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선수도 코치도 아니라는데…'은퇴' 박병호, 키움 복귀설의 정체

 '국민 거포' 박병호가 3일, 파란만장했던 현역 생활에 마침표를 찍었다. 고교 시절 4연타석 홈런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으로 화려하게 등장한 그는 2005년 LG 트윈스에 1차 지명되며 큰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LG의 거포 유망주라는 기대감은 넓은 잠실구장과 팬들의 엄청난 압박감 속에서 좀처럼 꽃피우지 못했다. 그의 야구 인생이 180도 뒤바뀐 것은 2011년, 넥센 히어로즈(현 키움)로의 트레이드였다. 상대적으로 팬들의 관심이 덜하고 타자에게 유리한 목동구장을 홈으로 쓰게 된 것은 그에게 '신의 한 수'가 되었다. 이듬해인 2012년 31개의 홈런을 시작으로 KBO 최초 2년 연속 50홈런이라는 대기록을 포함, 4년 연속 홈런왕에 오르며 리그를 지배하는 거포로 완벽하게 각성했다.

 

박병호의 방망이는 국내 무대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그의 폭발적인 파워를 눈여겨본 메이저리그 미네소타 트윈스와 계약하며 빅리그 무대를 밟았고, 2년의 미국 생활을 마친 뒤 친정팀 히어로즈로 복귀했다. 복귀 후 홈구장은 타자들의 무덤이라 불리는 고척스카이돔으로 바뀌어 있었지만, 그는 2018 시즌 43개의 홈런을 터뜨리며 자신의 힘이 구장 크기에 좌우되지 않음을 증명했다. 하지만 흐르는 세월을 막을 수는 없었다. 3할 중반대를 넘나들던 타율은 2할 초반까지 떨어졌고, 홈런 수도 급감했다. 결국 키움은 FA 자격을 얻은 그와의 동행을 마쳤고, 박병호는 KT 위즈로 이적해 2022년 35홈런으로 마지막 불꽃을 태우며 통산 6번째 홈런왕에 올랐다. 이후 삼성 라이온즈에서 현역 생활의 마지막을 보낸 그는 미련 없이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후 그의 행보에 야구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현역 시절부터 지도자에 대한 뜻을 꾸준히 내비쳤던 그는 "또 다른 모습으로 그라운드에 서겠다"며 후배 양성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자연스럽게 그의 이름이 연결되는 곳은 그의 전성기를 함께했던 친정팀 키움 히어로즈다. 박병호에게 키움은 야구 인생의 전환점을 만들어준 각별한 팀이며, 구단 역시 '박병호'라는 상징적인 존재를 잊지 않고 있다. 목동과 고척을 아우르는 그의 홈런포는 히어로즈 역사의 가장 빛나는 순간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팬들 역시 레전드의 화려한 귀환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그의 복귀는 선수나 일반적인 코치의 형태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키움은 박병호의 은퇴가 발표된 날 2026 시즌 코칭스태프 인선을 마무리지어 발표했는데, 이 명단에 그의 이름은 없었다. 만약 코치 선임을 조율 중이었다면 발표를 미뤘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 때문에 야구계에서는 그가 유니폼을 입지 않는 다른 역할로 팀에 합류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최근 여러 구단에서 운영 중인 전력 강화 코디네이터나 단장 보좌역처럼 현장과 프런트의 가교 역할을 하는 직책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키움 구단은 "구체적으로 드릴 말씀이 없다"면서도 가능성 자체를 부정하지 않아 궁금증을 키우고 있다. 과연 박병호는 어떤 모습으로 정든 히어로즈의 집으로 돌아오게 될까.

 

대체 미국에서 무슨 일이?…오타니 아내, 출산 후 가족과 '사실상 단절' 상태

 '슈퍼스타' 오타니 쇼헤이를 둘러싼 열기가 그의 아내 다나카 마미코에게로 옮겨붙고 있다. 오타니의 야구 실력만큼이나 그의 사생활, 특히 아내의 근황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폭발적인 가운데, 일본의 한 매체가 그녀가 출산 후 가족과도 만나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며 일본 사회에 또 다른 화두를 던졌다. 모든 이야기의 시작은 오타니가 내년 3월 열리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출전을 깜짝 발표하면서부터였다.오타니는 지난 25일, 자신의 SNS를 통해 "다시 일본 대표 선수로 뛸 수 있어 자랑스럽고 기쁜 마음"이라며 WBC 출전 의사를 공식화했다. 이는 다가오는 시즌에 투타 겸업을 완벽하게 소화하기 위해 컨디션을 조절해야 하는 만큼, 그가 WBC에 불참할 것이라는 대다수의 예상을 뒤엎는 파격적인 선택이었다. 일본 야구계가 그의 대표팀 합류 소식에 들썩이는 한편, 대중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새로운 포인트로 향했다. 바로 그의 아내 마미코가 이번 기회에 출산 후 처음으로 일본 땅을 밟게 될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다.일본 매체 '포스트 세븐'에 따르면, 마미코는 결혼 발표 이후 단 한 번도 일본에 귀국하지 않았다. 작년 도쿄돔에서 열렸던 소속팀의 개막 시리즈 역시 출산 시기와 겹치면서 LA에 머물렀던 것으로 확인됐다. 매체는 그녀가 현지 스태프나 다른 선수들과 대화하는 모습이 거의 포착되지 않았고, 오타니가 공개 석상에서 통역을 해주는 모습으로 미루어 볼 때 아직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오타니의 WBC 참가 일정은, 부부가 오랜만에 일본에서 마음 편히 모국어로 대화를 나누고 가족과 함께할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특히 매체는 마미코의 지인이라고 밝힌 익명의 인물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녀의 구체적인 상황을 전하며 안타까움을 더했다. 이 지인은 "마미코는 조부모님까지 포함해 가족 관계가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미국과 일본의 물리적 거리 때문에 가족과 직접 만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출산 전후로 마미코의 어머니가 잠시 LA로 건너와 도움을 주기는 했지만, 조부모님과는 영상 통화로만 안부를 주고받았을 뿐, 아직 갓 태어난 증손주를 직접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심지어 "오타니까지 포함된 가족 단체 대화방에서 소통하고 있지만, 마미코는 출산 후 친오빠와도 아직 만나지 못했다"는 충격적인 주장까지 제기됐다. 오타니의 WBC 출전이라는 스포츠 뉴스가 그의 아내를 둘러싼 애틋한 가족사로 번지며 일본 열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