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다시 할 줄 몰랐다'…전소연, 자신 키운 '언프리티'에 9년 만의 금의환향

 아이들 멤버 소연이 9년이라는 시간을 뛰어넘어 '언프리티 랩스타'의 무대로 화려하게 금의환향했다. 15일 열린 Mnet의 새로운 한일 합작 프로젝트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 제작발표회에 모습을 드러낸 소연은 이제 참가자가 아닌, 프로그램을 이끌어갈 메인 프로듀서로서 마이크를 잡았다. 9년 전, 교복을 입은 앳된 고등학생 래퍼로 등장해 최연소 참가자라는 타이틀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인 실력과 카리스마로 시청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그녀였다. 그랬던 그녀가 이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걸그룹의 리더이자, 전곡을 프로듀싱하는 천재 아티스트로 성장해 자신이 성장했던 바로 그 프로그램의 후배들을 양성하는 자리에 섰다는 사실만으로도 현장의 모든 이목이 집중되기에 충분했다.

 

소연은 "9년 만에 '언프리티 랩스타'로 돌아온 소연"이라고 자신을 소개하며 벅찬 감회를 숨기지 않았다. 그녀는 "솔직히 '언프리티 랩스타'가 다시 제작될 줄은 상상도 못 했다"며 프로그램의 부활에 대한 기쁨을 드러냈다. 이어 "고등학생이었던 내가 9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성인이 되어 이 프로그램에 프로듀서로 다시 참여하게 된 것이 너무나 영광스럽다"고 말하며 감격스러운 소감을 밝혔다. 그녀의 말 속에는 단순한 영광을 넘어, 어린 시절 자신의 꿈을 펼치게 해주었던 무대에 대한 깊은 애정과 책임감이 묻어났다. 참가자들의 절실함과 치열함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는 선배이자 프로듀서로서, 그녀가 어떤 멘토링을 보여주고 어떤 기준으로 새로운 '힙팝 프린세스'를 발굴해낼지에 대한 기대감이 증폭되는 순간이었다.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는 Mnet이 야심 차게 선보이는 새로운 포맷의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기존의 '언프리티 랩스타'가 국내 여성 래퍼들의 서바이벌에 집중했다면, 이번에는 한국과 일본의 재능 있는 아티스트들이 모여 '글로벌 힙합 걸그룹'의 탄생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진다. 특히 참가자들이 단순히 주어진 미션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 음악, 안무, 스타일링, 영상 제작 등 그룹을 만들어가는 모든 과정에 직접 참여하며 자신만의 아이덴티티와 색깔을 드러내야 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힙합이라는 장르를 매개로 한국과 일본, 서로 다른 두 문화가 충돌하고 융합하는 과정 속에서 이전에 없던 새로운 스타일의 아티스트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소연 외에도 다이나믹 듀오의 개코, 세계적인 댄서 리에하타, 일본의 인기 아티스트 이와타 타카노리가 프로듀서로 합류해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완성도를 높였다.

 

이처럼 '힙팝 프린세스'는 단순한 걸그룹 오디션을 넘어, K팝의 글로벌 영향력이 확장되는 현시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고 의미 있는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특히 참가자에서 프로듀서로 성장한 '언프리티 랩스타의 아이콘' 전소연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정체성이자 가장 강력한 관전 포인트다. 그녀 자신이 바로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통해 잠재력을 증명하고, 스스로를 프로듀싱하며 최정상의 아티스트로 성장한 살아있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과연 제2의 전소연을 꿈꾸는 한일 양국의 참가자들이 그녀의 날카로운 심사평과 따뜻한 조언 속에서 어떤 성장을 이뤄낼지, 그리고 이들의 만남이 어떤 새로운 문화적 시너지를 만들어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힙팝 프린세스'는 오는 10월 16일 첫 방송을 시작으로 매주 시청자들을 찾아갈 예정이다.

 

'한국, 열등감 때문에 쑨양 물고 늘어져'…황선우 신기록에 中 궤변

 한국 수영의 '뉴에이스' 황선우(강원도청)가 연일 압도적인 레이스로 신기록을 쏟아내자, 중국 언론이 자국의 '수영 황제' 쑨양과 비교되는 상황에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내며 '열등감'이라는 단어까지 동원해 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황선우는 21일 부산 사직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남자 일반부 개인혼영 200m 결선에서 1분 57초 66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터치패드를 찍었다. 이는 자신이 2021년 수립했던 종전 한국 기록(1분 58초 04)을 0.38초 앞당긴 새로운 한국 신기록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황선우는 곧바로 이어진 남자 계영 400m에서도 동료들과 힘을 합쳐 또 하나의 한국 신기록을 합작하며 이번 대회를 자신의 독무대로 만들었다.이번 대회 황선우의 퍼포먼스는 그야말로 경이로운 수준이다. 특히 지난 20일 열린 주 종목 자유형 200m 결승에서는 1분 42초 92라는 믿기지 않는 기록으로 '마의 43초 벽'을 허물었다. 이는 과거 아시아 수영을 지배했던 쑨양의 아시아 기록을 넘어선 새로운 이정표였기에 국내외 수영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자신의 주 종목뿐만 아니라 번외로 출전한 개인혼영에서까지 한국 기록을 갈아치우는 등, 한계를 가늠할 수 없는 황선우의 폭발적인 성장에 라이벌 중국 역시 극도의 경계심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아시아 기록 경신이라는 상징적인 사건을 계기로 황선우가 쑨양을 넘어설 새로운 아시아의 지배자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다.하지만 중국 언론은 황선우의 기록 경신 자체보다는, 이를 계기로 쑨양의 위상이 흔들리는 듯한 분위기에 극도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시나 스포츠'는 황선우의 아시아 신기록 소식을 전하며 "대한민국이 황선우의 기량이 쑨양보다 뛰어나다고 부풀릴 기회를 잡았다"고 비꼬았다. 이 매체는 일부 한국 네티즌들이 쑨양의 과거 도핑 문제를 거론하며 비난하는 것을 문제 삼으며 "쑨양을 향한 인신공격까지 퍼붓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황선우의 성과를 순수하게 인정하기보다는, 자국 스타를 깎아내리기 위한 의도적인 여론전으로 치부하며 평가절하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엿보이는 대목이다.나아가 '시나 스포츠'는 한국의 이러한 반응이 '열등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원색적인 비난까지 쏟아냈다. 매체는 "대한민국은 박태환 이후 진정한 수영 스타가 없었다"고 전제한 뒤, "이 때문에 황선우의 성공을 계기로 분노를 표출하며 쑨양과 비교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심지어 "대한민국은 열등감이 폭발했다. 만일 그들이 진심으로 황선우가 무적이라고 믿는다면, 자꾸 중국 선수들을 언급하며 비교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명백히 열등감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덧붙였다. 황선우의 정당한 기록 도전을 자국 선수와 비교하며 의미를 깎아내리고, 한국 전체를 '열등감'에 사로잡힌 집단으로 매도하며 논점을 흐리는 전형적인 물타기성 여론전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