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한밤에 칼 쥔 채 아이들 지켜봐"… 브리트니 전 남편의 폭탄 고백

 팝스타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전 남편 케빈 페더라인이 회고록을 통해 결혼 생활 중 겪었다는 충격적 경험을 공개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14일 피플 등 미국 연예 매체에 따르면, 댄서 출신인 페더라인은 신간 ‘You Thought You Knew’에서 스피어스와의 동거 당시 흉기와 관련된 불안한 장면이 여러 차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들들이 한밤중에 깨어보면 엄마가 문가에 서서 말없이 지켜보고 있었고, 손에는 칼을 들고 있었다. ‘깼니?’라고만 말한 뒤 설명 없이 사라지곤 했다”고 적었다고 전했다.

 

페더라인은 스피어스의 현재 상태에 대해서도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스피어스는 돌이킬 수 없는 무언가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더는 모든 게 괜찮은 척할 수 없다”며 “시간이 빠르게 흘러 마지막 순간이 다가오는 듯하다. 변화가 없다면 좋지 않은 일이 생길 수 있고, 그 영향이 우리 아들들에게 미칠까 두렵다”고 했다. 

 

두 사람은 2004년 결혼해 2007년 이혼했으며, 슬하에 두 아들 숀 프레스턴(20), 제이든 제임스(19)를 두고 양육권 분쟁을 벌였다.

 


스피어스 측은 즉각 반박에 나섰다.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그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두 아이뿐”이라며 “페더라인의 책 출간이 알려지자 그와 주변 인물들이 다시 스피어스에게서 이득을 취하려 한다. 특히 양육비 지급이 끝난 뒤 이런 일이 벌어진 점이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스피어스는 앞서 자신의 회고록에서 겪었던 경험을 이미 상세히 밝힌 바 있으며, 이번 주장은 상업적 노이즈에 가깝다는 취지다.

 

모자 관계의 균열은 이전부터 드러나 있었다. 제이든은 2022년 인터뷰에서 “엄마와의 관계는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회복되길 바란다. 엄마가 정신적으로 안정되면 꼭 다시 만나고 싶다”고 말했다. 

 

페더라인의 추가 폭로로 가족 간 갈등이 재점화된 가운데, 스피어스 측의 법적 대응 가능성, 자녀 보호와 사생활 경계에 대한 논의도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회고록 출간 시점과 양육비 종료 시기가 맞물린 점을 들어 동기와 의도를 둘러싼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고등어 11%, 사과 21%…숨 막히는 장바구니 물가, 밥상 뒤엎을 판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으며 다시금 서민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2.4% 상승하며 지난해 7월(2.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8월 1.7%까지 둔화하며 잠시 안정세를 찾는 듯했던 물가상승률은 9월 2.1%로 반등한 데 이어, 10월에는 상승 폭을 더욱 키우며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이는 긴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억눌렸던 소비 심리가 폭발하며 여행 관련 서비스 비용이 급등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이번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은 단연 개인서비스 물가였다. 특히 열흘에 달하는 긴 추석 연휴를 맞아 여행 수요가 몰리면서 관련 품목들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솟았다. 콘도 이용료는 1년 전보다 무려 26.4%나 폭등했고, 승용차 임차료와 해외 단체여행비 역시 각각 14.5%, 12.2%라는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서비스 물가의 급등은 전체 물가를 0.72%포인트나 끌어올리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며, 연휴 특수가 물가 전반에 미친 파급력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일상적인 외식 물가 상승률(3.0%)이 다소 둔화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기간의 보복 소비가 전체 지표를 뒤흔든 셈이다.장바구니 물가 역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반적으로 3.1% 상승하며 가계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축산물과 수산물이 각각 5.3%, 5.9% 올랐는데, 특히 서민들이 즐겨 찾는 돼지고기(6.1%)와 고등어(11.0%)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잦은 비로 출하가 지연된 쌀(21.3%)과 찹쌀(45.5%) 가격도 급등했으며, 사과 가격 역시 21.6%나 오르며 과일 전체의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다만, 출하량이 늘어난 채소류 가격이 14.1% 하락하며 농산물 가격의 상승 폭을 일부 억제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전반적인 먹거리 물가의 상승 압력은 여전히 거셌다.에너지와 식료품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하여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표들도 일제히 상승 폭을 키우며 우려를 더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와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각각 2.5%, 2.2% 상승하며 모두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는 일시적인 요인을 넘어 경제 전반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심의관은 "긴 연휴로 인한 여행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지만, 근원물가의 상승세는 앞으로의 물가 안정을 낙관하기 어렵게 만드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