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K-콘텐츠 대박 터졌는데…정작 뿌리는 중국에 통째로 내주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고유 전통공예인 매듭이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왜곡된 정보가 국가유산청 공식 홈페이지에 수년간 버젓이 게시되어 온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가유산청은 홈페이지 내 매듭장(매듭匠) 소개 페이지에 “우리나라 매듭이 중국과의 빈번한 교류로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고 기술했다. 이는 1968년 국가 무형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그 독창성과 역사성을 인정받은 우리 고유의 문화를 스스로 폄훼하고, 동북공정의 빌미를 제공한 셈이어서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이 어처구니없는 설명은 박 의원실의 문제 제기가 있고 나서야 지난 1일에서야 삭제되었지만, 국가유산청은 해당 내용이 얼마나 오랫동안 노출되었는지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안일한 문화유산 관리 실태를 여실히 드러냈다.

 

국가기관의 공식적인 정보는 곧 그 나라의 입장을 대변한다. 아니나 다를까, 국가유산청의 이 잘못된 설명은 중국에게 한국 문화 왜곡을 위한 아주 좋은 먹잇감이 되었다. 중국의 최대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 등에서는 이미 2021년부터 “한국 매듭은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담긴 게시물이 퍼져나가기 시작했으며, 일부는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화면을 캡처해 “한국 정부가 매듭의 중국 기원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악용했다. 실제로 2021년 1월 작성된 한 중국어 기사는 국가유산청 홈페이지를 직접 인용하며 “한국 매듭은 중국을 통해 들어왔다”고 단정적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 기관이 스스로 제공한 근거를 토대로 중국이 자국의 문화 패권주의를 정당화하고 있는 기막힌 상황이 수년간 방치되어 온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문화유산 왜곡 시도가 비단 매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국가유산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아리랑, 가야금, 농악, 김장 등 무려 20개에 달하는 한국의 무형유산을 자국 문화라고 주장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중 8개는 아직 한국의 국가유산으로 지정조차 되지 않은 상태이며, 심지어 6개는 중국이 한국보다 먼저 자국의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우리가 우리 문화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는 사이, 중국은 치밀하고 조직적으로 한국 문화의 원조를 주장하며 ‘문화 동북공정’을 노골적으로 펼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

 

K-콘텐츠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며 한국 문화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 역설적으로 우리 문화유산이 타국의 것으로 왜곡되고 침탈당할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번 국가유산청의 안일한 대응은 이러한 문화 전쟁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박수현 의원은 “K-콘텐츠가 세계를 선도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한국 문화유산이 타국의 것으로 왜곡되는 문화 침탈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더 이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대응으로는 안 되며, 문화 왜곡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전담 조직 설치와 실효성 있는 대응 매뉴얼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국가 차원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 구축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한 시점이다.

 

시민 불안 잠재울까? 부산교통공사, PM 화재·차량 고장 '복합재난' 훈련 공개

 부산교통공사(사장 이병진)는 지난 29일 대저차량기지에서 도시철도 내 배터리 화재 및 차량 고장 등 복합재난 상황에 대비한 '2025년 재난대비 상시훈련'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훈련은 최근 급증하는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와 보조배터리 관련 화재 사고로 인해 시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도시철도 운영 기관으로서 선제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복합재난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전동킥보드나 전기자전거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 발생 시 급격한 열 폭주 현상과 유독가스 배출 가능성이 높아 밀폐된 공간인 도시철도 내부에서 발생할 경우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이날 훈련은 열차 운행 중 전동킥보드 배터리 폭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1차 재난으로 가정하고 시작되었다. 기관사와 승무원들은 초기 진화 및 승객 대피 유도 절차를 신속히 수행했으며, 관제실은 즉시 유관기관에 상황을 전파하고 후속 조치를 지시했다. 이후 화재 진압을 마치고 회송 중이던 열차가 갑작스러운 고장으로 멈춰서는 2차 재난 상황이 연출되었다. 이는 단순 화재를 넘어선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재난 발생 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연쇄적 상황에 대한 실질적인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훈련에는 부산교통공사 직원들뿐만 아니라 강서소방서, 그리고 시민참여단이 함께 참여하여 실전과 같은 긴장감 속에서 진행되었다. 공사는 이번 훈련을 통해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부터 승객 대피, 유관기관과의 정보 공유 및 협력, 그리고 고장 열차 복구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유기적인 공조 체계와 복합재난 대응 역량을 면밀히 점검했다. 특히, 시민참여단은 승객의 입장에서 실제 대피 과정과 안내 방송 등을 체험하며 개선 사항을 제안하여 훈련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는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실제 이용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이병진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훈련을 마친 뒤 "최근 배터리 관련 화재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철도 내 안전 확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번 훈련을 통해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능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다양한 재난 상황을 가정한 실전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시민들이 안심하고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교통공사는 이번 훈련에서 도출된 개선점을 바탕으로 재난 대응 매뉴얼을 보완하고, 정기적인 교육 및 훈련을 통해 모든 직원의 위기 대응 능력을 상시적으로 유지·향상시켜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