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지금 당장 폐기각” 이사배, 이민정 파우치에 깜짝… 이유는?

 메이크업 아티스트 이사배가 배우 이민정의 화장품 파우치를 확인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들을 다수 발견해 경악했다. 

 

지난 14일 공개된 유튜브 채널 ‘이민정 MJ’의 ‘근데 이민정 파우치 보고 경악을 금치 못함. MJ 똥손 탈출 메이크업’ 영상에서 이민정은 이사배에게 메이크업을 배우기에 앞서 자신의 파우치를 공개했다. 점검에 나선 이사배는 수년 전 출시된 섀도우 팔레트를 비롯해 오래된 립밤·립스틱을 확인하고 “이거 바르다 트러블 날 수 있다. 버려도 되냐”고 단호하게 말하며 사용 기한 준수를 강조했다. 이민정이 “역사가 한 8년 됐다”고 밝힌 섀도우에 대해 이사배는 “이런 건 1년 정도만 쓰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유통기한을 넘긴 화장품이 여드름·모낭염·접촉성 피부염 등 각종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립 제품은 물과 지방 성분이 섞인 제형으로 세균 번식이 쉬워 개봉 후 6개월 내 소진이 권장된다. 찌든내·쉰내가 나거나 층 분리, 향·색 변화, 내용물 굳음이 나타나면 즉시 폐기해야 한다. 눈가에 사용하는 마스카라·아이라이너·아이섀도우는 점막과 직접 닿는 만큼 위생 관리가 더욱 중요하며, 개봉 후 3~6개월 내 교체가 바람직하다. 

 


영국 런던 메트로폴리탄대가 여성 5000명을 조사한 결과, 마스카라를 1년 이상 쓰는 비율이 4명 중 1명, 립스틱을 3년 이상 쓰는 비율이 10명 중 1명으로 나타났고, 오래된 제품에서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이 검출됐다는 보고도 있다.

 

안전하게 화장품을 쓰기 위해서는 구매 단계부터 라벨 확인이 기본이다. 제품 뒷면이나 포장에 표기된 ‘사용기한 YYYY.MM’ 또는 ‘별도 표기’ 문구를 확인하고, 개봉 후 사용기간을 뜻하는 뚜껑 그림과 ‘6M·12M’ 표시(PAO)를 참고해야 한다. 

 

튜브 용기처럼 인쇄가 지워지기 쉬운 제품은 구매·개봉일을 스티커로 기록해 관리하는 것이 좋다. 

 

이사배는 “좋아하는 제품이라도 기한이 지났다면 과감히 비우는 게 피부를 지키는 길”이라며 “꼭 쓰는 제품만 담는 슬림 파우치가 위생과 메이크업 완성도를 모두 높인다”고 조언했다. 

 

수출만 잘된 게 아니다… 해외서 앉아서 벌어들인 '배당금'만 2조원 훌쩍

 9월 경상수지가 134억 7000만달러라는 기록적인 흑자를 내며 29개월 연속 흑자라는 대기록을 이어갔다. 이는 9월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이며,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긴 흑자 행진이다. 이러한 호실적의 배경에는 반도체와 선박 수출의 견조한 흐름과 더불어, 누적된 대외 순자산에서 발생하는 배당 및 이자 소득이 크게 기여했다. 상품수지와 본원소득수지 흑자가 동시에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전체 경상수지 흑자 규모를 역대급으로 끌어올린 것이다. 특히 수출과 수입이 함께 늘어나는 건강한 흑자 구조를 보였다는 점에서 이번 실적은 더욱 의미가 깊다.이번 흑자 기조를 이끈 핵심 동력은 단연 상품수지였다. 상품수지는 142억 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역대 2위 수준에 올랐다. 반도체가 22.1% 급증하며 여전한 주력 품목임을 입증했고, 추석 연휴 기저효과 등에 힘입어 승용차, 화공품, 기계류 등 비IT 품목의 수출까지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힘을 보탰다. 그 결과 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9.6% 증가하며 두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주목할 점은 수입 역시 4.5% 늘었다는 사실이다. 국제유가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국내 소비 회복과 맞물려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이 크게 확대되면서, 과거의 '불황형 흑자'와는 질적으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물론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이다.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어 온 서비스수지는 33억 2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하며 전체 흑자 폭을 갉아먹었다. 여름 성수기가 지나며 여행수지 적자 폭은 다소 줄었지만, 원자재 수입에 쓰이는 벌크선 운임이 오르면서 운송수지가 5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여기에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 적자 폭도 다시 확대됐다. 반면, 본원소득수지는 29억 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상품수지와 함께 흑자 쌍끌이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이는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 투자해 벌어들인 배당소득이 크게 늘어난 덕분으로, 한국 경제가 해외 자산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한다.한국은행은 연간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기존 전망치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10월에는 조업일수 감소로 잠시 주춤하겠지만, 11월부터는 반도체 수출 호조와 유가 안정 등에 힘입어 다시 양호한 흐름을 회복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밋빛 전망 속에서도 정부가 추진하는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는 향후 우리 경제의 향방을 가를 중대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해당 투자가 관련 원부자재 수출 증가로 이어져 경상수지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자칫 국내 제조업의 기반을 흔드는 '산업 공동화'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공존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