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230만 명이 열광한 이유"…최정원·송일국도 함께한 '맘마미아!' 흥행 신화의 비밀

 21년간 대한민국 뮤지컬의 역사를 써 내려온 ‘맘마미아!’가 서울에서의 여정을 마무리하고 전국 투어에 돌입한다. 현재 서울 마곡 LG아트센터에서 공연 중인 ‘맘마미아!’는 객석 점유율 91%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우며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 올 시즌 서울 공연은 단 16회만을 남겨두고 오는 25일 막을 내릴 예정이어서, 아직 관람하지 못한 이들의 발걸음이 더욱 분주해질 전망이다. 이번 시즌 역시 변함없는 인기를 증명한 만큼, 작품이 가진 힘과 관객의 뜨거운 사랑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서울 공연의 열기는 곧바로 전국으로 확산된다. 이달 말을 시작으로 2026년 2월까지 의정부, 안성, 천안, 인천, 대구, 부산, 일산, 안산, 평택, 광주, 대전, 용인, 화성 등 전국 13개 도시에서 순회공연을 펼친다. 지난 21년간 전국 33개 도시에서 230만 명이 넘는 누적 관객을 동원하며 대한민국 대표 뮤지컬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한 만큼, 이번 전국 투어에 대한 기대감 역시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각 지역의 관객들은 다시 한번 ‘맘마미아!’가 선사하는 유쾌한 감동과 에너지 넘치는 무대를 만끽할 수 있게 되었다.

 


‘맘마미아!’는 2004년 한국 초연 당시부터 단순한 흥행을 넘어 뮤지컬 시장의 판도를 바꾼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전까지 문화 소외 계층으로 여겨졌던 중장년 관객을 대거 극장으로 이끌며 관객 저변을 획기적으로 넓혔다. 이후 2011년에는 디큐브아트센터 개관작으로 초청되어 6개월간의 장기 공연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흥행 불패’ 신화를 써 내려갔다. 이러한 성공의 중심에는 2007년부터 합류한 최정원을 비롯해 전수경, 이경미, 남경주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실력파 배우들의 열연이 있었다.

 

작품의 살아있는 역사인 배우들의 활약은 ‘맘마미아!’를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특히 ‘도나’ 역의 최정원은 2019년 대극장 여배우 최초로 단일 배역 1000회 공연이라는 대기록을 세우며 작품과 함께 성장해왔다. 2023년 시즌에는 최정원, 신영숙, 홍지민 등 기존의 주역들과 더불어 장현성, 김진수, 송일국 등 새로운 얼굴들이 합류해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었다. 올해 무대에서는 다시 뭉친 최정상 배우들이 환상의 호흡과 최고의 팀워크를 선보이며, 왜 ‘맘마미아!’가 21년간 사랑받을 수밖에 없는지를 무대 위에서 증명하고 있다.

 

대통령 부인 김혜경의 '한복 사랑', 알고 보니 우리 문화 세계화의 '핵심 전략'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의 부인 김혜경 여사가 24일 서울공예박물관을 찾아 전시를 관람하고, 우리 고유의 아름다운 옷, 한복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한복해요 챌린지 이벤트'에 직접 동참하며 문화 홍보대사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진행된 김 여사의 일정은 한복문화주간을 맞아 우리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재조명하고, 국민들의 일상 속 한복 착용을 독려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보로 풀이된다. 특히 김 여사는 지난 21일 한복의 날을 기념해 열린 '2025 한복문화주간 기념행사'에도 참석하는 등 최근 들어 한복 사랑을 몸소 실천하며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녀의 이러한 행보는 우리 문화유산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한복이 가진 현대적 매력을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박물관에 도착한 김 여사는 보자기와 자수 등 다채로운 전통 공예품 전시를 세심하게 관람했다. 특히 궁중에서 사용되던 것부터 민간에서 쓰이던 것까지, 크기와 소재, 구성이 각기 다른 보자기들의 향연에 깊은 감명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여사는 "단순히 물건을 싸는 용도로만 생각했던 보자기에서 이토록 다채롭고 빼어난 아름다움을 재발견할 수 있어 매우 놀랍다"며 감탄사를 연발했다. 또한 19세기와 20세기에 제작된 섬세한 자수 안경 주머니들을 접한 뒤에는 "지금 당장 상품으로 출시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 만큼 현대적인 감각과 높은 완성도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하며 우리 전통 공예의 뛰어난 예술성에 대한 깊은 관심을 표했다. 그녀의 이러한 발언은 전통 공예품이 지닌 무한한 잠재력과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다시금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전시 관람을 마친 김 여사는 박물관 앞마당으로 자리를 옮겨 '한복해요 챌린지 이벤트'에 동참했다. 그녀는 화사한 연분홍빛 한복을 단정하게 차려입고 '#한복해요'라는 문구가 선명하게 쓰인 팻말을 직접 들고 시민들과 함께 한복의 아름다움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 챌린지는 한복문화주간을 기념하여 일상생활에서 한복을 착용하거나 즐기는 모습을 사진이나 영상으로 공유하며 한복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된 행사다. 박물관 앞마당에 모여 있던 많은 시민들은 김 여사의 등장에 반가움을 감추지 못하며 뜨거운 환영의 인사를 건넸다. 김 여사는 시민들에게 "한복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자 이곳에 왔다"고 화답하며 일일이 악수를 나누고, 함께 기념사진을 찍어주는 등 소탈하고 친근한 모습을 보였다. 그녀와 함께 사진을 찍기 위해 시민들이 박물관 앞마당에 길게 줄을 늘어서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김 여사는 이날 행사를 통해 한복이 단순한 의복을 넘어선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담고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임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녀는 "한복은 시대를 초월하여 세대를 잇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자, 전 세계 속에서 한국의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상징과도 같다"고 역설했다. 이어 "일상 속에서 한복을 입는 작은 실천 하나하나가 모여, 우리 고유의 문화를 세계 무대로 더욱 확장시키는 거대한 힘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한복 사랑을 당부했다. 김 여사의 이번 행보는 한복이 특별한 날에만 입는 옷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즐길 수 있는 패션이자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녀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우리 한복 문화의 세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