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팝콘은 무조건 큰 사이즈? 당신이 영화관에서 매번 33%씩 손해 보는 이유

 대형 할인마트나 영화관에서 우리는 흔히 '가성비'라는 이름 아래 불필요하게 큰 사이즈의 상품을 선택하곤 한다. 일반 용량에 비해 단위 가격이 저렴한 '패밀리 사이즈' 과자나, 몇백 원 차이로 양이 두 배 가까이 차이 나는 팝콘 앞에서 작은 사이즈를 고르는 것은 왠지 모르게 손해를 보는 듯한 기분을 들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심리는 비단 특정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현상이 아니다. 기업들은 바로 이 지점을 교묘하게 파고들어 소비자의 선택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소비를 이끌어내 매출을 증대시킨다. 하지만 가격표 상의 이득이 과연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이득으로 이어지는지는 신중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포장 단위의 크기가 소비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명확하게 입증된 바 있다. 미국 필라델피아의 한 영화관에서 진행된 실험이 대표적인 예다. 연구팀은 관객들에게 120g과 240g, 두 가지 크기의 통에 팝콘을 무료로 제공하고 영화를 보는 동안의 섭취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더 큰 240g 통을 받은 사람들은 120g 통을 받은 사람들보다 무려 33.6%나 더 많은 팝콘을 먹어 치웠다. 벨기에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초콜릿 소비 실험 결과는 더욱 극적이다. 200g 봉지를 받은 학생들에 비해 600g짜리 대용량 봉지를 받은 학생들은 무려 두 배나 많은 양의 초콜릿을 소비했다. 이는 단순히 눈앞에 더 많은 양이 주어졌다는 사실만으로도 우리의 섭취량이 무의식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

 


이러한 비합리적인 소비 심리의 기저에는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라는 강력한 심리적 원리가 작동하고 있다. 앵커링 효과란, 마치 배가 닻(anchor)을 내리면 그 주변을 맴돌게 되듯, 처음 제시된 정보나 숫자가 기준점, 즉 '닻'이 되어 이후의 판단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마트나 영화관은 의도적으로 상대적으로 비싸게 느껴지는 작은 사이즈 상품을 먼저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머릿속에 가격의 기준점을 설정한다. 이 '닻'이 내려진 상태에서 훨씬 저렴해 보이는 큰 사이즈 상품을 접하게 되면, 소비자들은 필요 여부와 상관없이 그것이 매우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착각하게 되는 것이다. 뷔페에서 사용하는 커다란 접시 역시 마찬가지다. 사람들은 접시를 가득 채워야 한다는 무의식적 압박감을 느끼고, 결국 평소보다 훨씬 많은 양의 음식을 담고 섭취하게 된다.

 

가격 대비 용량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무심코 큰 제품을 선택하는 습관은 결국 과소비와 불필요한 열량 섭취로 이어져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먹지 못하고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양산하는 비경제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심리적 함정을 이해한다면, 우리는 보다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다. 당장의 단위 가격이 조금 비싸게 느껴지더라도 건강을 위해 작은 크기의 과자나 팝콘을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이득이다. 가정에서도 식사 시 작은 접시를 사용하고 음료는 작은 잔에 따라 마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만약 가격 문제로 어쩔 수 없이 대용량 제품을 구매했다면, 이를 작은 용기에 미리 덜어서 나누어 먹는 것이 과식을 막고 건강과 경제를 모두 지키는 지혜로운 방법이 될 것이다.

 

金총리, 육사 생도 앞에서 '보훈'과 '안보' 연결고리 강조

 제86회 순국선열의 날을 맞은 17일, 김민석 국무총리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친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정신이야말로 오늘날 대한민국의 굳건한 토대이자 미래를 향한 원동력이라고 역설했다. 이날 서울 노원구 육군사관학교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한 김 총리는 기념사를 통해 "선열들의 숭고한 삶과 정신을 깊이 되새기며, 국민이 진정한 주인이 되는 나라, 모든 국민이 더불어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모든 힘을 쏟겠다"고 천명했다. 특히 미래 국군 간성이 될 육사 생도들 앞에서 대한민국의 뿌리와 국가 보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념식의 의미를 더했다.김 총리는 120년 전 오늘, 일제가 총칼을 앞세워 대한제국의 국권을 무참히 강탈했던 을사늑약의 치욕적인 역사를 상기시켰다. 그는 "우리 민족이 끝이 보이지 않는 깊고 어두운 절망의 나락에 빠졌을 때, 순국선열들께서는 목숨을 걸고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총동원하여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해 싸우셨다"며 그들의 헌신을 기렸다. 이어 "일평생을 오직 독립운동에 바치신 선열들의 불굴의 정신은 오늘날 대한민국 국군으로 고스란히 계승되어 조국을 지키는 강력한 힘이 되고 있다"고 말하며, "조국을 지키는 영광스러운 삶을 스스로 선택한 육군사관학교 생도 여러분과 이 뜻깊은 자리를 함께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고 덧붙였다.특히 김 총리는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들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비참한 말이 더 이상 이 땅에 통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던 점을 언급하며, 현 정부의 확고한 보훈 철학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라는 대원칙을 국가 보훈 정책의 핵심 가치로 삼아,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친 분들에게 국가가 그에 합당한 최고의 예우와 실질적인 보상을 실현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는 과거의 소극적인 추모를 넘어, 국가를 위한 희생이 결코 헛되지 않다는 것을 실질적인 정책으로 증명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다.나아가 김 총리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들을 약속하며 정부의 진정성을 피력했다. 그는 "아직 우리가 찾아내지 못한 순국선열을 한 분이라도 더 찾고, 그 유가족에 대한 지원과 보상을 대폭 확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해외에 잠들어 계신 모든 순국선열의 유해를 조국 땅으로 모셔오는 그날까지 유해 봉환 사업을 멈추지 않고 계속 이어가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이는 선열들의 희생을 기억하는 것을 넘어, 그분들과 후손들의 삶까지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로,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향한 정부의 흔들림 없는 각오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