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10년 만에' 레이 복귀! 엑소, 완전체 아닌 6인조 컴백…무슨 일?

 그룹 엑소(EXO)가 연말 팬미팅 개최와 함께 내년 새 앨범 발매를 공식화하며 팬들의 뜨거운 기대를 모으고 있다. 27일 소속사 SM엔터테인먼트의 발표에 따르면, 엑소는 오는 12월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간 인천 중구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팬미팅 'EXO'verse(엑소버스)'를 개최한다. 이와 더불어 2026년 1분기 중 정규 8집 앨범을 발매하고 활발한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번 팬미팅과 새 앨범 활동에는 수호, 찬열, 디오, 카이, 세훈, 레이 등 여섯 명의 멤버가 참여한다. 그동안 각자의 영역에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아온 멤버들이 오랜만에 '엑소'라는 이름으로 한자리에 모이는 만큼, 국내외 팬덤은 물론 가요계 전반의 높은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발표는 엑소의 향후 활동 방향성을 제시하며 그룹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고조시키고 있다.

 

이번 팬미팅 'EXO'verse'는 팬클럽 '엑소엘(EXO-L)'과 엑소 멤버들이 함께 지난 시간을 되새기고 새로운 추억을 만들어갈 특별한 자리로 기획되었다. 엑소는 팬미팅에서 겨울 시즌 대표곡인 '첫 눈'을 비롯한 다수의 히트곡 무대를 선보이며 팬들에게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정규 8집 앨범에 수록될 신곡 무대를 팬미팅에서 최초 공개할 것으로 알려져 컴백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팬미팅 티켓 예매는 멜론티켓을 통해 진행되며, 오는 10월 30일 오후 8시에는 팬클럽 선예매가, 31일 오후 8시에는 일반 예매가 시작된다. 현장 참여가 어려운 해외 팬들을 위해 비욘드 라이브 및 위버스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생중계도 예정되어 있으며, 관련 상세 정보는 추후 엑소 공식 계정을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

 


엑소는 이미 지난 9월, 개기월식의 순간을 연상시키는 신비로운 형상의 이미지를 공개하며 컴백에 대한 암시를 던진 바 있다. 당시 이미지 속에는 'DECEMBER 2025'라는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이번 12월부터 본격적인 앨범 관련 프로모션 콘텐츠가 순차적으로 공개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팬들은 이 티저 이미지를 통해 엑소의 새로운 활동에 대한 다양한 추측과 기대를 쏟아냈으며, 이번 공식 발표로 그 궁금증이 해소되는 동시에 본격적인 컴백 카운트다운에 돌입하게 되었다. 엑소는 매 앨범마다 독창적인 콘셉트와 음악적 시도로 K팝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왔기에, 이번 정규 8집 역시 어떤 새로운 매력으로 대중을 사로잡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이번 엑소의 활동 참여 멤버 구성은 팬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특히, 지난 2022년 4월 SM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 종료 소식을 알리며 엑소 활동에서 잠시 멀어졌던 레이가 이번 팬미팅과 정규 8집 활동에 합류한다는 소식은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 레이의 복귀는 오랜 시간 엑소의 완전체 활동을 기다려온 팬들에게 큰 선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엑소의 유닛 첸백시(CHENBAEKXI) 멤버인 첸, 백현, 시우민은 현재 SM엔터테인먼트와 전속계약 관련 소송을 진행 중인 관계로 이번 활동에는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의 불참은 그룹 활동의 완전체 구성에 대한 아쉬움을 남기지만, 나머지 멤버들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엑소의 건재함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활동을 통해 엑소가 어떤 새로운 음악과 퍼포먼스를 선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

 

윤석열 정부 탓 vs 글로벌 위기 탓…'네탓 공방'에 예산 심사 '시계 제로'

 이재명 정부의 첫 본예산안을 둘러싼 여야의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 시절 악화된 경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을 '적극 재정' 기조로 운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이를 '미래 세대에게 빚을 떠넘기는 퍼주기식 확장 예산'으로 규정하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양측의 팽팽한 기 싸움 속에서 내년도 나라 살림의 방향을 결정할 예산안 심사가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민주당은 저성장 위기, 지방 소멸, 급변하는 국제 정세 등 산적한 현안 해결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역할이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한병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은 최근 정부의 2차 추경 등 재정 정책이 경제 전망을 긍정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언급하며, 728조 원에 달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예산안 편성이 경제 성장을 유도하고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임을 강조했다. 이소영 의원 역시 윤석열 정부 3년간의 경제 침체를 지적하며,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인 1.8%가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들어 확장 재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재정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에 대해 민주당은 기존 예산의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낭비 요인을 줄였기 때문에 오히려 재정 운용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반박한다. 지출 규모가 커진 만큼 방만한 운영에 대한 염려가 있을 수 있지만, 철저한 심사를 통해 낭비성 예산을 걷어내고 민생 경제 회복이라는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즉, 단순히 돈을 푸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곳에 제대로 투자하여 경제의 활력을 되찾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확장 재정 기조를 강하게 비판하며 재정 건전성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박형수 의원은 윤석열 정부 시절의 경제 정책이 우크라이나 및 중동 전쟁,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 속에서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강조하며, 재정 건전성을 외면한 국가들이 겪는 어려움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민에게 부담을 가중시키는 현금 살포성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고, 국채 발행을 줄여 미래 세대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예산안을 심사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