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시청률 19.4% '폭군의 셰프' 신화! 박준면, 포상 휴가 불참에도 빛나는 '의리' 과시?

 배우 박준면이 드라마 '폭군의 셰프'의 성공적인 종영 후 떠난 포상 휴가에 불참하게 된 아쉬움을 솔직하게 드러냈다. '폭군의 셰프'는 압도적인 시청률과 화제성을 기록하며 큰 사랑을 받았고, 이에 제작진과 배우들은 베트남 다낭으로 포상 휴가를 떠났다. 박준면은 비록 함께하지 못했지만, 동료 배우들의 즐거운 모습을 보며 흐뭇한 마음과 함께 부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그의 '웃픈' 심경은 팬들에게도 큰 공감을 얻으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 22일, 박준면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포상 휴가 좋니?"라는 짧지만 의미심장한 글과 함께 영상을 게재했다. 공개된 영상 속에는 '폭군의 셰프'에서 각각 신수혁 역과 공길 역으로 열연했던 박영운과 이주안이 다낭으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환한 미소를 짓고 있었다. 두 사람은 박준면에게 "선배님 같이 왔으면 너무 좋았을 텐데 아쉽다. 보고 싶다. 선배님 몫까지 놀고, 기념품 사가겠다"며 애정 어린 인사를 건넸다. 이에 박준면은 "공길이랑 수혁아 내 몫까지"라고 답하며 포상 휴가 불참에 대한 아쉬운 마음을 재차 표현했다. 박준면은 드라마에서 최말임 역을 맡아 극의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해내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한편, '폭군의 셰프' 출연진과 제작진은 지난 21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베트남 다낭으로 포상 휴가를 떠났다. 특히 드라마의 주연을 맡아 열연을 펼쳤던 배우 임윤아와 이채민의 출국 모습이 포착되어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폭군의 셰프'는 하루아침에 조선 시대로 떨어진 프렌치 셰프 연지영(임윤아 분)이 최고의 미식가이자 최악의 폭군인 왕 이헌(이채민 분)을 만나며 벌어지는 예측불허의 로맨틱 코미디 사극이다. 신선한 소재와 배우들의 호연이 어우러져 방영 내내 큰 화제를 모았으며, 매회 시청자들의 기대를 뛰어넘는 스토리로 큰 사랑을 받았다.

 

'폭군의 셰프'는 시청률 면에서도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닐슨코리아 기준 최종회 시청률은 전국 평균 17.1%, 최고 19.4%를 기록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특히 드라마는 2주 차부터 4주 연속으로 전 채널 동시간대 1위를 굳건히 지키는 기염을 토했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했다. 티빙에서는 VOD UV(8월 23일~9월 21일 기준) 1위를 차지했으며,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에서는 비영어 TV쇼 부문에서 2주 연속 1위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는 tvN 드라마 역사상 최초의 기록으로, '폭군의 셰프'가 단순한 인기 드라마를 넘어선 신드롬급 흥행작이었음을 입증하는 대목이다.

 

이재명 대통령, 쿠알라룸푸르서 아세안+3 협력 강화 제안…한·중·일 연계 강조

 말레이시아를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7일(현지 시각)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하여, 보호무역주의 심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으로 야기된 새로운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아세안+3 국가 간의 협력 강화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모두 발언을 통해 역내 국가들이 직면한 복합적인 도전 과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조하며, 아세안+3 협력의 중요성을 역설했다.이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서 ‘역내 경제·금융 협력 강화를 위한 아세안+3 정상 성명’이 채택된 것에 대해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하며, 현재 우리가 당면한 위기가 단순히 경제적 차원을 넘어 복합적이고 다층적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 국가 간·세대 간·계층 간 디지털 격차 심화, 기후변화와 자연재해로 인한 식량 및 에너지 위기, 그리고 초국가 범죄 등 다양한 도전 과제들이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사반세기 전 아세안+3 출범의 근간이 되었던 ‘협력과 연대의 정신’을 되새겨 이러한 위기들을 슬기롭게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특히 이 대통령은 최근 스캠센터 등 조직적인 범죄 집단에 의한 초국가 범죄가 수많은 사람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음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한국 정부가 아세안 경찰 협력체인 아세아나폴(ASEANAPOL)과 긴밀히 협력할 의지를 밝혔다. 그는 아세안+3 회원국들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한편,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무상은 미·일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회의 하루 전 먼저 귀국함에 따라, 이 대통령과의 조우는 불발되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회의에 참석한 리창 중국 총리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에게 취임 후 첫 만남에 대한 반가움을 표하며 인사를 건넸다.이 대통령은 이어 이번 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이 예정되어 있으며, 다카이치 총무상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도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한·중·일 3국 간의 활발한 교류가 아세안+3 협력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아세안+3 협력이 한·중·일 교류를 견인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중국, 일본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임을 천명했다. 이는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지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미래 지향적인 관계 설정을 위한 한국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