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日 'K-문학' 열풍의 중심, 도쿄 서점가에서 나흘간 펼쳐질 특별한 만남

 내달 도쿄의 중심가에서 나흘간 한국 문학의 정수를 선보이는 특별한 축제가 열린다. 한국문학번역원은 주일본한국문화원과 손잡고,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이라는 뜻깊은 해를 기념하기 위해 '마주한 마음들: 한국문학, 우리를 잇다'라는 이름의 대규모 문학 행사를 개최한다. 이는 매년 한 국가를 집중 조명해온 번역원의 연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최근 몇 년 사이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일본이 올해의 무대로 선정된 것이다. 단순한 책 소개를 넘어, 문학이라는 섬세한 언어를 통해 양국의 독자들이 서로의 마음을 마주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는 교류의 장을 만들겠다는 포부가 담겨 있다.

 

이번 행사의 가장 큰亮点은 단연 화려한 작가 라인업에 있다. '풀꽃'이라는 단 하나의 시로 수많은 이들의 마음을 움직인 나태주 시인을 필두로, 한국 문학계의 묵직한 존재감을 자랑하는 이승우, 정지아 작가, 그리고 섬세한 문체로 일본 내에서도 두터운 팬층을 확보하고 있는 백수린, 최은영 작가까지, 그야말로 한국 문학의 현재를 대표하는 다섯 명의 작가가 도쿄를 찾는다. 이들은 최근 일본에 자신의 작품을 출간하며 'K-문학'의 존재감을 뚜렷이 각인시킨 주역들이다. 작가들은 각자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일본 독자들과 직접 공유하며, 언어와 국경의 장벽을 넘어 문학이 어떻게 사람과 사람의 마음을 잇는 강력한 통로가 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줄 예정이다.

 


행사는 이미 일본 내 한국 문학 팬들에게는 연례 축제로 자리 잡은 '케이북 페스티벌(K-BOOK Festival)'과 연계하여 더욱 풍성하게 꾸려진다. 첫날인 19일, 주일한국문화원 한마당홀에서 열리는 개막식에서는 나태주 시인의 감미로운 시 낭독과 네 명의 소설가가 함께하는 깊이 있는 대담으로 축제의 서막을 연다. 이튿날부터는 도쿄의 서점가로 유명한 진보초 등으로 자리를 옮겨, 작가별로 진행되는 '작가와의 만남'을 통해 독자들이 작품과 작가의 세계를 더욱 깊이 있게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밀도 높은 소통의 시간은 책이라는 매개를 통해 작가와 독자가 서로의 삶과 생각을 나누는 따뜻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행사의 마지막 날은 케이북 페스티벌 현장에서 그 대미를 장식한다. 나태주, 이승우, 백수린, 최은영 작가가 참여하는 특별 대담 'Q&A로 살펴보는 작가들의 진면목'을 통해 문학적 영감의 원천과 창작 과정의 비밀 등 팬들이 궁금해했던 이야기들을 진솔하게 풀어놓는다. 이와 더불어, 한일 양국의 출판 관계자 60여 명이 한자리에 모이는 교류회가 마련되어, 문학을 매개로 한 비즈니스 협력과 미래를 논하는 실질적인 협력의 장까지 펼쳐진다. 이번 행사는 높아진 K-문학의 위상을 확인하는 자리를 넘어, 양국 출판 문화 교류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투수에서 타자로, 끝나지 않은 도전… 박준영의 파란만장했던 9년

 ‘1차 지명’이라는 화려한 수식어와 함께 프로에 입문했던 두산 베어스 내야수 박준영이 그라운드를 떠난다. 박준영은 최근 구단에 현역 은퇴 의사를 전달했으며, 두산은 이를 받아들여 오는 19일 열리는 KBO 2차 드래프트 35인 보호명단에서 그의 이름을 제외했다. 구단 관계자에 따르면 반복되는 부상에 박준영 본인이 심신이 지쳐있음을 호소했으며, 당분간 휴식을 취하며 제2의 인생을 구상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2016년 1차 지명으로 NC 다이노스 유니폼을 입은 지 9년 만의 아쉬운 결정이다.박준영의 야구 인생은 순탄치 않았다. 투수로 프로 생활을 시작한 그는 데뷔 첫해인 2016년, 32경기에 등판해 1승 3패 5홀드 평균자책 6.95를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하지만 고질적인 팔꿈치 부상이 그의 발목을 잡았고, 결국 2020시즌을 앞두고 내야수로 전향하는 힘든 결정을 내렸다. 투수로서의 재능을 채 꽃피우지 못한 아쉬움을 뒤로하고 타자로서 새로운 도전에 나선 것이다.타자 전향 후 박준영은 점차 1군 무대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2021시즌 111경기에 출전해 8개의 홈런을 터뜨리며 장타력을 과시했고, 2023시즌을 앞두고는 포수 박세혁의 FA 보상 선수로 두산 베어스로 이적하며 새로운 기회를 맞았다. 이적 첫해인 2023시즌 후반기 51경기에서 타율 0.228, 4홈런을 기록하며 다음 시즌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2024시즌 초반에는 주전 유격수로 낙점받기도 했으나, 또다시 부상과 타격 기복에 시달리며 65경기 출전, 타율 0.226, 7홈런의 성적에 만족해야 했다.꺼져가던 불꽃을 되살리기 위해 절치부심했던 2025시즌, 시작부터 꼬였다. 허리 부상으로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서 제외됐고, 시즌 내내 이렇다 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결국 41경기에서 타율 0.225, 1홈런, 10타점에 그치며 시즌 막판에는 재활에 매달려야 했다. 그 사이 팀은 안재석, 이유찬, 박지훈 등 젊은 내야수들이 치고 올라오며 그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결국 끊임없이 이어진 부상 악령과 치열한 주전 경쟁 속에서 박준영은 현역 생활의 마침표를 찍기로 결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