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K-콘텐츠 대박 터졌는데…정작 뿌리는 중국에 통째로 내주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고유 전통공예인 매듭이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왜곡된 정보가 국가유산청 공식 홈페이지에 수년간 버젓이 게시되어 온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가유산청은 홈페이지 내 매듭장(매듭匠) 소개 페이지에 “우리나라 매듭이 중국과의 빈번한 교류로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고 기술했다. 이는 1968년 국가 무형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그 독창성과 역사성을 인정받은 우리 고유의 문화를 스스로 폄훼하고, 동북공정의 빌미를 제공한 셈이어서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이 어처구니없는 설명은 박 의원실의 문제 제기가 있고 나서야 지난 1일에서야 삭제되었지만, 국가유산청은 해당 내용이 얼마나 오랫동안 노출되었는지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안일한 문화유산 관리 실태를 여실히 드러냈다.

 

국가기관의 공식적인 정보는 곧 그 나라의 입장을 대변한다. 아니나 다를까, 국가유산청의 이 잘못된 설명은 중국에게 한국 문화 왜곡을 위한 아주 좋은 먹잇감이 되었다. 중국의 최대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 등에서는 이미 2021년부터 “한국 매듭은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담긴 게시물이 퍼져나가기 시작했으며, 일부는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화면을 캡처해 “한국 정부가 매듭의 중국 기원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악용했다. 실제로 2021년 1월 작성된 한 중국어 기사는 국가유산청 홈페이지를 직접 인용하며 “한국 매듭은 중국을 통해 들어왔다”고 단정적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 기관이 스스로 제공한 근거를 토대로 중국이 자국의 문화 패권주의를 정당화하고 있는 기막힌 상황이 수년간 방치되어 온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문화유산 왜곡 시도가 비단 매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국가유산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아리랑, 가야금, 농악, 김장 등 무려 20개에 달하는 한국의 무형유산을 자국 문화라고 주장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중 8개는 아직 한국의 국가유산으로 지정조차 되지 않은 상태이며, 심지어 6개는 중국이 한국보다 먼저 자국의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우리가 우리 문화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는 사이, 중국은 치밀하고 조직적으로 한국 문화의 원조를 주장하며 ‘문화 동북공정’을 노골적으로 펼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

 

K-콘텐츠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며 한국 문화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 역설적으로 우리 문화유산이 타국의 것으로 왜곡되고 침탈당할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번 국가유산청의 안일한 대응은 이러한 문화 전쟁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박수현 의원은 “K-콘텐츠가 세계를 선도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한국 문화유산이 타국의 것으로 왜곡되는 문화 침탈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더 이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대응으로는 안 되며, 문화 왜곡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전담 조직 설치와 실효성 있는 대응 매뉴얼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국가 차원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 구축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한 시점이다.

 

고등어 11%, 사과 21%…숨 막히는 장바구니 물가, 밥상 뒤엎을 판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으며 다시금 서민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2.4% 상승하며 지난해 7월(2.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8월 1.7%까지 둔화하며 잠시 안정세를 찾는 듯했던 물가상승률은 9월 2.1%로 반등한 데 이어, 10월에는 상승 폭을 더욱 키우며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이는 긴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억눌렸던 소비 심리가 폭발하며 여행 관련 서비스 비용이 급등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이번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은 단연 개인서비스 물가였다. 특히 열흘에 달하는 긴 추석 연휴를 맞아 여행 수요가 몰리면서 관련 품목들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솟았다. 콘도 이용료는 1년 전보다 무려 26.4%나 폭등했고, 승용차 임차료와 해외 단체여행비 역시 각각 14.5%, 12.2%라는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서비스 물가의 급등은 전체 물가를 0.72%포인트나 끌어올리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며, 연휴 특수가 물가 전반에 미친 파급력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일상적인 외식 물가 상승률(3.0%)이 다소 둔화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기간의 보복 소비가 전체 지표를 뒤흔든 셈이다.장바구니 물가 역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반적으로 3.1% 상승하며 가계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축산물과 수산물이 각각 5.3%, 5.9% 올랐는데, 특히 서민들이 즐겨 찾는 돼지고기(6.1%)와 고등어(11.0%)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잦은 비로 출하가 지연된 쌀(21.3%)과 찹쌀(45.5%) 가격도 급등했으며, 사과 가격 역시 21.6%나 오르며 과일 전체의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다만, 출하량이 늘어난 채소류 가격이 14.1% 하락하며 농산물 가격의 상승 폭을 일부 억제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전반적인 먹거리 물가의 상승 압력은 여전히 거셌다.에너지와 식료품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하여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표들도 일제히 상승 폭을 키우며 우려를 더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와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각각 2.5%, 2.2% 상승하며 모두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는 일시적인 요인을 넘어 경제 전반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심의관은 "긴 연휴로 인한 여행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지만, 근원물가의 상승세는 앞으로의 물가 안정을 낙관하기 어렵게 만드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