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흰머리의 충격적 진실…노화의 상징이 아니라 '이것' 막아낸 흔적?

 노화의 피할 수 없는 상징으로 여겨졌던 흰머리가 실은 우리 몸이 암세포의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한 영광의 상처일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일본 도쿄대 의학연구소의 에미 니시무라 교수 연구팀은 머리카락이 하얗게 세는 백발 현상이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과 동전의 양면처럼 맞닿아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우리 몸의 세포는 평생에 걸쳐 DNA 손상을 유발하는 다양한 내외부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는데, 피부와 머리카락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줄기세포 역시 예외는 아니다. 연구진은 생쥐 실험을 통해 이 멜라닌세포 줄기세포가 DNA 손상이라는 위기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떤 운명을 맞이하는지를 추적하며 백발과 암 발생의 근원적인 연결고리를 찾아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DNA 손상을 입은 멜라닌세포 줄기세포는 두 가지의 상반된 길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첫 번째 길은 '노화 연계 분화'라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소멸하는 것이다. 손상된 줄기세포가 더 이상 위험한 세포를 만들어내지 않도록 재생 기능을 멈추고 스스로 장렬히 퇴장하는 일종의 자폭 시스템이다. 이 과정에서 모낭에 더는 멜라닌 색소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머리카락은 본연의 색을 잃고 하얗게 변한다. 즉, 흰머리는 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를 우리 몸이 선제적으로 제거한 흔적인 셈이다. 이는 세포 수준에서 일어나는 고도로 정교한 암 예방 메커니즘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반면, 두 번째 길은 암세포로 향하는 위험한 경로다. 만약 DNA가 손상된 줄기세포가 발암물질에 노출되거나 주변 조직에서 방출되는 특정 신호(KIT ligand)의 영향을 받으면, 스스로 소멸하는 대신 오히려 비정상적인 증식을 시작한다. 손상된 DNA를 가진 채로 무한히 자신을 복제하며 세력을 확장하는 것이다. 이 경우 머리카락은 하얗게 세지 않지만, 그 대가로 통제 불능의 암세포, 즉 흑색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진다. 니시무라 교수는 "동일한 줄기세포가 스트레스의 종류와 주변 환경의 신호에 따라 '소멸'과 '증식'이라는 정반대의 운명을 맞는다"고 설명하며, 백발과 흑색종이 별개의 현상이 아닌 줄기세포 스트레스 반응의 두 갈래 결과임을 강조했다.

 

물론 이 연구가 '흰머리가 많으면 암에 걸리지 않는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라고 연구진은 선을 그었다. 핵심은 흰머리를 만드는 '노화 연계 분화' 과정 자체가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여 암을 예방하는 우리 몸의 중요한 방어 장치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흰머리는 이 방어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작동했음을 보여주는 부산물이다. 만약 어떠한 이유로 이 방어 체계가 실패하거나 우회되어 손상된 세포가 제거되지 않고 살아남는다면, 그때는 암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로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결국 흰머리는 노화의 서글픈 징표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서 끊임없이 암과 싸우고 있는 우리 몸의 치열한 사투를 보여주는 증거인 셈이다.

 

"한국은 쓰레기" 막말 투수, MLB→마이너 전전하다 결국 도미니카 리그로

 한화 이글스 팬들에게 '역사상 최악의 외국인 선수'라는 씻을 수 없는 오명을 남긴 버치 스미스가 선수 생활의 기로에서 중남미 무대의 문을 두드린다. 도미니카공화국 프로야구 리그(LIDOM)의 아길라스 시바에냐스 구단은 10일, 버치 스미스와 로버트 스탁을 동시에 영입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스탁 역시 KBO리그 두산 베어스에서 뛴 경험이 있어 국내 팬들에게 낯설지 않은 이름이지만, 특히 주목받는 것은 단 한 경기에 등판한 뒤 한국을 "쓰레기 나라"라고 비하하는 막말을 남기고 떠났던 스미스의 행보다. 그의 이번 도미니카 리그행은 화려한 재기가 아닌, 벼랑 끝에 몰린 선수의 마지막 몸부림에 가깝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스미스와 한화의 악연은 2023시즌을 앞두고 시작됐다. 한화는 총액 100만 달러라는 거액을 투자하며 그에게 '1선발'의 중책을 맡겼지만, 이는 구단 역사상 최악의 계약으로 귀결됐다. 잦은 부상 경력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4월 1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개막전에 선발 등판한 그는 3회를 채우지 못하고 어깨 통증을 호소하며 스스로 마운드에서 내려왔다. 검진 결과는 투구에 큰 지장이 없는 미세한 근육 손상이었으나, 스미스는 더 이상의 등판을 거부했고 결국 한화는 한 달도 되지 않아 방출이라는 칼을 빼 들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SNS를 통해 팬들의 비판에 "쓰레기 나라에서 잘 지내라"는 망언으로 응수하며 한국 야구계 전체에 큰 상처를 남기고 떠났다.한국을 떠난 직후 스미스는 마이애미 말린스와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거치며 메이저리그에 복귀하는 데는 성공했다. 50경기에 등판해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나름대로 재기에 성공하는 듯 보였으나, 고질적인 부상이 또다시 그의 발목을 잡았고 결국 재계약에 실패했다. 올 시즌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마이너 계약을 맺으며 빅리그 재도전을 노렸지만, 트리플A 무대에서 19경기 평균자책점 7.08이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아 들고 7월 방출 통보를 받았다. 이후 새로운 팀을 찾지 못하고 수개월간 무적 신세로 전전하던 그는 결국 아시아와 북미 무대에서 모두 자리를 잃고 도미니카에서 선수 생활 연장의 기회를 모색하게 된 것이다.한편, 스미스와 함께 아길라스 유니폼을 입게 된 스탁 역시 KBO리그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기지 못하고 돌아간 사례다. 2022시즌 두산의 선발진 한 축을 담당했지만, 불안한 제구와 이닝 소화 능력의 한계를 드러내며 재계약에 실패했다. 이후 미국으로 돌아가 빅리그 무대를 다시 밟기도 했으나 대부분의 시간을 마이너리그에서 보내야 했다. 흥미롭게도 아길라스 구단은 과거 최향남, 강정호 등 KBO와 인연이 있는 선수들이 거쳐 간 곳이기도 하다. 한때는 더 큰 무대를 꿈꿨던 두 투수가 이제는 재기를 위해 중남미에서 다시 만나게 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