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심판보다 '내 지갑'…민주당, '먹고사는 문제'로 선거판 뒤집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1년에 대한 민심의 향방을 가늠할 핵심 선거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뼈아픈 정치적 타격을 안겼다. 4일(현지시간) 치러진 버지니아와 뉴저지 주지사 선거, 그리고 뉴욕 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모두 승리한 것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독단적인 국정 운영과 35일간 이어진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에 대한 유권자들의 준엄한 심판이 표심으로 드러난 결과로, 내년 중간선거의 전초전에서 민주당이 기선를 제압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경합주로 꼽혔던 버지니아에서는 민주당의 에비게일 스팬버거 전 연방 하원의원이 공화당 후보를 여유롭게 따돌리고 승리하며 4년 만에 주지사직을 탈환했다. 이로써 버지니아 역사상 첫 여성 주지사가 탄생했으며, 함께 치러진 부지사 선거에서는 미국 최초의 무슬림 여성 주정부 선출직 당선자가 나오는 등 민주당의 승리가 더욱 빛을 발했다. 전통적인 민주당 텃밭인 뉴저지에서도 마이키 셰릴 연방 하원의원이 트럼프의 지지를 받은 공화당 후보를 꺾고 주지사직 수성에 성공했다. 해군 헬기 조종사 출신의 셰릴과 CIA 근무 경력의 스팬버거 모두 당내 중도파로, 이들의 승리는 민주당이 중도층 표심을 공략하는 데 성공했음을 보여준다.

 


이번 선거의 최대 이변은 미국 최대 도시 뉴욕에서 터져 나왔다. 자신을 '민주사회주의자'로 칭하는 34세의 인도계 무슬림, 조란 맘다니 후보가 뉴욕 시장에 당선된 것이다. 최저임금 인상, 버스 무상화 등 파격적인 진보 공약을 내건 그는 젊은 층의 열광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민주당 경선 패배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앤드루 쿠오모 전 주지사와 공화당 후보의 추격을 뿌리쳤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까지 나서 '반(反) 맘다니 연합'을 시도했으나, 뉴욕 유권자들은 결국 급진적인 변화의 손을 들어주며 미국 정치 지형에 큰 충격을 안겼다.

 

이번 선거 결과는 민주당의 선거 전략이 완벽하게 적중했음을 입증했다. 민주당은 '트럼프 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우면서도, 유권자들의 실생활과 직결된 경제 문제에 집중하는 실용주의 노선을 택했다. 버지니아의 스팬버거 후보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을 유발했다고 비판했고, 뉴저지의 셰릴 후보는 높은 전기요금 인하를 약속하며 표심을 파고들었다. 결국 '트럼프에 대한 분노'를 '먹고사는 문제'와 효과적으로 결합시킨 민주당의 전략이 승리를 이끌었으며, 이는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향한 민주당의 핵심적인 승리 공식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넌 내란범이야!"…장동혁, 광주 5·18 묘역서 16분 만에 쫓겨나듯 퇴장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취임 후 처음으로 광주를 찾았지만, 5·18민주묘지 입구에서부터 거센 항의에 부딪히며 사실상 참배가 무산됐다. 6일 오후, 장 대표와 양향자 최고위원 등 지도부가 5·18 민주묘지에 도착하자, '민주의 문' 앞에서 대기하던 시민단체 회원 20여 명은 "내란 공조 장동혁은 물러가라", "5·18 모욕 말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이들의 앞을 막아섰다. 현장에는 장 대표의 방문을 규탄하는 플래카드와 피켓이 내걸렸고, 일부 시민은 장 대표의 얼굴에 X 표시를 한 사진을 들고 "바퀴벌레 왔다", "감옥에나 가라"와 같은 격한 언사를 쏟아내며 지도부를 둘러쌌다.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된 현장에서 경찰이 "허가받지 않은 시위"라며 자제를 요청했지만, 분노한 시민들의 목소리는 더욱 커져만 갔다.결국 장동혁 대표 일행의 묘역 진입은 순탄치 않았다. 방명록 작성을 생략한 채 민주의 문을 통과하려는 순간, 한 여성이 "내란범"이라고 울부짖으며 달려들었고, 이를 제지하는 경호대와 시민들이 뒤엉키며 극심한 몸싸움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양향자 최고위원이 인파에 밀려 넘어지며 엉덩방아를 찧는 아찔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시위대는 장 대표의 옷을 잡아당기거나 길에 드러누워 진입을 막았고, 일부는 장 대표 명의로 도착한 근조화환을 훼손하는 등 격렬하게 저항했다. 추모탑까지 채 200m가 되지 않는 거리를 이동하는 데 10분이 넘게 걸릴 정도로 현장은 한 치 앞을 나아가기 어려웠다. 당초 계획했던 헌화와 분향, 박관현·윤상원 열사 묘역 참배 등은 모두 불가능해졌다.극심한 혼란 속에서 추모탑 앞에 겨우 도착한 장 대표 일행은 묵념으로 예를 갖추는 데 만족해야 했다. 현장에 도착한 지 약 16분 만인 오후 1시 55분, 장 대표는 굳은 표정으로 침묵을 지킨 채 서둘러 버스에 다시 올랐다. 시민단체는 "장 대표를 물리쳤다"고 외친 뒤 해산했다. 이후 장 대표는 인근 교회 앞에서 별도의 입장을 발표하며 "영령들에게 헌화와 묵념으로 예를 갖추려 했지만 현장 상황이 여의치 않아 안타깝다"고 심경을 밝혔다. 그는 "5·18 정신은 어느 누구의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것"이라며 "국민의힘의 진정성이 아직 다 전달되지 않은 것 같지만, 마음이 전달될 때까지 끝까지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이번 방문은 장 대표가 취임사에서부터 약속했던 '호남 동행' 의지의 첫걸음이었지만, 광주의 싸늘한 민심을 재확인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장 대표는 "매달 호남을 방문해 민생 현안을 챙기겠다"고 약속하며, 논란이 되는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서도 "국민의힘도 동의하는 바이지만, 헌법 개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 않아 단독으로 추진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며, 향후 개헌 논의 시 여야 이견 없이 반영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했다. '진정한 화합과 국민통합의 이정표'가 되기를 바랐던 그의 첫 광주 방문은 결국 16분간의 격렬한 대치와 짧은 묵념만을 남긴 채 미완의 과제로 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