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무심코 먹은 '이 약' 때문에 온몸이 퉁퉁…알고 보니 해열진통제 부작용?

 어느 날 갑자기 손가락의 반지가 꽉 끼거나 저녁만 되면 신발이 작게 느껴지는 경험은 누구에게나 흔하다. 대부분은 피로나 일시적인 체중 증가로 여기고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쉽지만, 이는 우리 몸의 수분과 염분 균형이 무너졌다는 경고 신호인 '부종'일 수 있다. 부종은 세포와 세포 사이 공간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고이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만약 이러한 붓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거나 특정 부위에만 집중된다면 단순한 컨디션 난조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특히 심장, 간, 신장과 같은 주요 장기의 기능에 문제가 생겼음을 알리는 위험 신호일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부종은 발생하는 범위에 따라 몸 전체가 붓는 전신부종과 특정 부위에 체액이 고이는 국소부종으로 나뉜다. 전신부종은 심장이나 간, 신장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주로 나타난다. 이들 장기의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 나트륨 배출이 어려워지고, 그 결과 염분이 몸 안에 축적되면서 얼굴, 손, 다리 등 신체 여러 부위가 동시에 붓게 된다. 울혈성 심부전, 간경변, 신증후군 등이 대표적인 원인 질환이다. 반면 정맥류나 림프부종처럼 혈관 순환에 문제가 생기면 다리 등 특정 부위에만 체액이 고이는 국소부종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장시간 서 있거나 앉아있는 자세,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 일상적인 요인이나 해열제로 쓰이는 이부프로펜 성분의 소염진통제, 일부 혈압약 및 당뇨약의 부작용으로도 부종이 생길 수 있다.

 


부종 치료의 핵심은 원인이 되는 질환을 파악하고 교정하는 것과 함께, 염분 섭취를 엄격히 제한하는 것이다. 나트륨은 우리 몸의 수분 저장량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소금 섭취를 하루 5g(나트륨 2g) 이하로 줄이는 저염식은 부종 관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원칙이다. 국이나 찌개의 국물, 젓갈이나 장아찌처럼 염분 함량이 높은 음식을 피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건강을 위해 염분을 완전히 끊는 극단적인 무염식은 오히려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싱겁게 먹는 습관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공적인 부종 관리를 위해서는 식습관 개선과 함께 생활 습관의 교정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오랫동안 같은 자세로 서 있거나 앉아있는 것을 피하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통해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것이 좋다. 잠자리에 들 때는 다리 밑에 쿠션을 받쳐 심장보다 약간 높게 두는 습관이 부종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역시 몸의 순환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필수 요소다. 부종은 단순히 몸이 붓는 불편한 현상을 넘어, 우리 몸속 순환계가 보내는 이상 신호임을 기억하고 조기에 원인을 파악하여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투수에서 타자로, 끝나지 않은 도전… 박준영의 파란만장했던 9년

 ‘1차 지명’이라는 화려한 수식어와 함께 프로에 입문했던 두산 베어스 내야수 박준영이 그라운드를 떠난다. 박준영은 최근 구단에 현역 은퇴 의사를 전달했으며, 두산은 이를 받아들여 오는 19일 열리는 KBO 2차 드래프트 35인 보호명단에서 그의 이름을 제외했다. 구단 관계자에 따르면 반복되는 부상에 박준영 본인이 심신이 지쳐있음을 호소했으며, 당분간 휴식을 취하며 제2의 인생을 구상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2016년 1차 지명으로 NC 다이노스 유니폼을 입은 지 9년 만의 아쉬운 결정이다.박준영의 야구 인생은 순탄치 않았다. 투수로 프로 생활을 시작한 그는 데뷔 첫해인 2016년, 32경기에 등판해 1승 3패 5홀드 평균자책 6.95를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하지만 고질적인 팔꿈치 부상이 그의 발목을 잡았고, 결국 2020시즌을 앞두고 내야수로 전향하는 힘든 결정을 내렸다. 투수로서의 재능을 채 꽃피우지 못한 아쉬움을 뒤로하고 타자로서 새로운 도전에 나선 것이다.타자 전향 후 박준영은 점차 1군 무대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2021시즌 111경기에 출전해 8개의 홈런을 터뜨리며 장타력을 과시했고, 2023시즌을 앞두고는 포수 박세혁의 FA 보상 선수로 두산 베어스로 이적하며 새로운 기회를 맞았다. 이적 첫해인 2023시즌 후반기 51경기에서 타율 0.228, 4홈런을 기록하며 다음 시즌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2024시즌 초반에는 주전 유격수로 낙점받기도 했으나, 또다시 부상과 타격 기복에 시달리며 65경기 출전, 타율 0.226, 7홈런의 성적에 만족해야 했다.꺼져가던 불꽃을 되살리기 위해 절치부심했던 2025시즌, 시작부터 꼬였다. 허리 부상으로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서 제외됐고, 시즌 내내 이렇다 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결국 41경기에서 타율 0.225, 1홈런, 10타점에 그치며 시즌 막판에는 재활에 매달려야 했다. 그 사이 팀은 안재석, 이유찬, 박지훈 등 젊은 내야수들이 치고 올라오며 그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결국 끊임없이 이어진 부상 악령과 치열한 주전 경쟁 속에서 박준영은 현역 생활의 마침표를 찍기로 결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