 자신을 걱정하는 팬들의 마음을 다독였다.

 

이번 사건은 화려한 무대 뒤에 가려진 아티스트의 고충과 건강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팬들에게 완벽한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압박감과 그로 인한 철저한 자기 관리가 때로는 아티스트의 건강을 위협하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다. 비록 현아는 프로답지 못했다며 스스로를 탓했지만, 팬들은 오히려 그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챙겨야 한다며 응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소속사의 공식 발표와 현아의 직접적인 소통으로 일단 급한 불은 껐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아티스트의 건강 관리 시스템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폭락하는데 '더 사겠다' 선언…'부자 아빠'의 기괴한 투자법, 대체 왜?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로버트 기요사키가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하는 약세장 속에서도 오히려 추가 매수 의사를 밝혀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는 지난 15일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비트코인 가격이 떨어지고 있지만, 나는 팔지 않고 때를 기다리고 있다"고 단언했다. 현재 시장이 전반적으로 흔들리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그는 "전 세계가 심각한 현금 부족 사태에 직면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자신은 당장 현금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번 하락장에서 굳이 비트코인을 매도할 이유가 없다고 못 박아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기요사키가 이처럼 하락장에서도 태연하게 매수를 외치는 이유는 그가 확신하는 거시 경제의 미래 전망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는 헤지펀드 창립자 로렌스 리파드의 '빅 프린트(Big Print)' 개념을 인용하며, 전 세계가 감당하기 힘든 막대한 부채에 빠져 있기 때문에 결국 각국 정부는 대규모로 돈을 찍어내는, 즉 통화 발행을 시작할 수밖에 없다고 예측했다. 이러한 과정이 본격화되면 시중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으로 인해 달러와 같은 법정통화의 가치는 필연적으로 폭락하게 되고, 반대로 금, 은처럼 공급량이 제한된 실물자산과 비트코인, 이더리움 같은 가상화폐의 가치는 천정부지로 치솟을 것이라는 게 그의 논리다. 특히 비트코인은 총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정해져 있다는 희소성을 거듭 강조하며, 이번 폭락세가 진정되면 더 많은 비트코인을 사들일 것이라고 공언했다.하지만 기요사키의 이런 장밋빛 전망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위험하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많은 전문가들은 그의 가격 예측이 과거에도 여러 차례 과장된 측면이 있었음을 지적하며, 그의 발언을 맹신하는 것은 금물이라고 조언한다. 실제로 경제 전문지 이코노믹 타임스는 암호화폐 커뮤니티와 전문가들 사이에서 기요사키의 발언에 대한 '경계론'이 확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그의 단정적인 예측이 시장 참여자들의 공포 심리를 불필요하게 자극하여 오히려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의 유명세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만큼, 그의 발언 하나하나가 의도치 않은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다.이 때문에 투자 업계에서는 그의 전망을 직접적인 투자 지침으로 삼기보다는, 시장의 큰 흐름을 읽는 여러 참고 자료 중 하나로만 활용해야 한다는 신중론이 힘을 얻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기요사키의 발언을 개별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과 같은 미시적인 투자 조언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선을 긋는다. 대신, 전 세계적인 부채 문제와 통화 정책의 변화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자산 시장이 어떻게 재편될 것인지에 대한 그의 독자적인 해석, 즉 '거시적 서사'의 차원에서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결국 그의 예측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은 투자자 개인의 몫으로 남게 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