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오아시스 재결합 투어 상륙…팬들 ‘들썩’, 팝업 매진·신간 출간

 영국 브릿팝의 전설 오아시스가 16년 만의 내한 공연을 앞두고 서울 중구 을지로3가역 인근에 공식 팝업 팬 스토어를 열었다. 21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릴 공연을 기념해 운영되는 이번 ‘오아시스 라이브 ’25 팬 스토어’는 16일부터 11일간 문을 연다. 개관 전부터 팬들은 ‘ㄱ’자 대기 줄을 이루며 열기를 증명했다.

 

매장 외관에는 오아시스 로고가 크게 배치됐고, 내부에는 앨범 재킷을 활용한 포토존과 라이브 영상 상영 공간이 마련됐다. ‘SEOUL’ 레터링이 들어간 서울 한정 투어 티셔츠를 비롯해 후드티, 맨투맨, 한정판 LP·CD, 텀블러, 마우스패드 등 다양한 굿즈가 판매된다. 아디다스와 협업한 컬래버 제품도 눈에 띈다. 운영은 회당 30분, 60명 정원으로 하루 18회 사전 예약제로 진행되며, 예약은 조기 마감됐다. 주최 측은 11일간 1만1천800명 이상 방문을 예상한다.

 

현장에는 세대와 지역을 아우른 팬들이 찾았다. 2000년대 학창 시절 오아시스를 접했다는 직장인 김도명(32) 씨는 “희망적인 노래가 귀에 꽂혔다. 이번 공연에서 ‘Acquiesce’를 듣고 싶다”고 말했다. 대학생 백승우(21) 씨는 “요즘 음악에선 드문 감성을 준다. 기타 사운드와 멤버들의 스토리가 특별하다”고 했다.

 


오아시스는 ‘Don’t Look Back in Anger’, ‘Live Forever’ 등 히트곡으로 누적 음반 9천만 장 이상을 기록한 브릿팝의 대표 밴드다. 2009년 해체 이후 15년 만에 재결합을 발표했고, 올해 7월 웨일스를 시작으로 아일랜드, 미국, 멕시코, 일본, 호주, 브라질, 한국 등 월드투어에 나섰다.

 

출간 소식도 팬심에 불을 지핀다. 공식 인터뷰집 ‘슈퍼소닉’(다산책방)은 동명 다큐 제작 과정에서 진행된 30시간 분량의 미공개 인터뷰를 담아, 노엘·리암 갤러거와 주변 인물의 증언으로 1996년 넵워스 공연까지의 질주를 복원한다. 사진집 ‘오아시스’(서해문집)는 사진가 질 퍼마노브스키의 렌즈로 포착한 무대와 백스테이지, 스튜디오 기록 500여 장을 통해 1994년 데뷔부터 2025년 재결합 투어까지 30여 년의 궤적을 압축했다.

 

공연을 앞둔 서울은 벌써 오아시스의 시간으로 물들고 있다. “언제 다시 올지 모를” 순간을 붙잡으려는 팬들의 행렬이, 전설의 귀환을 증명한다.

 

'달력'이 아니라 '경험'을 선물…카카오가 시각장애인과 소통하는 법

 카카오가 11월 4일 점자의 날을 맞아 시각장애인을 위한 '2026 카카오 점자 달력'을 선보이며 기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지난해 처음 시작해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던 점자 달력 프로젝트는 '더 가깝게, 카카오'라는 상생 슬로건 아래 올해 한층 더 규모를 키우고 세심함을 더했다. 이는 단순히 달력을 제작해 배포하는 것을 넘어, 정보 접근성이 취약한 시각장애인들에게 일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문화적 경험의 격차를 줄이려는 카카오의 ESG 경영 철학이 반영된 행보로 풀이된다.올해 제작된 점자 달력은 총 8천 부로, 지난해보다 무려 167%나 늘어난 수량이다. 카카오는 늘어난 물량을 바탕으로 배포 대상을 대폭 확대했다. 전국 맹학교 등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2,200부를 기증하고,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를 비롯한 관련 기관 및 단체에 5,200부를 전달해 더 많은 시각장애인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올해는 기존의 학생 중심 배포에서 나아가 성인 시각장애인까지 대상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비장애인도 점자 달력을 경험하며 시각장애인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카카오메이커스를 통해 600부를 유료로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점자 달력을 단순한 기부품이 아닌,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매개체로 활용하려는 시도다.이번 점자 달력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한 날짜 정보 제공을 넘어선 '촉각적 경험'의 확장에 있다. 국민 캐릭터로 사랑받는 라이언, 어피치 등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위에 촉각선을 넣어 시각장애인들이 손끝으로 캐릭터의 형태를 인지하고 상상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각 캐릭터에 대한 설명 또한 점자로 상세히 기재하여, 시각 정보에 익숙한 비장애인들이 당연하게 누리는 캐릭터 문화를 시각장애인들도 함께 공유하고 즐길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는 정보의 동등한 접근뿐만 아니라, 감성적이고 문화적인 교감까지 고려한 디자인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기술이 어떻게 사회적 약자와 소통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결국 카카오의 점자 달력 제작은 단순한 사회 공헌 활동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서 온라인 세상의 연결을 넘어, 오프라인 현실 세계에서의 단절과 소외를 잇는 역할을 자처한 셈이다. 특히 점자의 날에 맞춰 이러한 활동을 꾸준히 이어간다는 점은 기업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정된 수량이지만, 이 작은 달력 하나가 시각장애인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우리 사회 전체에는 장애에 대한 편견을 허물고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가치를 되새기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파급 효과는 결코 작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