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1500년 전 기술 맞아?…현대 과학으로도 증명된 가야의 '넘사벽' 철강 기술

 '철의 왕국' 가야의 기마무사는 과연 얼마나 강력했을까. 1500년 전, 철갑으로 무장한 채 전장을 누볐을 가야의 기마군단은 오랫동안 상상 속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최근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가 진행한 한 흥미로운 실험을 통해 그 실체가 베일을 벗었다. 아라가야 왕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함안 말이산 고분군, 그중에서도 말 갑옷과 투구 등 다량의 철제 유물이 쏟아져 나온 8호분 출토품을 바탕으로 고대 기술의 비밀을 파헤치는 시도가 이루어진 것이다. 연구소는 당시 기술로 제작된 말 갑옷 재현품에 실제 쇠 화살을 발사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그 놀라운 결과를 영상으로 공개하며 잊혔던 가야의 기술력을 우리 눈앞에 생생하게 되살려냈다.

 

이번 실험의 핵심은 단순히 갑옷의 튼튼함을 시험하는 것을 넘어, 가야인들이 철의 성질을 얼마나 정교하게 이해하고 활용했는지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팀은 출토된 말 갑옷의 부위별 성분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탄소 함량을 달리한 재현품을 제작했다. 말의 목과 가슴을 보호하는 중요 부위인 경·흉갑은 탄소 함량 0.8%의 고탄소강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많은 몸통 부위의 신갑은 0.2%의 저탄소강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이 갑옷들을 향해 강력한 쇠 화살을 발사하며 각 부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했다. 이는 가야의 장인들이 단순히 철을 두드려 갑옷을 만든 것이 아니라, 부위별 특성에 맞춰 강도와 유연성을 조절하는 첨단 야금 기술을 보유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었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탄소 함량이 높은 0.8%의 경·흉갑은 화살의 강력한 충격을 그대로 튕겨내며 완벽한 방어 성능을 보여주었다. 화살촉이 갑옷 표면에 부딪히는 순간 불꽃이 튀었지만, 갑옷은 뚫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했다. 반면, 탄소 함량이 낮은 0.2%의 신갑은 화살에 의해 쉽게 관통당했다. 하지만 여기서 가야인들의 지혜가 다시 한번 빛을 발했다. 여러 장의 작은 철판을 가죽끈으로 엮어 만든 '찰갑(札甲)' 특유의 구조 덕분에, 첫 번째 철판이 뚫리더라도 겹쳐진 다음 철판이 화살을 막아내 말의 몸체까지 피해가 가는 것을 막아준 것이다. 또한 가죽끈이 끊어지더라도 갑옷 전체가 파손되지 않아, 전투 후 손상된 부분만 교체하여 수리하는 것도 용이했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실험은 가야의 갑옷이 단순한 쇳덩어리가 아니라, 과학적인 계산과 경험이 집약된 최첨단 방어 시스템이었음을 명백히 증명했다. 가야인들은 탄소 함량 조절을 통해 강철을 생산하고, 이를 부위별 특성에 맞게 적용하는 고도의 금속 가공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는 '철의 왕국'이라는 명성이 결코 과장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다. 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실험이 가야의 철기 제작 기술과 병기 운용 방식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1500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되살아난 가야의 기술력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유튜브 채널에 공개된 실험 영상 전체를 통해 더욱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찬성 87% vs 투표율 16%…'숫자의 함정'에 빠진 민주당, 내분 격화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강력하게 추진하던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 도입이 예상치 못한 암초를 만났다. 당 지도부는 당헌·당규 개정안의 최종 의결 절차인 중앙위원회를 당초 예정됐던 28일에서 내달 5일로 일주일 연기하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개정안이 24일 당무위원회를 통과하며 순항하는 듯 보였으나, 회의 내부에서 절차적 정당성에 대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잇따르자 결국 속도 조절에 나선 것이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일부 우려가 있어 보완책을 더 논의하기 위해 시간을 갖기로 했다"고 밝히며, 당내 이견이 존재함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이는 압도적인 찬성률을 앞세워 속전속결로 매듭지으려던 지도부의 계획에 제동이 걸렸음을 의미한다.이번 갈등의 핵심에는 '명분'과 '절차'의 충돌이 자리 잡고 있다. 정청래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지난 19~20일 진행된 전 당원 투표에서 나온 86.81%라는 압도적인 찬성률을 '거스를 수 없는 당심'으로 규정하고 개혁의 동력으로 삼았다. 하지만 이 투표의 전체 투표율이 16.81%에 불과했다는 점이 반대 측의 주요 공격 포인트가 되고 있다. 전체 유권자 중 극히 일부만 참여한 투표 결과를 가지고 당의 근간을 바꾸는 중대한 사안을 밀어붙이는 것은 대의 민주주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이다. 그럼에도 지도부는 투표 결과를 근거로 최고위원회의에서 개정안을 신속히 의결하며 강행 의지를 분명히 했고, 이는 결국 당내 갈등의 불씨를 키우는 결과로 이어졌다.당 지도부의 일방적인 추진 방식에 대한 불만은 결국 공개적인 반발로 터져 나왔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청래 대표를 정면으로 겨냥하며 "원칙에 대한 찬반보다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가 논란의 핵심"이라고 포문을 열었다. 그는 "중요 제도를 충분한 숙의 과정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 식으로 하는 게 맞느냐"고 따져 물으며, 대통령 순방 중에 굳이 당내 분열을 야기할 수 있는 안건을 처리해야 하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최고위원은 작심 발언을 쏟아낸 직후 회의장을 떠나며 지도부와의 갈등이 심상치 않은 수준임을 드러냈다. 당무위원회 회의장 밖에서는 고성이 오가는 등 격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결국 민주당은 일주일이라는 시간을 벌었지만, 이는 갈등의 봉합이 아닌 수면 위로의 부상에 가깝다. 당 지도부는 이 기간 동안 반대 의견을 청취하고 보완책을 마련해 설득에 나선다는 입장이지만, 절차적 정당성을 문제 삼는 이들을 만족시킬 묘안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당원 주권 강화'라는 개혁의 명분과 '충분한 숙의를 통한 민주적 절차'라는 원칙 사이에서 민주당 지도부가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혹은 일주일 뒤 또다시 강행 처리를 시도하며 정면충돌을 불사할지, 당 안팎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