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아무 공원이나 가지 마세요…믿고 방문하는 '2025년 모범 도시숲' 리스트 공개

 삭막한 도시의 풍경에 숨통을 틔우고 시민들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는 '2025년 모범 도시숲' 6곳이 드디어 그 모습을 드러냈다. 산림청은 지난 7월 한 달간 전국 27곳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진행된 치열한 공모 끝에, 도시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한 최고의 도시숲들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영예의 타이틀을 거머쥔 곳은 부산 어린이대공원과 태종대유원지, 인천 송도센트럴파크, 강원 횡성 삼일공원, 전남 광양 옥룡솔밭섬, 그리고 경북 포항 송도솔밭도시숲이다. 이들은 단순한 녹지 공간을 넘어, 각 지역의 특색과 시민들의 필요를 반영하며 도시숲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부산은 이번 선정에서 두 곳의 이름을 올리며 숲의 도시로서의 위상을 뽐냈다. 어린이대공원은 성지곡 수원지와 편백숲 등 기존의 자연 지형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동물원과 무장애 숲길 등을 조화롭게 배치해 남녀노소 누구나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자연형 도시숲'의 모범 사례로 꼽혔다. 또한, 천혜의 해안 절경과 울창한 숲이 어우러진 태종대유원지는 방문객들에게 다채롭고 살아있는 산림 경관의 진수를 선사한다. 수도권에서는 인천 송도센트럴파크가 단연 돋보였다. 고층 빌딩 숲 사이에서 인공적으로 조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관리를 통해 다양한 식생이 자리 잡았으며, 도심 열섬 현상 완화, 소음 저감, 대기 정화 등 도시숲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도시와 숲의 이상적인 공존 모델을 보여주었다.

 


지역의 특색을 살린 명품 숲들의 약진도 눈에 띄었다. 강원 횡성 삼일공원은 뛰어난 도심 접근성을 바탕으로 주민들의 휴식과 힐링 장소로 사랑받는 동시에, 3·1절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역사문화적 가치를 품어 방문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전남 광양의 옥룡솔밭섬은 과거 태풍 피해지를 복구해 조성한 숲이라는 특별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산림과 하천, 습지가 어우러진 높은 생태적 다양성을 자랑하며, 지역 공동체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경북 포항 송도솔밭도시숲 역시 1910년대 조성된 해안 방풍림을 기반으로 바다와 숲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풍경을 만들어냈으며, 맨발 걷기, 유아숲체험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주민 및 기업의 자발적인 유지관리 참여가 돋보였다.

 

산림청은 이번에 선정된 6곳의 모범 도시숲이 전국 도시숲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기철 도시숲경관과장은 "단순한 녹지를 넘어 각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앞으로 도시숲의 가치와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임을 시사했다. 이번 모범 도시숲 선정은 우리 곁의 숲이 얼마나 소중한 공간인지, 그리고 어떻게 가꾸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며, 더 푸르고 건강한 도시를 향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세계 1위' 안세영, 아직 올림픽 전설들의 '급'은 아니었다

 현존하는 여자 배드민턴 최강자이자 세계랭킹 1위 안세영의 시대가 활짝 열렸지만, '역대 최고 선수'라는 궁극적인 타이틀을 향한 여정은 이제 막 시작됐다. 올 시즌에만 무려 9개의 국제대회 우승 트로피를 쓸어 담으며 코트 위를 완벽하게 지배하고 있는 그이지만, 과거의 전설들이 쌓아 올린 위대한 업적의 벽은 여전히 높았다. 배드민턴 관련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배드민턴 랭킹스'가 최근 발표한 역대 여자 단식 선수 순위에서 안세영은 616점을 획득하며 4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의 앞에는 시대를 풍미했던 전설적인 이름들이 자리했다. 1위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초대 챔피언인 인도네시아의 수시 수산티(901점)가 차지했고, 2004년과 2008년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한 중국의 장닝(820점)이 2위, 2016 리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스페인의 카롤리나 마린(737점)이 3위에 올랐다.안세영의 이름 앞에 '4위'라는 숫자가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순위 산정 기준을 살펴보면 충분히 납득할 만한 결과다. '배드민ton 랭킹스'는 선수의 통산 성적과 각종 종합 지표를 반영했는데, 특히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에서의 성과에 상당한 가산점을 부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1위부터 3위까지의 선수들이 모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라는 점이 이를 명확히 증명한다. 수산티는 배드민턴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첫 대회에서 정상에 오른 상징적인 인물이며, 장닝은 2회 연속 금메달이라는 불멸의 기록을 세웠다. 마린 역시 유럽 선수로서 아시아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올림픽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섰다. 이처럼 올림픽이라는 가장 권위 있는 무대에서 거둔 성과가 역대 순위를 가르는 핵심 잣대로 작용한 것이다.하지만 이 순위표는 역설적으로 안세영의 미래가 얼마나 찬란하게 빛날지를 증명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2002년생으로 이제 20대 초반에 불과한 안세영은 앞으로 최소 두 번 이상의 올림픽 무대를 밟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당장 다음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거는 것만으로도 그의 순위는 수직 상승할 수 있다. 더욱 고무적인 사실은 현재 그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들조차 이 역대 랭킹에서는 안세영의 아래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동시대를 풍미한 일본의 야마구치 아카네(511점), 중국의 천위페이(396점), 대만의 타이쯔잉(389점) 등은 모두 안세영보다 나이가 많으면서도 누적 포인트에서 격차를 보인다. 사실상 현역 선수 중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한 채, 시간과 싸우며 과거의 전설들을 넘어설 일만 남은 셈이다.안세영을 향한 기대감은 국내뿐만 아니라 최대 경쟁국인 중국 언론의 평가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중국의 '시나스포츠'는 "안세영은 겨우 23세의 나이로 이미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극찬하며, "그녀가 배드민턴계를 평정한 지 3년이 지났지만, 아직 누구도 명확한 공략법을 찾아내지 못했다"고 혀를 내둘렀다. 매체는 심지어 "안세영의 전성기는 이제 막 시작됐지만, 중국에서는 그를 대적할 만한 스타가 나오지 않고 있다"며 자국의 현실을 한탄하기까지 했다. 이는 안세영의 기량이 단순히 뛰어난 수준을 넘어, 동시대 경쟁자들을 절망에 빠뜨릴 만큼 압도적인 경지에 올랐음을 방증한다. 현재 4위라는 숫자는 과정일 뿐, 안세영이 역대 최고의 선수로 등극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것이 배드민턴계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