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230만 명이 열광한 이유"…최정원·송일국도 함께한 '맘마미아!' 흥행 신화의 비밀

 21년간 대한민국 뮤지컬의 역사를 써 내려온 ‘맘마미아!’가 서울에서의 여정을 마무리하고 전국 투어에 돌입한다. 현재 서울 마곡 LG아트센터에서 공연 중인 ‘맘마미아!’는 객석 점유율 91%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우며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 올 시즌 서울 공연은 단 16회만을 남겨두고 오는 25일 막을 내릴 예정이어서, 아직 관람하지 못한 이들의 발걸음이 더욱 분주해질 전망이다. 이번 시즌 역시 변함없는 인기를 증명한 만큼, 작품이 가진 힘과 관객의 뜨거운 사랑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서울 공연의 열기는 곧바로 전국으로 확산된다. 이달 말을 시작으로 2026년 2월까지 의정부, 안성, 천안, 인천, 대구, 부산, 일산, 안산, 평택, 광주, 대전, 용인, 화성 등 전국 13개 도시에서 순회공연을 펼친다. 지난 21년간 전국 33개 도시에서 230만 명이 넘는 누적 관객을 동원하며 대한민국 대표 뮤지컬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한 만큼, 이번 전국 투어에 대한 기대감 역시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각 지역의 관객들은 다시 한번 ‘맘마미아!’가 선사하는 유쾌한 감동과 에너지 넘치는 무대를 만끽할 수 있게 되었다.

 


‘맘마미아!’는 2004년 한국 초연 당시부터 단순한 흥행을 넘어 뮤지컬 시장의 판도를 바꾼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전까지 문화 소외 계층으로 여겨졌던 중장년 관객을 대거 극장으로 이끌며 관객 저변을 획기적으로 넓혔다. 이후 2011년에는 디큐브아트센터 개관작으로 초청되어 6개월간의 장기 공연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흥행 불패’ 신화를 써 내려갔다. 이러한 성공의 중심에는 2007년부터 합류한 최정원을 비롯해 전수경, 이경미, 남경주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실력파 배우들의 열연이 있었다.

 

작품의 살아있는 역사인 배우들의 활약은 ‘맘마미아!’를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특히 ‘도나’ 역의 최정원은 2019년 대극장 여배우 최초로 단일 배역 1000회 공연이라는 대기록을 세우며 작품과 함께 성장해왔다. 2023년 시즌에는 최정원, 신영숙, 홍지민 등 기존의 주역들과 더불어 장현성, 김진수, 송일국 등 새로운 얼굴들이 합류해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었다. 올해 무대에서는 다시 뭉친 최정상 배우들이 환상의 호흡과 최고의 팀워크를 선보이며, 왜 ‘맘마미아!’가 21년간 사랑받을 수밖에 없는지를 무대 위에서 증명하고 있다.

 

이준석, 김현지 '폭로 자료' 쥐고 경고 "감시 피하면 터뜨린다"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가 김현지 대통령실 1부속실장과 관련해 다수의 증언 및 영상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며, 김 실장이 '월급만 받고 감시는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하는 순간 이를 공개하겠다고 23일 예고해 파장이 예상된다.이 대표는 전날 KBS1 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김현지 실장과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이 다투는 모습 등을 담은 영상을 이미 공개한 바 있다"고 언급하며, "이 외에도 여러 증언과 영상 자료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김 실장의 과거 행적에 대한 추가 폭로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이 대표는 김 실장을 옹호하는 민주당의 주장에 대해서도 비판의 날을 세웠다. 그는 "민주당이 '이분이 레드팀이고, 굉장히 일을 잘하는 분'이라는 식으로 이해할 수 없는 해명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레드팀은 쓴소리를 한다는 의미인데, 대한민국에서 레드팀 역할을 하면서 잘 지낸 사람이 누가 있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이어 "공개했던 영상에서도 김 실장이 다소곳이 일만 하는 분이 아니라, 이재명 당시 시장의 전위부대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했음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앞서 개혁신당 이기인 사무총장은 지난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2004년 3월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과 김 실장이 성남시의회에 난입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게시하며 김 실장의 과거 논란을 재점화한 바 있다. 이 대표의 이번 발언은 이기인 사무총장의 폭로에 이은 후속 조치이자, 김 실장을 둘러싼 논란을 더욱 확대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이 대표는 "상식과 관례에서 벗어나는 판단을 한 것은 현 정부"라며, "현 정부가 자초한 일"이라고 강조하며 김 실장 인사를 둘러싼 논란의 책임을 현 정부에 돌렸다. 개혁신당의 연이은 공세에 김현지 실장과 대통령실의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