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옥주현X윤현민, 뮤지컬 '보니 앤 클라이드'로 위험한 사랑 시작

 뮤지컬 ‘보니 앤 클라이드’가 11년 만에 새로운 프로덕션으로 한국 무대에 돌아온다. 

 

1930년대 미국 대공황을 배경으로, 실제 인물 보니 파커와 클라이드 배로우의 폭풍 같은 삶을 로맨틱 서사로 재구성한 이 작품은 자유를 갈망하던 두 청년의 운명적 만남과 사랑, 그리고 자동차 절도와 무장 강도 사건으로 세상을 뒤흔들었던 행적을 음악과 드라마로 풀어낸다. 당시 두 사람은 파격적인 행보와 스타일리시한 이미지로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았고, 1967년 동명의 영화로 신화적 상징이 되며 대중문화사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이 뮤지컬은 2011년 브로드웨이에서 첫선을 보인 뒤 유럽, 일본, 호주, 브라질, 덴마크, 핀란드 등 세계 각지에서 꾸준히 재공연되며 “범죄와 낭만의 양면을 동시에 포착한 작품”이라는 호평을 받아왔다. 국내에서는 2013년과 2014년 무대에 올라 강렬한 넘버와 영화적 연출로 관객의 주목을 끌었다. 한국 관객에게도 친숙한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이 맡은 음악은 재즈, 블루스, 컨트리 등 1930년대 텍사스의 음향적 질감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해, 질주하는 비트와 서정적 멜로디가 공존하는 넘버를 선보인다. 

 


거침없는 욕망과 매력을 지닌 ‘클라이드 배로우’에는 조형균, 윤현민, 배나라가 트리플 캐스트로 합류해 각기 다른 결로 인물을 해석할 예정이며, 영화 같은 삶을 꿈꾸는 ‘보니 파커’ 역에는 옥주현, 이봄소리, 홍금비가 이름을 올려 강력한 보컬과 드라마틱한 연기를 예고한다. 이외에도 김찬호, 조성윤, 배수정, 윤지인 등 실력파 배우들이 출연해 앙상블의 밀도를 높인다.

 

새 프로덕션은 김태형 연출, 김문정 음악감독, 이현정 안무감독 등 국내 최정상 창작진이 참여해 서사와 음악, 무대 미학의 균형을 강화한다. 한층 세련된 무대 전환과 인물 심리의 입체적 묘사를 통해 두 주인공의 사랑과 파국을 보다 선명히 드러내고, 시대 정서를 담아낸 음향 디자인과 리듬감 있는 안무로 속도감 있는 서사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공연은 12월 11일부터 2026년 3월 2일까지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이어진다. 오래 기다려온 재등장은 애호가들에겐 반가운 회귀이자, 새로운 세대에겐 ‘보니 앤 클라이드’의 매력을 처음으로 체험할 기회가 될 전망이다.

 

'세계 1위' 안세영, 아직 올림픽 전설들의 '급'은 아니었다

 현존하는 여자 배드민턴 최강자이자 세계랭킹 1위 안세영의 시대가 활짝 열렸지만, '역대 최고 선수'라는 궁극적인 타이틀을 향한 여정은 이제 막 시작됐다. 올 시즌에만 무려 9개의 국제대회 우승 트로피를 쓸어 담으며 코트 위를 완벽하게 지배하고 있는 그이지만, 과거의 전설들이 쌓아 올린 위대한 업적의 벽은 여전히 높았다. 배드민턴 관련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배드민턴 랭킹스'가 최근 발표한 역대 여자 단식 선수 순위에서 안세영은 616점을 획득하며 4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의 앞에는 시대를 풍미했던 전설적인 이름들이 자리했다. 1위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초대 챔피언인 인도네시아의 수시 수산티(901점)가 차지했고, 2004년과 2008년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한 중국의 장닝(820점)이 2위, 2016 리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스페인의 카롤리나 마린(737점)이 3위에 올랐다.안세영의 이름 앞에 '4위'라는 숫자가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순위 산정 기준을 살펴보면 충분히 납득할 만한 결과다. '배드민ton 랭킹스'는 선수의 통산 성적과 각종 종합 지표를 반영했는데, 특히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에서의 성과에 상당한 가산점을 부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1위부터 3위까지의 선수들이 모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라는 점이 이를 명확히 증명한다. 수산티는 배드민턴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첫 대회에서 정상에 오른 상징적인 인물이며, 장닝은 2회 연속 금메달이라는 불멸의 기록을 세웠다. 마린 역시 유럽 선수로서 아시아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올림픽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섰다. 이처럼 올림픽이라는 가장 권위 있는 무대에서 거둔 성과가 역대 순위를 가르는 핵심 잣대로 작용한 것이다.하지만 이 순위표는 역설적으로 안세영의 미래가 얼마나 찬란하게 빛날지를 증명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2002년생으로 이제 20대 초반에 불과한 안세영은 앞으로 최소 두 번 이상의 올림픽 무대를 밟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당장 다음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거는 것만으로도 그의 순위는 수직 상승할 수 있다. 더욱 고무적인 사실은 현재 그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들조차 이 역대 랭킹에서는 안세영의 아래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동시대를 풍미한 일본의 야마구치 아카네(511점), 중국의 천위페이(396점), 대만의 타이쯔잉(389점) 등은 모두 안세영보다 나이가 많으면서도 누적 포인트에서 격차를 보인다. 사실상 현역 선수 중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한 채, 시간과 싸우며 과거의 전설들을 넘어설 일만 남은 셈이다.안세영을 향한 기대감은 국내뿐만 아니라 최대 경쟁국인 중국 언론의 평가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중국의 '시나스포츠'는 "안세영은 겨우 23세의 나이로 이미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극찬하며, "그녀가 배드민턴계를 평정한 지 3년이 지났지만, 아직 누구도 명확한 공략법을 찾아내지 못했다"고 혀를 내둘렀다. 매체는 심지어 "안세영의 전성기는 이제 막 시작됐지만, 중국에서는 그를 대적할 만한 스타가 나오지 않고 있다"며 자국의 현실을 한탄하기까지 했다. 이는 안세영의 기량이 단순히 뛰어난 수준을 넘어, 동시대 경쟁자들을 절망에 빠뜨릴 만큼 압도적인 경지에 올랐음을 방증한다. 현재 4위라는 숫자는 과정일 뿐, 안세영이 역대 최고의 선수로 등극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것이 배드민턴계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