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한국, 열등감 때문에 쑨양 물고 늘어져'…황선우 신기록에 中 궤변

 한국 수영의 '뉴에이스' 황선우(강원도청)가 연일 압도적인 레이스로 신기록을 쏟아내자, 중국 언론이 자국의 '수영 황제' 쑨양과 비교되는 상황에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내며 '열등감'이라는 단어까지 동원해 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황선우는 21일 부산 사직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남자 일반부 개인혼영 200m 결선에서 1분 57초 66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터치패드를 찍었다. 이는 자신이 2021년 수립했던 종전 한국 기록(1분 58초 04)을 0.38초 앞당긴 새로운 한국 신기록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황선우는 곧바로 이어진 남자 계영 400m에서도 동료들과 힘을 합쳐 또 하나의 한국 신기록을 합작하며 이번 대회를 자신의 독무대로 만들었다.

 

이번 대회 황선우의 퍼포먼스는 그야말로 경이로운 수준이다. 특히 지난 20일 열린 주 종목 자유형 200m 결승에서는 1분 42초 92라는 믿기지 않는 기록으로 '마의 43초 벽'을 허물었다. 이는 과거 아시아 수영을 지배했던 쑨양의 아시아 기록을 넘어선 새로운 이정표였기에 국내외 수영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자신의 주 종목뿐만 아니라 번외로 출전한 개인혼영에서까지 한국 기록을 갈아치우는 등, 한계를 가늠할 수 없는 황선우의 폭발적인 성장에 라이벌 중국 역시 극도의 경계심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아시아 기록 경신이라는 상징적인 사건을 계기로 황선우가 쑨양을 넘어설 새로운 아시아의 지배자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 언론은 황선우의 기록 경신 자체보다는, 이를 계기로 쑨양의 위상이 흔들리는 듯한 분위기에 극도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시나 스포츠'는 황선우의 아시아 신기록 소식을 전하며 "대한민국이 황선우의 기량이 쑨양보다 뛰어나다고 부풀릴 기회를 잡았다"고 비꼬았다. 이 매체는 일부 한국 네티즌들이 쑨양의 과거 도핑 문제를 거론하며 비난하는 것을 문제 삼으며 "쑨양을 향한 인신공격까지 퍼붓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황선우의 성과를 순수하게 인정하기보다는, 자국 스타를 깎아내리기 위한 의도적인 여론전으로 치부하며 평가절하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엿보이는 대목이다.

 

나아가 '시나 스포츠'는 한국의 이러한 반응이 '열등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원색적인 비난까지 쏟아냈다. 매체는 "대한민국은 박태환 이후 진정한 수영 스타가 없었다"고 전제한 뒤, "이 때문에 황선우의 성공을 계기로 분노를 표출하며 쑨양과 비교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심지어 "대한민국은 열등감이 폭발했다. 만일 그들이 진심으로 황선우가 무적이라고 믿는다면, 자꾸 중국 선수들을 언급하며 비교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명백히 열등감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덧붙였다. 황선우의 정당한 기록 도전을 자국 선수와 비교하며 의미를 깎아내리고, 한국 전체를 '열등감'에 사로잡힌 집단으로 매도하며 논점을 흐리는 전형적인 물타기성 여론전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오지 마라"…린샤오쥔, 연이은 부진에 분노한 중국 여론, 결국 터졌다

 중국으로 귀화한 쇼트트랙 선수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의 끝없는 부진이 이어지자, 위기감을 느낀 중국 대표팀이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한때 중국 쇼트트랙의 간판스타로 기대를 모았던 그는 2025~2026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투어 1, 2차 대회에서 연이어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며 고개를 숙였다. 특히 지난 20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2차 대회 남자 1,000m 본선에서는 조 최하위로 밀려 탈락하는 등 이름값에 전혀 미치지 못하는 모습으로 팬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다.그의 부진은 단순히 한두 번의 실수가 아니었다. 지난 월드투어 1차 대회에서부터 500m, 1,000m, 1,500m 세 종목 모두 결승 무대조차 밟지 못하며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절치부심하며 나선 2차 대회에서는 더욱 심각한 모습을 노출했다. 자신의 주력 종목인 500m와 1,500m에서 연달아 반칙으로 실격당하며 스스로 무너졌고, 유일하게 기대를 걸었던 1,000m마저 준결승의 벽을 넘지 못하고 탈락하며 개인전 메달 획득에 완전히 실패했다. 한때 세계 정상을 호령했던 선수라고는 믿기 힘든 무기력한 경기력이었다.연이은 부진에 중국 현지 여론은 싸늘하게 돌아섰다. '소후 닷컴' 등 중국 언론과 팬들은 "중국으로 돌아오지 마라", "린샤오쥔의 실수로 올림픽 출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대표팀의 린샤오쥔 선택은 잘못된 도박이었다" 등 날 선 비판을 쏟아내며 분노를 표출했다. 한때 영웅으로 떠받들던 분위기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이제는 그의 존재 자체가 대표팀의 위기 요인으로 지목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귀화 과정부터 숱한 논란의 중심에 섰던 그에게 비판의 화살이 집중되고 있다.결국 중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극약 처방을 내렸다. 대표팀은 2차 대회가 끝나자마자 휴식도 없이 곧바로 네덜란드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중국 '넷이즈'에 따르면, 대표팀은 암스테르담에서 약 한 달간의 해외 특별 훈련에 돌입하며, 이 기간의 성과가 올림픽 출전권이 걸린 향후 월드투어 성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매체는 "린샤오쥔이 이번 해외 훈련을 통해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집중 훈련에 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전지훈련이 부진에 빠진 그에게 주어진 사실상의 마지막 기회가 될 것임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