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900명 숨죽인 2시간…故 이건희 추모식에서 울려 퍼진 ‘부활’의 의미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회장의 5주기를 기리는 추모음악회가 지난 20일 경기 용인 삼성전자 인재개발원 콘서트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는 고인의 별세를 기리는 단순한 추모식을 넘어, 생전 “문화는 국가의 품격”이라 강조하며 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역설했던 그의 깊은 철학을 음악이라는 언어로 되새기는 자리로 마련됐다. ‘예술의 힘으로 기억하는 사람’이라는 주제 아래, 고인이 남긴 예술에 대한 신념과 삶의 궤적을 조용하지만 묵직한 울림으로 풀어내며 참석자들의 가슴에 깊은 잔향을 남겼다. 화려한 의전이나 형식적인 추도사 없이 오직 음악의 힘으로 고인의 정신을 기리는 새로운 방식의 추모는, 그가 한국 사회에 남긴 유산이 비단 경제적 성취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음악회의 포문은 피아니스트 박재홍과 첼리스트 한재민의 라흐마니노프 첼로 소나타 연주로 열렸다. 두 젊은 거장이 빚어내는 섬세하고도 깊이 있는 선율은 인간 내면의 고독과 예술이 주는 순수한 위로를 그려내며 공연장의 공기를 숙연하게 만들었다. 이어 무대에 오른 미국 LA 필하모닉은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 2번 ‘부활’을 연주하며 음악회를 절정으로 이끌었다. 장엄하고 압도적인 오케스트라 사운드는 죽음을 넘어선 영원한 생명과 예술을 통한 정신의 부활이라는 주제를 웅장하게 펼쳐 보였다. 이는 단순한 음악 연주를 넘어, 기술과 산업의 발전을 이끌었던 리더이자 동시에 예술을 통해 인간의 영혼을 고양시키고자 했던 고인의 삶을 음악적으로 재해석한 헌사와도 같았다.

 


이날 콘서트홀에는 유족을 비롯해 인근 지역 주민, 예술 전공 학생, 지역 문화단체 관계자 등 약 900명의 다양한 이들이 객석을 채웠다. 참석자들은 기업 총수를 기리는 엄숙한 자리가 아닌, 한 명의 진정한 예술 애호가를 추억하고 그의 철학을 공유하는 특별한 시간을 함께했다. 현장에 참석한 한 문화계 관계자는 “기업 주관 행사라는 느낌보다는, 예술을 진심으로 사랑했던 한 사람에게 바치는 진정성 있는 헌정 무대였다”고 소감을 밝히며, 이날 공연이 가진 남다른 의미를 강조했다. 이는 고인이 평생에 걸쳐 보여준 문화 예술에 대한 애정과 지원이 어떻게 사회적 공감대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공연이 막을 내린 후에도 관객들은 한동안 자리를 뜨지 못한 채 긴 박수갈채를 보냈다. 그 박수에는 세상을 떠난 이에 대한 그리움을 넘어, 예술을 통해 세상을 더 깊고 풍요롭게 만들고자 했던 한 인간에 대한 존경과 그의 신념에 대한 깊은 공감이 담겨 있었다. “예술은 인간을 위로하고, 사회를 품격 있게 만든다”는 고인의 메시지는 이날 연주된 음악처럼 공연장 가득 울려 퍼지며, 그가 남긴 철학이 앞으로도 우리 사회에 오랫동안 깊은 영감을 줄 것임을 예고했다. 결국 이번 음악회는 한 사람을 기억하는 가장 아름답고 품격 있는 방식이 무엇인지를 보여준 인상적인 사례로 남게 되었다.

 

토트넘 '무동상' 원칙 깼다…첫 주인공은 '무조건' 손흥민, 이유는?

 오랜 기간 경기장 외부에 선수 동상을 세우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해왔던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토트넘 홋스퍼가 마침내 정책을 전면 수정하고 구단 레전드를 기리기 위한 동상 건립 계획에 시동을 걸었다. 라이벌 아스날이 티에리 앙리, 데니스 베르캄프 등 전설들의 동상을 세운 것과 대조적으로 '무동상 정책'을 유지해왔던 토트넘의 변화는 시즌 초, 구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로 꼽히는 빌 니콜슨의 이름을 딴 '빌 니콜슨 게이트'를 복원하면서부터 감지됐다. 선수와 감독으로 모두 구단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그의 업적을 기리는 것을 시작으로, 구단 CEO는 서포터즈와의 만남에서 "더 많은 전설들의 동상을 세울 계획이며, 이는 구단의 장기적인 비전이 될 것"이라고 공식화하며 팬들의 오랜 염원에 화답했다.구단의 발표에 팬들의 시선은 단 한 사람, '살아있는 전설' 손흥민에게로 향하고 있다. 2015년 입단 이후 9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토트넘 유니폼을 입고 454경기에 출전해 173골 101도움을 기록한 그는 구단 역사상 다섯 번째로 많은 골을 넣은 공격수이자, 450경기 이상 출전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한 단 4명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다. 특히 해리 케인과 함께 '손케 듀오'로 불리며 프리미어리그를 호령했던 그의 발자취는 리그에서만 127골 77도움이라는 압도적인 기록으로 남아있다. 팬들은 빌 니콜슨, 지미 그리브스 같은 과거의 영웅들과 함께 손흥민을 현대 토트넘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인물로 주저 없이 꼽고 있다.손흥민의 가치는 단순히 기록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그는 주장 완장을 차고 팀의 17년 무관 설움을 끊어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25년 5월, UEFA 유로파리그 결승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고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순간, 그가 흘린 눈물은 토트넘 팬들에게 '구원자'의 상징으로 각인됐다. 이뿐만 아니라 2020년 전 세계 축구 팬들을 열광시킨 번리전 원더골로 FIFA 푸스카스상을 수상했고, 2021-2022시즌에는 아시아 선수 최초로 프리미어리그 득점왕(23골)에 오르며 개인의 영광과 구단의 위상을 동시에 드높였다. 수많은 동료들이 우승 트로피를 찾아 팀을 떠나는 동안에도 그는 묵묵히 자리를 지키며 구단의 심장이자 정신적 지주로 활약했다.팬들의 열망은 이제 '손흥민 동상 건립'이라는 구체적인 요구로 번지고 있다. 토트넘 팬 커뮤니티와 공식 포럼에는 "과거의 전설이 니콜슨이라면 현재의 전설은 손흥민", "트로피를 찾아 떠난 케인보다 그가 먼저 동상으로 세워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봇물처럼 터져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과거 팀 동료였던 히샬리송까지 자신의 SNS에 AI로 만든 손흥민 동상 이미지를 게시하며 "제발, 스퍼스(Please, Spurs)"라는 글을 남겨 이 논의에 불을 지폈다. 구단 역시 그의 LAFC 이적을 발표하며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하나이자 진정한 클럽의 상징"이라는 극찬을 보낸 바 있다. 손흥민의 동상이 언제 세워질지는 미지수지만, 그의 이름이 이미 구단의 역사 그 자체가 되었음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