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230만 명이 열광한 이유"…최정원·송일국도 함께한 '맘마미아!' 흥행 신화의 비밀

 21년간 대한민국 뮤지컬의 역사를 써 내려온 ‘맘마미아!’가 서울에서의 여정을 마무리하고 전국 투어에 돌입한다. 현재 서울 마곡 LG아트센터에서 공연 중인 ‘맘마미아!’는 객석 점유율 91%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우며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 올 시즌 서울 공연은 단 16회만을 남겨두고 오는 25일 막을 내릴 예정이어서, 아직 관람하지 못한 이들의 발걸음이 더욱 분주해질 전망이다. 이번 시즌 역시 변함없는 인기를 증명한 만큼, 작품이 가진 힘과 관객의 뜨거운 사랑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서울 공연의 열기는 곧바로 전국으로 확산된다. 이달 말을 시작으로 2026년 2월까지 의정부, 안성, 천안, 인천, 대구, 부산, 일산, 안산, 평택, 광주, 대전, 용인, 화성 등 전국 13개 도시에서 순회공연을 펼친다. 지난 21년간 전국 33개 도시에서 230만 명이 넘는 누적 관객을 동원하며 대한민국 대표 뮤지컬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한 만큼, 이번 전국 투어에 대한 기대감 역시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각 지역의 관객들은 다시 한번 ‘맘마미아!’가 선사하는 유쾌한 감동과 에너지 넘치는 무대를 만끽할 수 있게 되었다.

 


‘맘마미아!’는 2004년 한국 초연 당시부터 단순한 흥행을 넘어 뮤지컬 시장의 판도를 바꾼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전까지 문화 소외 계층으로 여겨졌던 중장년 관객을 대거 극장으로 이끌며 관객 저변을 획기적으로 넓혔다. 이후 2011년에는 디큐브아트센터 개관작으로 초청되어 6개월간의 장기 공연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흥행 불패’ 신화를 써 내려갔다. 이러한 성공의 중심에는 2007년부터 합류한 최정원을 비롯해 전수경, 이경미, 남경주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실력파 배우들의 열연이 있었다.

 

작품의 살아있는 역사인 배우들의 활약은 ‘맘마미아!’를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특히 ‘도나’ 역의 최정원은 2019년 대극장 여배우 최초로 단일 배역 1000회 공연이라는 대기록을 세우며 작품과 함께 성장해왔다. 2023년 시즌에는 최정원, 신영숙, 홍지민 등 기존의 주역들과 더불어 장현성, 김진수, 송일국 등 새로운 얼굴들이 합류해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었다. 올해 무대에서는 다시 뭉친 최정상 배우들이 환상의 호흡과 최고의 팀워크를 선보이며, 왜 ‘맘마미아!’가 21년간 사랑받을 수밖에 없는지를 무대 위에서 증명하고 있다.

 

돼지고기, 소고기 값 걱정할 때…'이것'만은 폭발했다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늦은 추석 명절이 3분기 가축 시장의 희비를 극명하게 갈랐다. 삼계탕 수요가 폭발하며 육계 사육은 크게 늘었지만, 더위에 지친 한·육우와 돼지는 사육 마릿수가 눈에 띄게 감소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24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여름철 보양식 특수를 누린 닭을 제외한 대부분의 축종에서 사육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기후 변화와 소비 패턴이 축산 농가에 미치는 영향을 여실히 드러냈다.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은 한·육우와 돼지였다. 3분기 기준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342만 2000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에 해당하는 15만 8000마리가 줄었다. 이는 번식이 가능한 암소의 수가 구조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더해, 10월 초순으로 추석이 늦어지면서 명절 수요가 3분기 통계에서 제외된 영향이 컸다. 돼지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사육 마릿수는 1103만 7000마리로 전년 대비 1.3%(14만 5000마리) 감소했는데, 특히 7~8월 폭염으로 인한 폐사가 늘면서 4개월 미만의 어린 돼지 수가 3.1%나 줄어든 것이 결정적이었다.반면 가금류 시장은 상대적으로 활기를 띠었다. 산란계는 8108만 3000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0.7% 소폭 증가했다. 이는 계란 생산량을 유지하기 위해 농가에서 노계 도축을 줄인 결과로, 안정적인 계란 공급을 위한 농가의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하이라이트는 단연 육용계였다. 전체 사육 마릿수는 9425만 3000마리로 지난해보다 무려 9.9%(851만 6000마리)나 급증했다. 특히 여름 복날을 겨냥한 삼계탕 수요가 폭발하면서, 3분기 삼계 도축량은 직전 분기보다 47%나 치솟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여름 한 철 수요를 맞추기 위해 엄청난 수의 닭이 공급되었음을 의미한다.이러한 통계는 대한민국 축산업이 마주한 현실을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구조적인 번식 기반 약화와 기후 변화라는 이중고에 시달리는 소, 돼지 농가의 어려움이 수치로 확인된 반면, 특정 시기 폭발하는 소비 트렌드가 육계 시장 전체를 견인하는 모습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오리 사육 마릿수가 새끼 입식 감소와 도축 증가로 소폭 줄어든 것을 포함해, 각 축종별로 엇갈린 성적표는 향후 국내 축산 시장의 안정적인 수급 관리와 기후 위기 대응 전략이 얼마나 중요한 과제인지를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