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오아시스 재결합 투어 상륙…팬들 ‘들썩’, 팝업 매진·신간 출간

 영국 브릿팝의 전설 오아시스가 16년 만의 내한 공연을 앞두고 서울 중구 을지로3가역 인근에 공식 팝업 팬 스토어를 열었다. 21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릴 공연을 기념해 운영되는 이번 ‘오아시스 라이브 ’25 팬 스토어’는 16일부터 11일간 문을 연다. 개관 전부터 팬들은 ‘ㄱ’자 대기 줄을 이루며 열기를 증명했다.

 

매장 외관에는 오아시스 로고가 크게 배치됐고, 내부에는 앨범 재킷을 활용한 포토존과 라이브 영상 상영 공간이 마련됐다. ‘SEOUL’ 레터링이 들어간 서울 한정 투어 티셔츠를 비롯해 후드티, 맨투맨, 한정판 LP·CD, 텀블러, 마우스패드 등 다양한 굿즈가 판매된다. 아디다스와 협업한 컬래버 제품도 눈에 띈다. 운영은 회당 30분, 60명 정원으로 하루 18회 사전 예약제로 진행되며, 예약은 조기 마감됐다. 주최 측은 11일간 1만1천800명 이상 방문을 예상한다.

 

현장에는 세대와 지역을 아우른 팬들이 찾았다. 2000년대 학창 시절 오아시스를 접했다는 직장인 김도명(32) 씨는 “희망적인 노래가 귀에 꽂혔다. 이번 공연에서 ‘Acquiesce’를 듣고 싶다”고 말했다. 대학생 백승우(21) 씨는 “요즘 음악에선 드문 감성을 준다. 기타 사운드와 멤버들의 스토리가 특별하다”고 했다.

 


오아시스는 ‘Don’t Look Back in Anger’, ‘Live Forever’ 등 히트곡으로 누적 음반 9천만 장 이상을 기록한 브릿팝의 대표 밴드다. 2009년 해체 이후 15년 만에 재결합을 발표했고, 올해 7월 웨일스를 시작으로 아일랜드, 미국, 멕시코, 일본, 호주, 브라질, 한국 등 월드투어에 나섰다.

 

출간 소식도 팬심에 불을 지핀다. 공식 인터뷰집 ‘슈퍼소닉’(다산책방)은 동명 다큐 제작 과정에서 진행된 30시간 분량의 미공개 인터뷰를 담아, 노엘·리암 갤러거와 주변 인물의 증언으로 1996년 넵워스 공연까지의 질주를 복원한다. 사진집 ‘오아시스’(서해문집)는 사진가 질 퍼마노브스키의 렌즈로 포착한 무대와 백스테이지, 스튜디오 기록 500여 장을 통해 1994년 데뷔부터 2025년 재결합 투어까지 30여 년의 궤적을 압축했다.

 

공연을 앞둔 서울은 벌써 오아시스의 시간으로 물들고 있다. “언제 다시 올지 모를” 순간을 붙잡으려는 팬들의 행렬이, 전설의 귀환을 증명한다.

 

이재명 대통령, 쿠알라룸푸르서 아세안+3 협력 강화 제안…한·중·일 연계 강조

 말레이시아를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7일(현지 시각)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하여, 보호무역주의 심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으로 야기된 새로운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아세안+3 국가 간의 협력 강화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모두 발언을 통해 역내 국가들이 직면한 복합적인 도전 과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조하며, 아세안+3 협력의 중요성을 역설했다.이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서 ‘역내 경제·금융 협력 강화를 위한 아세안+3 정상 성명’이 채택된 것에 대해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하며, 현재 우리가 당면한 위기가 단순히 경제적 차원을 넘어 복합적이고 다층적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 국가 간·세대 간·계층 간 디지털 격차 심화, 기후변화와 자연재해로 인한 식량 및 에너지 위기, 그리고 초국가 범죄 등 다양한 도전 과제들이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사반세기 전 아세안+3 출범의 근간이 되었던 ‘협력과 연대의 정신’을 되새겨 이러한 위기들을 슬기롭게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특히 이 대통령은 최근 스캠센터 등 조직적인 범죄 집단에 의한 초국가 범죄가 수많은 사람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음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한국 정부가 아세안 경찰 협력체인 아세아나폴(ASEANAPOL)과 긴밀히 협력할 의지를 밝혔다. 그는 아세안+3 회원국들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한편,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무상은 미·일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회의 하루 전 먼저 귀국함에 따라, 이 대통령과의 조우는 불발되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회의에 참석한 리창 중국 총리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에게 취임 후 첫 만남에 대한 반가움을 표하며 인사를 건넸다.이 대통령은 이어 이번 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이 예정되어 있으며, 다카이치 총무상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도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한·중·일 3국 간의 활발한 교류가 아세안+3 협력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아세안+3 협력이 한·중·일 교류를 견인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중국, 일본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임을 천명했다. 이는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지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미래 지향적인 관계 설정을 위한 한국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