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수백 년 고통 끝에…東티모르, 아세안 11번째 회원국으로 '입성'

 지난 2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아세안(ASEAN) 정상 회의에서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이 확정되며, 아세안은 1999년 캄보디아 가입 이후 26년 만에 11개국 체제로 확대됐다. 샤나나 구스망 동티모르 총리는 "수백 년간 이어진 국민들의 이름 없는 희생 덕에 국가적 꿈이 실현됐다"며 감격스러운 소회를 밝혔다. 옆에는 조제 하무스오르타 대통령이 함께했다.

 

구스망 총리는 인도네시아 지배 시절 동티모르민족해방군(FALINTIL) 사령관으로 독립 투쟁을 이끌었으며, 건국 후 대통령과 총리를 역임했다. 하무스오르타 대통령도 FALINTIL 외교 수장이었다. 동티모르는 2011년 아세안 가입을 신청, 2022년 11월 만장일치로 승인받았다.

 

아세안 11개국 중 동티모르는 면적·인구 면에서 싱가포르, 브루나이에 이어 작은 편이다. 1인당 GDP는 1,400달러로, 아세안 최빈곤국 미얀마보다 약간 높다. 독립 후 잦은 정파 갈등과 빈곤에 시달린 동티모르는 이번 아세안 가입이 국가 안정과 경제 도약의 중요한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동티모르의 독립은 고난의 연속이었다. 16세기 포르투갈 식민 지배, 1975년 독립 선언 후 9일 만에 인도네시아 침공으로 유혈 진압됐다. 1999년 국제사회 주도로 독립이 확정될 때까지 10만~20만 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도 동티모르 독립에 의미 있는 역할을 했다.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은 APEC 정상 회의에서 동티모르 문제를 국제적 관심사로 끌어올렸다. 독립 찬반 투표 가결 후 유혈 사태 발생 시, 김 대통령은 다국적군 파병을 위해 인도네시아를 설득하여 안정화에 기여했다. 한국은 제헌의회 선거 관리 인력 지원과 상록수 부대 4년간 주둔으로 치안 확립을 도왔다.

 

아세안 가입으로 동티모르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아세안+3 등 다양한 협의체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는 국제적 위상 제고와 가스·광물 등 자원 개발을 통한 국부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하지만 아세안의 '상호 불간섭주의' 정책 때문에 가입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회의론도 있다. 회원국 간 정정 불안이나 무력 충돌 시 아세안의 조정 역할이 미흡하다는 지적 때문이다. 동티모르가 아세안 안에서 독립의 꿈을 어떻게 펼쳐나갈지 주목된다.

 

'세계 1위' 안세영, 아직 올림픽 전설들의 '급'은 아니었다

 현존하는 여자 배드민턴 최강자이자 세계랭킹 1위 안세영의 시대가 활짝 열렸지만, '역대 최고 선수'라는 궁극적인 타이틀을 향한 여정은 이제 막 시작됐다. 올 시즌에만 무려 9개의 국제대회 우승 트로피를 쓸어 담으며 코트 위를 완벽하게 지배하고 있는 그이지만, 과거의 전설들이 쌓아 올린 위대한 업적의 벽은 여전히 높았다. 배드민턴 관련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배드민턴 랭킹스'가 최근 발표한 역대 여자 단식 선수 순위에서 안세영은 616점을 획득하며 4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의 앞에는 시대를 풍미했던 전설적인 이름들이 자리했다. 1위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초대 챔피언인 인도네시아의 수시 수산티(901점)가 차지했고, 2004년과 2008년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한 중국의 장닝(820점)이 2위, 2016 리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스페인의 카롤리나 마린(737점)이 3위에 올랐다.안세영의 이름 앞에 '4위'라는 숫자가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순위 산정 기준을 살펴보면 충분히 납득할 만한 결과다. '배드민ton 랭킹스'는 선수의 통산 성적과 각종 종합 지표를 반영했는데, 특히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에서의 성과에 상당한 가산점을 부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1위부터 3위까지의 선수들이 모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라는 점이 이를 명확히 증명한다. 수산티는 배드민턴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첫 대회에서 정상에 오른 상징적인 인물이며, 장닝은 2회 연속 금메달이라는 불멸의 기록을 세웠다. 마린 역시 유럽 선수로서 아시아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올림픽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섰다. 이처럼 올림픽이라는 가장 권위 있는 무대에서 거둔 성과가 역대 순위를 가르는 핵심 잣대로 작용한 것이다.하지만 이 순위표는 역설적으로 안세영의 미래가 얼마나 찬란하게 빛날지를 증명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2002년생으로 이제 20대 초반에 불과한 안세영은 앞으로 최소 두 번 이상의 올림픽 무대를 밟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당장 다음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거는 것만으로도 그의 순위는 수직 상승할 수 있다. 더욱 고무적인 사실은 현재 그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들조차 이 역대 랭킹에서는 안세영의 아래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동시대를 풍미한 일본의 야마구치 아카네(511점), 중국의 천위페이(396점), 대만의 타이쯔잉(389점) 등은 모두 안세영보다 나이가 많으면서도 누적 포인트에서 격차를 보인다. 사실상 현역 선수 중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한 채, 시간과 싸우며 과거의 전설들을 넘어설 일만 남은 셈이다.안세영을 향한 기대감은 국내뿐만 아니라 최대 경쟁국인 중국 언론의 평가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중국의 '시나스포츠'는 "안세영은 겨우 23세의 나이로 이미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극찬하며, "그녀가 배드민턴계를 평정한 지 3년이 지났지만, 아직 누구도 명확한 공략법을 찾아내지 못했다"고 혀를 내둘렀다. 매체는 심지어 "안세영의 전성기는 이제 막 시작됐지만, 중국에서는 그를 대적할 만한 스타가 나오지 않고 있다"며 자국의 현실을 한탄하기까지 했다. 이는 안세영의 기량이 단순히 뛰어난 수준을 넘어, 동시대 경쟁자들을 절망에 빠뜨릴 만큼 압도적인 경지에 올랐음을 방증한다. 현재 4위라는 숫자는 과정일 뿐, 안세영이 역대 최고의 선수로 등극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것이 배드민턴계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