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모아

'인신매매' 제재받은 캄보디아 범죄조직, 서울 한복판에 '유령 사무실' 차렸다

 캄보디아를 거점으로 사기와 인신매매 등 각종 범죄를 일삼아 미국과 영국의 제재 대상에 오른 악명 높은 '프린스 그룹'이 대한민국 심장부인 서울에까지 손을 뻗친 정황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실이 17일 밝힌 바에 따르면, 프린스 그룹의 부동산 개발 계열사인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서울 중구 순화동에 한국 사무소를 운영 중이라고 버젓이 안내하고 있었다. 이들이 기재한 전화번호는 캄보디아 국가번호를 사용하고 있어 국내에서의 정상적인 영업 활동 여부에 대한 의구심을 키운다.

 

서 의원실이 직접 해당 주소지를 찾아 확인한 결과, 사무실은 여러 업체가 함께 입주해 있는 공유 오피스 형태로, 프린스 그룹의 실제 영업 여부를 현장에서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홈페이지에 기재된 전화번호 역시 연결되지 않아 실체가 불분명한 '유령 사무실'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하지만 이들의 한국 내 활동 흔적은 곳곳에서 발견됐다.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은 지난 5월 한국에서 전시장을 열었다고 스스로 홍보했으며, 8월에는 서울에서 갤러리 행사를 개최하는 등 국내 투자자들을 상대로 한 활동을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2022년에는 캄보디아 한국상공회의소와 교류를 가졌던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이들의 국내 네트워크 구축 시도가 꾸준히 이어져 왔음을 짐작게 한다.

 


서범수 의원은 프린스 그룹, 특히 부동산 계열사가 해외에서 주로 자금 세탁의 창구로 활용된 정황이 짙다는 점을 지적하며 국내에서도 유사한 불법 행위가 벌어졌을 가능성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국제적인 범죄 조직이 한국을 자금 세탁의 경유지나 은신처로 삼으려 했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단순한 부동산 투자 유치를 넘어, 국내에 유입된 이들의 자금이 범죄 수익과 연관되어 있는지, 또 다른 불법 행위를 위한 통로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강도 높은 조사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번 사안은 최근 정부가 캄보디아 현지에서 도피 생활을 하던 한국인 범죄자 60여 명을 대거 송환한 사건과 맞물려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여진다. 서 의원은 "현지에서 우리 국민을 구조하고 범죄자를 송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과 연계된 국내 범죄 커넥션을 찾아내 뿌리 뽑는 일 또한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해외 범죄 조직이 한국 땅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활동 기반을 마련했다는 사실 자체가 국가 안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만큼, 관계 당국이 프린스 그룹의 국내 활동 전반을 샅샅이 훑어보고 범죄 연루 의혹을 한 점도 남김없이 규명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은퇴 이유였던 무릎, 또 터졌다…'캡틴' 박지성이 고통 감수한 진짜 속내

 '영원한 캡틴' 박지성이 팬들을 위해 다시 한번 자신을 불태웠다. 무릎 부상으로 이른 나이에 그라운드를 떠나야 했던 그가, 팬들의 함성에 보답하기 위해 무리한 출전을 감행했고, 그 후유증으로 극심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다. 최근 유튜브 채널 '슛포러브'를 통해 공개된 영상에서 현 국가대표팀 주장 손흥민이 "(박)지성이형 괜찮은 거 맞아요?"라며 그의 안부를 묻자, 관계자는 "지금 무릎이 많이 부어 2층 계단 올라가는 것도 힘들어하신다"고 답해 팬들을 뭉클하게 했다. 이는 지난달 열린 이벤트 경기 출전이 그의 몸에 얼마나 큰 부담을 주었는지 짐작게 하는 대목이다.박지성은 지난달 1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아이콘매치'에 선발 출전하여 56분간 그라운드를 누볐다. 지난해 같은 경기에서 후반 막판 짧게 교체 투입되었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었다. 팬들 앞에서 더 오랜 시간 뛰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그는 이 경기를 앞두고 약 1년간 재활에 매달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선수 시절 내내 그를 괴롭혔던 무릎 통증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팬들을 위해 선발 출전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묵묵히 자신과의 싸움을 벌여온 것이다. 그의 투혼은 경기 시작 전부터 이미 시작되고 있었다.사실 현역 시절부터 그의 무릎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았다. 2003년 PSV 에인트호번 시절 찢어진 연골판을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고, 4년 뒤인 2007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는 연골 재생 수술대에 오르는 등 두 차례나 큰 수술을 겪었다. 이런 상태에서 소속팀과 국가대표팀을 오가는 잦은 장거리 비행은 무릎 상태를 계속해서 악화시켰다. 결국 그는 2011년, 30세라는 이른 나이에 태극마크를 반납했고, 3년 뒤인 2014년에는 33세의 나이로 현역 은퇴를 선언하며 축구화를 벗었다. 그의 재능과 열정을 알기에 팬들의 아쉬움은 더욱 컸다.은퇴 후에도 변함없는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고자 그는 다시 그라운드에 섰다. 후반 11분 교체되어 나오기 직전까지 모든 것을 쏟아부은 그는, 벤치에 앉자마자 무릎에 얼음팩을 올려놓으며 고통을 감내했다. 경기 후 "아마 2주 동안 또 절뚝거리며 다녀야 할 것"이라는 그의 담담한 한 마디는 팬들의 마음을 더욱 아프게 했다. 예상대로 그는 경기 후 무릎이 심하게 부어 일상적인 움직임조차 힘겨워하는 상태가 되었다. 현역 시절부터 은퇴한 지금까지, 오직 팬들을 위해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는 그의 헌신은 축구팬들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을 선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