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당신이 알던 한복은 잊어라…'피겨 프린스'와 '댄스 크루'까지 탐낸 '힙'한 패션의 정체

 우리 옷 한복이 박물관과 명절의 틀을 깨고 일상 속으로 성큼 걸어 들어올 준비를 마쳤다. 오는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전국이 한복의 다채로운 매력으로 물드는 '2025 한복문화주간'이 펼쳐진다. 올해로 벌써 8회째를 맞이하는 이 행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손을 잡고 매년 한복의 날(10월 21일)을 기념해 열어온 전국적인 축제다. 올해의 주제는 '현대 한복판'. 이름 그대로, 고루하다는 편견을 벗고 현대적인 감각과 만나 끊임없이 새롭게 확장되는 오늘날 한복의 생생한 현주소를 제대로 조명하겠다는 야심 찬 포부가 담겨있다. 더 이상 특별한 날에만 꺼내 입는 옷이 아닌, 오늘날 우리의 삶 속에서 살아 숨 쉬는 패션이자 문화로서 한복의 무한한 가능성을 직접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축제의 서막을 여는 기념행사는 21일 서울 종로의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에서 화려하게 열린다. 이날 행사는 단순히 한복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전통과 현대의 가장 '힙한' 만남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보여줄 예정이다. 특히 모두의 시선이 집중될 한복 패션쇼 무대에는 아주 특별한 모델이 오른다. 바로 '피겨 프린스' 차준환 선수다. 빙판 위에서 우아한 연기를 펼치던 그가 런웨이 위에서 한복을 입고 어떤 새로운 매력을 선보일지 벌써부터 기대가 뜨겁다. 여기에 끝이 아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댄스 크루 '홀리뱅'이 한복을 입고 무대를 찢는 파격적인 축하 공연까지 준비되어 있다. 고즈넉한 전통의 공간에서 펼쳐지는 가장 현대적이고 역동적인 몸짓은, 한복이 가진 고정관념을 단숨에 깨부수는 짜릿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서울에서만 열리는 그들만의 축제가 아니다. 한복문화주간은 전국 각지에서 모든 사람이 직접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가득하다. 직접 한복을 입어보고 그 멋을 체험할 수 있는 행사부터, 한복의 미래를 논하는 포럼, 그리고 개성 넘치는 한복 관련 상품들을 만나볼 수 있는 플리마켓까지, 그야말로 '한복의 모든 것'이 전국 곳곳에서 펼쳐진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점은 한복을 입는 것만으로도 주어지는 파격적인 혜택이다. 한복 착용자라면 롯데월드 자유이용권을 무려 50%나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국립현대미술관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또한, 국립국악원의 고품격 토요명품공연 역시 반값으로 즐길 수 있으니, 한복 한 벌로 지갑은 가볍게, 문화생활은 풍성하게 누릴 절호의 기회다.

 

결국 '2025 한복문화주간'은 우리에게 한복을 '입어야 할 이유'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단순히 아름다운 우리 옷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직접 입고 거리를 누비며 즐길 때 한복 문화가 비로소 살아 숨 쉴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것이다. 차준환과 홀리뱅의 무대가 보여주듯, 한복은 이제 가장 현대적인 문화 아이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힙'한 아이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망설이지 말고 옷장 속 한복을 꺼내 입거나, 이번 기회에 마음에 드는 한복을 빌려 입고 거리로 나서보는 것은 어떨까. 축제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집 난방 패턴을 AI가 예측…열 손실 막는 '스마트 배관' 나온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치솟는 에너지 비용에 대응하고 입주민의 주거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난방 시스템 도입 계획을 발표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이라는 각기 다른 공급 방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신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개별난방 세대에는 여러 대의 소형 보일러를 병렬로 연결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을, 지역난방 세대에는 인공지능(AI)이 열 공급을 정밀 제어하는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을 적용해 연료비 절감과 쾌적한 주거 환경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이는 단순히 낡은 설비를 교체하는 차원을 넘어, 데이터와 고효율 기술을 기반으로 주거 에너지 패러다임을 전환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개별난방 방식의 대안으로 제시된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은 중앙집중형 관리의 장점과 개별 공급의 효율성을 결합한 차세대 난방 기술이다. 이 시스템은 각 세대 내에 보일러를 설치하는 대신, 건물 내 별도의 기계실에 여러 대의 고효율 가스보일러를 집약적으로 설치하고 통합 제어한다. 이를 통해 필요한 만큼의 열만 정확하게 생산 및 공급함으로써 기존 개별난방 방식 대비 약 20% 높은 에너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세대 내에 보일러실과 연통이 사라지면서 그만큼의 공간을 더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가스 누출이나 소음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져 주거 안전성과 쾌적성도 크게 향상된다. 특히 일부 보일러가 고장 나더라도 나머지 보일러가 자동으로 운전 용량을 늘려 공백을 메우기 때문에, 한겨울에도 난방이 중단될 걱정 없이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점은 큰 장점이다. 이 시스템은 올해 신규 사업계획 승인 신청 지구부터 장기 공공임대주택 중 50㎡ 이하, 300가구 이상 규모의 단지를 대상으로 우선 도입된다.지역난방 단지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이 도입되어 에너지 효율을 한 단계 끌어올릴 전망이다. 기존 지역난방은 난방용과 온수용 배관이 별도로 운영되었지만, 이 새로운 시스템은 두 배관을 하나로 통합해 설비를 단순화하고 열 손실을 줄인다. 시스템의 핵심은 바로 AI의 역할이다. AI가 각 세대의 과거 열 사용 패턴과 실시간 온도, 유량 데이터를 분석해 앞으로의 열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인 열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불필요하게 공급되거나 버려지는 열을 최소화함으로써 약 9%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곧바로 입주민의 관리비 부담 완화로 이어진다. 이 스마트 시스템은 2026년 신규 사업계획 승인 신청 지구부터 설계에 반영되어 순차적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이번 난방 시스템 개편은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공공주택 입주민들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겠다는 LH의 의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고유가와 기후 변화로 인해 에너지 비용이 가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서, 선제적인 기술 투자로 입주민의 연료비 걱정을 덜어주겠다는 것이다. 또한, 세대 내 보일러실 제거를 통한 공간 확보, 안정적인 난방 공급, 소음 및 안전 문제 해결 등은 주거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다.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 주거환경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번 난방 시스템 혁신이 앞으로 LH가 공급할 공공주택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