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6만 팬 홀린 루이후이의 '독립 선언'…세컨하우스, 바오패밀리 새 성지 등극

 국내에서 태어난 최초의 쌍둥이 판다인 루이바오와 후이바오가 어미 아이바오로부터 성공적으로 독립하며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팬들의 뜨거운 응원을 받고 있다. 지난 2023년 7월 에버랜드에서 태어난 이들은 생후 1년 반에서 2년이 되면 어미와 분리돼 단독 생활을 시작하는 판다의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성장 단계에 맞춰 에버랜드는 이들을 위한 '판다 세컨하우스(Panda 2nd House)'를 마련했으며, 지난 10월 3일 개장 이래 약 6만 명의 방문객이 다녀가며 쌍둥이 판다의 독립을 축하했다. 세컨하우스는 전면 통창 유리를 통해 루이바오와 후이바오의 사랑스러운 모습을 보다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팬들 사이에서는 러바오, 아이바오가 머무는 판다월드와 루이바오, 후이바오의 세컨하우스를 하루에 모두 방문하며 각 공간의 분위기와 관람 포인트를 비교하는 것이 새로운 '팬덤 문화'로 자리 잡았다. 두 공간을 오가며 바오 패밀리의 각기 다른 매력을 만끽하는 것이 팬들에게는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 된 것이다.

 


온라인에서도 뜨거운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쌍둥이 판다들의 독립생활을 담은 SNS 콘텐츠는 600만 뷰를 훌쩍 넘겼으며, 이들의 독립을 응원하며 출시된 '루이후이 사원증 인형'은 약 6천 개가 판매되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증명했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방문 인증 사진과 생생한 후기가 끊임없이 올라오며 루이바오와 후이바오에 대한 애정을 과시하고 있다.

 

에버랜드 관계자는 "루이바오와 후이바오의 건강한 성장은 물론, 엄마 아이바오와 아빠 러바오를 포함한 바오 패밀리 모두가 행복하게 지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보살필 것"이라고 전하며 변함없는 애정과 노력을 약속했다.

 

루이바오와 후이바오의 독립은 단순한 성장을 넘어, 국내 판다 보존 노력의 성공적인 결실이자 팬들에게는 새로운 교감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 있는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이 귀여운 쌍둥이들이 앞으로 펼쳐나갈 독립적인 삶에 많은 기대와 응원이 모아지고 있다.

 

'달력'이 아니라 '경험'을 선물…카카오가 시각장애인과 소통하는 법

 카카오가 11월 4일 점자의 날을 맞아 시각장애인을 위한 '2026 카카오 점자 달력'을 선보이며 기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지난해 처음 시작해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던 점자 달력 프로젝트는 '더 가깝게, 카카오'라는 상생 슬로건 아래 올해 한층 더 규모를 키우고 세심함을 더했다. 이는 단순히 달력을 제작해 배포하는 것을 넘어, 정보 접근성이 취약한 시각장애인들에게 일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문화적 경험의 격차를 줄이려는 카카오의 ESG 경영 철학이 반영된 행보로 풀이된다.올해 제작된 점자 달력은 총 8천 부로, 지난해보다 무려 167%나 늘어난 수량이다. 카카오는 늘어난 물량을 바탕으로 배포 대상을 대폭 확대했다. 전국 맹학교 등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2,200부를 기증하고,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를 비롯한 관련 기관 및 단체에 5,200부를 전달해 더 많은 시각장애인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올해는 기존의 학생 중심 배포에서 나아가 성인 시각장애인까지 대상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비장애인도 점자 달력을 경험하며 시각장애인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카카오메이커스를 통해 600부를 유료로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점자 달력을 단순한 기부품이 아닌,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매개체로 활용하려는 시도다.이번 점자 달력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한 날짜 정보 제공을 넘어선 '촉각적 경험'의 확장에 있다. 국민 캐릭터로 사랑받는 라이언, 어피치 등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위에 촉각선을 넣어 시각장애인들이 손끝으로 캐릭터의 형태를 인지하고 상상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각 캐릭터에 대한 설명 또한 점자로 상세히 기재하여, 시각 정보에 익숙한 비장애인들이 당연하게 누리는 캐릭터 문화를 시각장애인들도 함께 공유하고 즐길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는 정보의 동등한 접근뿐만 아니라, 감성적이고 문화적인 교감까지 고려한 디자인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기술이 어떻게 사회적 약자와 소통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결국 카카오의 점자 달력 제작은 단순한 사회 공헌 활동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서 온라인 세상의 연결을 넘어, 오프라인 현실 세계에서의 단절과 소외를 잇는 역할을 자처한 셈이다. 특히 점자의 날에 맞춰 이러한 활동을 꾸준히 이어간다는 점은 기업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정된 수량이지만, 이 작은 달력 하나가 시각장애인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우리 사회 전체에는 장애에 대한 편견을 허물고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가치를 되새기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파급 효과는 결코 작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