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현아, 마카오 워터밤 '실신' 후 심경 고백…"프로답지 못해 미안"

 가수 현아가 ‘워터밤 2025 마카오’ 공연 중 실신한 뒤 팬들에게 직접 사과와 근황을 전했다. 현아는 9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정말 정말 미안해요. 그전 공연 이후 짧은 기간이었지만 좋은 모습 보여주고 싶었는데 프로답지 못했던 것만 같고”라며 “사실은 나도 아무 기억이 안 나서 계속 이래 저래 생각하다가 꼭 이야기해주고 싶었어요”라고 적었다. 그는 “다들 돈 주고 보러 온 무대였을 것인데 미안하고 또 정말이지 미안해”라며 거듭 사과의 뜻을 밝혔다.

 

현아는 최근 마카오 아웃도어 퍼포먼스 베뉴에서 열린 ‘워터밤 2025 마카오’ 무대에서 히트곡 ‘버블 팝(Bubble POP)’ 공연 도중 돌연 쓰러져 경호원의 부축을 받으며 무대를 내려왔다. 당시 현장은 물을 활용한 야외 퍼포먼스 특성상 온도 변화와 격한 움직임이 이어졌고, 예기치 못한 상황에 관객들의 놀람과 우려가 잇따랐다. 공연 이후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현아의 건강을 걱정하는 팬들의 메시지가 줄을 이었다.

 

이에 현아는 “앞으로 더 더 체력도 키워보고 꾸준히 열심히 할게”라며 컨디션 회복과 체력 관리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어 “늘 아주 어릴 때부터 지금껏 모자란 나를 추앙해 주며 아껴주고 사랑해 줘서 고맙다고 말해주고 싶어”라고 팬들에게 감사함을 전했다. 그는 글 말미에 “그리고 나 정말 괜찮아. 내 걱정은 하지 마. 모두에게 좋은 밤이기를. 잘 자요”라고 덧붙이며 현재 상태가 안정적임을 강조했다.

 


한편, 현아는 최근 결혼 이후 급격한 체중 변화로 임신설에 휘말린 바 있다. 이후 직접 다이어트를 시작해 약 한 달 만에 10kg을 감량, 체중을 40kg대까지 낮췄다고 밝히며 화제를 모았다. 급격한 체중 변화와 강도 높은 무대 활동이 맞물린 가운데, 이번 무대 실신을 계기로 아티스트 건강 관리에 대한 경각심도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소속사 차원의 구체적 입장 표명은 아직 없는 가운데, 팬들은 “건강이 우선”이라며 과도한 스케줄과 컨디션 조절에 대한 우려를 전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야외 물 축제 형태의 공연이 갖는 높은 에너지 소모와 환경 변수(고온, 습도, 미끄러움 등)를 고려한 안전 장치와 휴식 보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아가 예고한 대로 충분한 회복과 체력 보강을 거쳐 무대에 복귀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잘나가던 금리 인하, '집값'과 '환율'에 발목 잡혔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27일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하면서, 그동안 유지해왔던 '금리 인하'에 대한 명확한 신호를 거두어들였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인하 자체를 기정사실로 했던 기존의 입장에서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향후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중단될 수도 있다는, 이전보다 훨씬 신중하고 긴축적인 입장으로의 선회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이번 금통위의 입장 변화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의 핵심 문구가 수정된 데서 명확히 드러난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금리 인하를 시작한 이래 줄곧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나가겠다"는 표현을 사용하며 인하 방향성을 분명히 해왔다. 또한 향후 고려 사항으로 '추가 인하 시기와 속도'를 언급하며, 인하 자체는 예정된 수순이고 시점과 폭만 조율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하지만 이날 발표된 결정문에서는 '인하 기조'라는 단어가 '인하 가능성'이라는 유보적인 표현으로 대체되었고, 결정 사항 역시 '시기와 속도'가 아닌 '여부 및 시기'로 변경됐다. 추가 금리 인하의 실행 '여부' 자체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의미로, 명백한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신호로 해석된다.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 역시 이러한 기류 변화를 뒷받침했다. 이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성장률 전망이 상향 조정됐지만 향후 경로에 상·하방 위험요인이 모두 잠재해 있다"고 전제한 뒤, "부동산 시장의 높은 가격 상승 기대, 환율 변동성 확대 등 금융안정 리스크가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러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당분간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과 동결을 이어갈 가능성을 모두 열어놓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실상 금리 인하 행진의 '일시정지' 또는 '종료'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발언으로 풀이된다.이처럼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의 톤을 조절한 배경에는 예상보다 견조한 경제 지표와 여전히 불안한 금융 시장 상황이 자리 잡고 있다. 실제로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1.0%, 1.8%로 지난 8월 전망치보다 상향 조정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역시 올해와 내년 모두 2.1%로 높여 잡았다. 경기가 예상보다 선방하고 물가 상승 압력도 여전한 상황에서, 환율 변동성과 집값 불안이라는 금융안정 리스크까지 떠안으면서 서둘러 금리를 추가로 내릴 명분이 줄어들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