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1cm의 본능이 망친 가을야구, 팬들 분노케 한 통한의 헛스윙

 밀워키 브루어스의 가을 여정이 첫판부터 삐걱거렸다. 9회말 2사 만루, 경기장을 가득 메운 팬들의 함성 속에서 터져 나올 것 같았던 동점의 희망은 4번 타자 브라이스 투랑의 본능적인 움직임 하나에 허무하게 사라졌다. 1-2로 뒤진 밀워키는 LA 다저스와의 내셔널리그 챔피언십시리즈 1차전 마지막 공격에서 마무리 사사키 로키를 상대로 극적인 찬스를 잡았다. 볼넷과 인정 2루타, 희생플라이를 묶어 한 점을 추격했고, 연이은 볼넷으로 2사 만루의 황금 기회를 만들었다. 타석에는 팀의 중심 타자 브라이스 투랑이 들어섰고, 모든 이들의 시선이 그의 방망이 끝에 집중됐다.

 

상황은 투랑에게 결코 불리하지 않았다. 볼카운트 1볼-2스트라이크, 다저스의 구원투수 블레이크 트라이넨이 던진 4구째 137km짜리 스위퍼가 투랑의 허벅지 안쪽으로 날카롭게 파고들었다. 공에 맞기만 해도 밀어내기 사구로 극적인 2-2 동점을 만들 수 있는 절호의 순간이었다. 하지만 투랑의 몸은 이성보다 본능이 앞섰다. 그는 자신도 모르게 황급히 발을 뒤로 빼며 공을 피했고, 포수 미트에 공이 꽂히는 순간 홈 팬들의 탄식은 절규로 바뀌었다. 아쉬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동점 기회를 놓친 충격이 채 가시지 않은 듯, 그는 이어진 5구째, 스트라이크 존을 한참 벗어난 153.5km 포심 패스트볼에 어이없이 방망이를 휘둘렀다. 헛스윙 삼진, 그렇게 경기는 끝났다.

 


경기 후 투랑은 통한의 후회를 감추지 못했다. 그는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미칠 노릇이다. 공을 피한 것은 순전히 본능적인 반응이었고, 내가 어찌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었다. 시간을 되돌릴 수도 없다"라며 땅을 쳤다. 마지막 타석 상황에 대해서는 "싱커나 스위퍼를 예상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포심이 들어왔다. 나도 모르게 배트가 나갔다"라며 허탈해했다. 현지 언론은 투랑이 밀어내기 사구가 될 뻔한 공을 놓친 후 정신적으로 크게 흔들렸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일부 팬들은 그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난했지만, 팻 머피 감독은 "누구나 그럴 수 있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라며 선수를 감쌌다.

 

2018년 드래프트 1라운더 출신인 투랑은 올 시즌 156경기에 출전해 타율 0.288, 18홈런, 81타점, OPS 0.794를 기록하며 밀워키 타선의 핵심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포스트시즌 들어서는 디비전시리즈부터 타격감을 찾지 못하며 어려움을 겪었고, 이날 경기에서도 4타수 무안타로 침묵하며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정규시즌의 영웅이었던 그가 찰나의 본능적인 움직임 하나로 시리즈 전체의 향방을 가를 수도 있는 중요한 1차전의 패배 원흉으로 지목된 것이다. 이날의 뼈아픈 경험은 그의 야구 인생에두고두고 남을 상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태원-노소영 '쩐의 전쟁' 마침표! 8년 싸움 끝, 누가 '돈벼락'?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상고심 판결이 오늘(16일) 내려지며, 8년 3개월간 이어진 법정 다툼이 최종 결론을 맞는다. 1심과 2심의 재산분할 규모 차이가 약 1조 3150억원에 달해, 대법원의 최종 판단에 재계와 법조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이날 오전 10시 대법원 제1부(주심 서경환 대법관)는 최 회장 이혼 소송 상고심 선고기일을 진행한다. 핵심 쟁점은 최 회장 소유 SK 주식의 '특유재산' 인정 여부와 SK그룹 성장에 대한 노 관장의 기여도 범위다.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300억원이 SK그룹 종잣돈이 됐다는 항소심 판단, 그리고 항소심 판결문 경정 과정의 주가 산정 오류에 대한 대법원 언급 여부도 주요 관심사다.최 회장은 2017년 7월 이혼 조정을 신청했고, 노 관장은 2019년 2월 이혼에 응하며 위자료 3억원과 최 회장 보유 SK 주식 절반 분할을 요구하는 반소를 제기했다.2022년 12월 6일, 1심 서울가정법원은 SK 주식을 '특유재산'으로 판단, 재산 분할 대상에서 제외하며 최 회장에게 위자료 1억원과 655억원의 재산 분할만을 인정했다. 이에 노 관장은 항소하며 재산 분할 요구액을 2조원으로 상향했다.그러나 2024년 5월 30일, 2심 서울고법은 1심 결론을 완전히 뒤집었다. 재판부는 노 관장이 SK 성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했다고 인정, 최 회장이 위자료 20억원과 1조3808억원의 재산을 노 관장에게 분할하라고 판결했다. 특히 2심에서는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300억원이 SK그룹 성장의 '종잣돈'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 일부 받아들여졌다.항소심 과정에서 주가 산정 오류 정정 논란도 있었다. 2심 재판부가 1998년 SK 주가를 100원에서 1000원으로 고쳤고, 이로 인해 선대 회장 기여도는 증가, 최 회장 기여도는 감소했다. 재판부는 "중간단계 계산 오류를 수정한 것"이며 "재산분할 비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오늘 대법원 판결은 최 회장과 노 관장의 오랜 이혼 소송에 종지부를 찍고, 재벌가 이혼 소송의 재산분할 기준에 중요한 선례를 남길 것으로 예상된다. 1조원 넘는 재산 분할 규모, 특유재산 인정 여부, 전직 대통령 비자금의 기업 성장 기여도 인정 등 첨예한 쟁점들이 어떻게 결론 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