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중국 오지 마라"…린샤오쥔, 연이은 부진에 분노한 중국 여론, 결국 터졌다

 중국으로 귀화한 쇼트트랙 선수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의 끝없는 부진이 이어지자, 위기감을 느낀 중국 대표팀이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한때 중국 쇼트트랙의 간판스타로 기대를 모았던 그는 2025~2026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투어 1, 2차 대회에서 연이어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며 고개를 숙였다. 특히 지난 20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2차 대회 남자 1,000m 본선에서는 조 최하위로 밀려 탈락하는 등 이름값에 전혀 미치지 못하는 모습으로 팬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다.

 

그의 부진은 단순히 한두 번의 실수가 아니었다. 지난 월드투어 1차 대회에서부터 500m, 1,000m, 1,500m 세 종목 모두 결승 무대조차 밟지 못하며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절치부심하며 나선 2차 대회에서는 더욱 심각한 모습을 노출했다. 자신의 주력 종목인 500m와 1,500m에서 연달아 반칙으로 실격당하며 스스로 무너졌고, 유일하게 기대를 걸었던 1,000m마저 준결승의 벽을 넘지 못하고 탈락하며 개인전 메달 획득에 완전히 실패했다. 한때 세계 정상을 호령했던 선수라고는 믿기 힘든 무기력한 경기력이었다.

 


연이은 부진에 중국 현지 여론은 싸늘하게 돌아섰다. '소후 닷컴' 등 중국 언론과 팬들은 "중국으로 돌아오지 마라", "린샤오쥔의 실수로 올림픽 출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대표팀의 린샤오쥔 선택은 잘못된 도박이었다" 등 날 선 비판을 쏟아내며 분노를 표출했다. 한때 영웅으로 떠받들던 분위기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이제는 그의 존재 자체가 대표팀의 위기 요인으로 지목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귀화 과정부터 숱한 논란의 중심에 섰던 그에게 비판의 화살이 집중되고 있다.

 

결국 중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극약 처방을 내렸다. 대표팀은 2차 대회가 끝나자마자 휴식도 없이 곧바로 네덜란드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중국 '넷이즈'에 따르면, 대표팀은 암스테르담에서 약 한 달간의 해외 특별 훈련에 돌입하며, 이 기간의 성과가 올림픽 출전권이 걸린 향후 월드투어 성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매체는 "린샤오쥔이 이번 해외 훈련을 통해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집중 훈련에 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전지훈련이 부진에 빠진 그에게 주어진 사실상의 마지막 기회가 될 것임을 시사했다.

 

꿈의 4000 돌파, 축포 터뜨린 증시…하지만 "진짜는 지금부터", 살얼음판 예고된 이유

 대한민국 주식 시장이 마침내 새로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썼다. 27일 오전, 코스피 지수가 장중 40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처음으로 '사천피' 시대를 열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8.20포인트(1.48%) 오른 3999.79로 출발하며 개장과 동시에 4000선 턱밑까지 치고 올라갔다. 이내 거침없는 상승세를 보이며 장중 한때 4021.93까지 치솟아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오전 9시 9분 현재 전장 대비 78.58포인트(1.99%) 급등한 4020.17을 기록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4000선 돌파를 두고, 그동안 꿈의 영역으로만 여겨졌던 '오천피'(코스피 5000)를 향한 본격적인 여정이 시작되었다는 장밋빛 전망까지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이날 역사적인 지수 상승의 일등 공신은 외국인과 개인 투자자였다.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787억 원, 1,204억 원어치를 순매수하며 강력한 매수세로 지수를 밀어 올린 반면, 기관 투자자들은 1,994억 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서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강력한 매수세는 국내 증시의 대장주들에게 고스란히 옮겨붙었다. 대한민국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 주가가 사상 처음으로 10만 원 선을 돌파하며 '십만전자' 시대를 열었고, 2위인 SK하이닉스 주가 역시 단숨에 53만 원대까지 치솟는 등 반도체 투톱이 시장의 열기를 주도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이처럼 한국 증시가 뜨겁게 달아오른 배경에는 긍정적인 대외 여건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간밤 뉴욕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훈풍을 불어넣은 것이 주된 동력이었다. 지난주 말 발표된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의 예상치를 밑돌자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었고, 이에 뉴욕의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하며 투자 심리를 크게 개선시켰다. 여기에 더해, 오는 30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이 예정되면서, 오랜 기간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했던 미·중 무역 갈등이 봉합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진 것 또한 국내 증시에 강력한 호재로 작용했다.다만, 축포를 터뜨리기엔 아직 이르다는 신중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당장 이번 주부터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APEC 정상회의, 본격적인 기업 실적 시즌 등 굵직한 이벤트들을 연달아 마주해야 한다. 키움증권의 한지영 연구원은 이러한 주요 이벤트들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일간 단위의 주가 변동성이 지난주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특히, 국내 증시는 전통적으로 기업들의 실적 발표 이후 단기 차익을 노린 실현 매물이 출회되는 경향이 짙었던 만큼, 이번에도 유사한 패턴이 반복되면서 일시적인 주가 조정이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