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나 없으면 안 될걸?”…머스크의 ‘초강수’에 백기 든 테슬라 주주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마침내 인류 역사상 최초의 '조만장자(兆萬長者)'가 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그의 사상 최대 규모 인센티브 보상안이 75% 이상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되면서, 테슬라에 대한 그의 철옹성 같은 지배력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이번 결정은 단순히 한 기업 CEO의 보상 문제를 넘어, 전기차 시장과 우주항공, 로봇 산업에 이르기까지 머스크가 지배하는 기술 제국의 영향력이 한 차원 더 막강해질 것을 예고하는 신호탄이다. 천문학적인 보상에 대한 비판 여론에도 불구하고, 머스크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CEO 보상 체계의 판도를 완전히 뒤엎으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주주총회 현장은 머스크의 개인 콘서트를 방불케 했다. 보상안 통과가 확정되자 무대에 오른 그는 약 1분간 춤을 추며 기쁨을 만끽했고, "지지해준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며 주주들에게 공을 돌렸다. 객석을 가득 메운 주주들은 "일론!"을 연호하며 열광적인 지지를 보냈다. 이러한 뜨거운 분위기 뒤에는 테슬라 이사회의 치밀한 전략이 숨어 있었다. 이사회는 사전에 "보상안이 부결될 경우 머스크가 회사를 떠날 수도 있다"는 경고성 서한을 보내며 주주들을 압박했고, 이는 '머스크 없는 테슬라'를 상상할 수 없는 주주들의 표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총회장 밖에서는 "1조 달러 반대"를 외치는 시민들의 시위가 벌어졌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총회장 안의 열기를 넘지 못했다.

 


이번 보상안의 규모는 상상을 초월한다. 머스크는 향후 12단계에 걸친 시가총액 및 경영 성과 목표를 모두 달성할 경우, 약 1조 달러(약 1454조 원)에 달하는 주식을 받게 된다. 이는 미국 1년 국방 예산에 버금가는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이 보상이 현실화되면 머스크의 테슬라 지분은 25%를 훌쩍 넘어서게 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를 두고 세계 최고 부자인 머스크가 누구도 도달하지 못한 '조만장자'의 영역으로 들어서는 길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 막대한 부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침체된 전기차 시장에 다시 불을 지피고, 아직은 실체가 불분명한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사업을 성공시켜야만 하는 무거운 과제를 동시에 안게 된 것이다.

 

머스크는 주주총회에서 자신의 비전을 구체적인 시간표로 제시하며 이러한 우려를 정면 돌파했다. 그는 옵티머스 로봇을 연간 100만 대 생산 수준까지 끌어올려 대당 비용을 2만 달러까지 낮추고, 자율주행 전용차 '사이버캡'을 내년 4월부터 생산하겠다고 공언했다. 또한 전기트럭 '세미'의 본격 양산과 차세대 '로드스터' 공개 계획도 밝혔다. 특히 주목할 점은 반도체 자립 선언이다. 그는 차세대 AI 칩 'AI5' 생산을 위해 삼성전자, TSMC와 협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물량이 부족하다며 "결국 테슬라가 직접 '테라 팹(Tera Fab)'을 건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혀, 반도체 업계의 지각변동까지 예고했다. 1454조 원이라는 당근은, 그에게 세상을 바꾸라는 채찍이 된 셈이다.

 

金총리, 육사 생도 앞에서 '보훈'과 '안보' 연결고리 강조

 제86회 순국선열의 날을 맞은 17일, 김민석 국무총리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친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정신이야말로 오늘날 대한민국의 굳건한 토대이자 미래를 향한 원동력이라고 역설했다. 이날 서울 노원구 육군사관학교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한 김 총리는 기념사를 통해 "선열들의 숭고한 삶과 정신을 깊이 되새기며, 국민이 진정한 주인이 되는 나라, 모든 국민이 더불어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모든 힘을 쏟겠다"고 천명했다. 특히 미래 국군 간성이 될 육사 생도들 앞에서 대한민국의 뿌리와 국가 보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념식의 의미를 더했다.김 총리는 120년 전 오늘, 일제가 총칼을 앞세워 대한제국의 국권을 무참히 강탈했던 을사늑약의 치욕적인 역사를 상기시켰다. 그는 "우리 민족이 끝이 보이지 않는 깊고 어두운 절망의 나락에 빠졌을 때, 순국선열들께서는 목숨을 걸고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총동원하여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해 싸우셨다"며 그들의 헌신을 기렸다. 이어 "일평생을 오직 독립운동에 바치신 선열들의 불굴의 정신은 오늘날 대한민국 국군으로 고스란히 계승되어 조국을 지키는 강력한 힘이 되고 있다"고 말하며, "조국을 지키는 영광스러운 삶을 스스로 선택한 육군사관학교 생도 여러분과 이 뜻깊은 자리를 함께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고 덧붙였다.특히 김 총리는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들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비참한 말이 더 이상 이 땅에 통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던 점을 언급하며, 현 정부의 확고한 보훈 철학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라는 대원칙을 국가 보훈 정책의 핵심 가치로 삼아,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친 분들에게 국가가 그에 합당한 최고의 예우와 실질적인 보상을 실현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는 과거의 소극적인 추모를 넘어, 국가를 위한 희생이 결코 헛되지 않다는 것을 실질적인 정책으로 증명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다.나아가 김 총리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들을 약속하며 정부의 진정성을 피력했다. 그는 "아직 우리가 찾아내지 못한 순국선열을 한 분이라도 더 찾고, 그 유가족에 대한 지원과 보상을 대폭 확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해외에 잠들어 계신 모든 순국선열의 유해를 조국 땅으로 모셔오는 그날까지 유해 봉환 사업을 멈추지 않고 계속 이어가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이는 선열들의 희생을 기억하는 것을 넘어, 그분들과 후손들의 삶까지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로,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향한 정부의 흔들림 없는 각오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