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박호산·하도권 왜 가두었나? 밀실 미스터리의 서막

 이모셔널씨어터는 창작 뮤지컬 '캐빈'이 오는 11월 27일부터 내년 3월 1일까지 이티 씨어터 원에서 관객들을 만난다고 13일 공식 발표했다. '캐빈'은 거센 태풍이 몰아치는 밤, 낡은 오두막에 갇힌 두 남자의 극한 심리전과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을 밀도 있게 그려낼 예정이다.

 

작품은 정의를 좇는 기자 '데이'와 거대 제약회사의 불법 비리를 고발한 내부고발자 '마이클'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외딴 오두막에 갇히게 된 두 사람은 처음에는 서로를 의지하지만, 이내 깊은 의심과 경계심에 휩싸인다. 밀실이라는 폐쇄적인 공간이 주는 압박감 속에서 인간 본연의 나약함과 강인함이 교차하며 팽팽한 긴장감을 조성한다.

 

극의 미스터리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인물 'J'의 존재와 책상 서랍 속에서 발견되는 의문의 단서들은 두 사람을 더욱 혼란에 빠뜨린다. 관객들은 데이와 마이클의 시선을 따라가며 '누가, 그리고 어떤 의도를 가지고 이들을 가두었는지'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게 될 것이다. 작품은 이러한 의문을 바탕으로 치밀한 심리전을 펼치며 진실을 향한 집요한 추적 과정을 숨 막히게 그려낸다.

 

이번 초연 무대에는 실력파 배우들이 대거 캐스팅되어 기대를 모은다. 제약회사 직원 '마이클' 역에는 연기파 배우 박호산, 하도권, 윤석원이 이름을 올렸다. 진실을 좇는 기자 '데이' 역에는 정동화, 유승현, 홍성원이 출연하여 각기 다른 매력으로 캐릭터에 생명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 이들의 섬세한 연기 앙상블은 밀실 스릴러의 몰입도를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캐빈'은 올해 초 이모셔널씨어터의 자체 공연 지식재산(IP) 개발 프로젝트인 '랩퍼토리(LABpertory)'를 통해 선정된 작품이다. 당시 '메이데이'라는 가제로 리딩 쇼케이스를 거쳐 작품의 가능성을 인정받았으며, 이후 약 10개월간의 심도 깊은 개발 과정을 통해 더욱 탄탄한 스토리와 완성도 높은 무대 구성을 갖추게 되었다.

 

이모셔널씨어터 관계자는 "오랜 개발 기간을 거쳐 관객들에게 선보이는 창작 뮤지컬 '캐빈'은 단순히 사건을 해결하는 것을 넘어, 극한 상황 속에서 인간의 본성과 진실의 가치를 탐구하는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라며, "배우들의 뜨거운 열연과 예측 불가능한 전개가 어우러져 관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오는 11월, 이티 씨어터 원에서 막을 올릴 뮤지컬 '캐빈'은 새로운 창작 뮤지컬의 지평을 열며 관객들에게 강렬한 몰입감과 깊은 여운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배고파서…" 현대판 장발장, 경찰의 따뜻한 손길로 새 삶 얻다

 청주시 오창읍에서 발생한 식료품 절도 사건의 50대 피의자가 경찰의 인도적인 조치로 삶의 희망을 되찾게 됐다. 지난 22일 새벽 2시 30분경, 50대 남성 A씨는 오창읍 소재 한 편의점에서 5만 원 상당의 식료품을 훔쳐 달아난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범행 당시 계산대에 있던 직원에게 "배가 고프다. 내일 계산하면 안 되겠냐"고 요청했으나 거절당하자, 재킷을 열어 품에 있던 과도를 보여준 뒤 봉투에 담긴 식료품을 들고 편의점을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CCTV 영상 분석 등을 통해 추적에 나섰고, 지난 25일 오전 9시 35분경 인근 원룸에서 A씨를 긴급체포했다.검거 당시 A씨는 심하게 야윈 채 침대에 누워 있었으며, 형사들의 부축에도 힘없이 주저앉을 정도로 기력이 쇠약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형사들은 A씨에게 우선 죽을 사 먹인 후 병원으로 이동하여 사비를 들여 영양 수액을 맞게 하는 등 인도적인 조치를 취했다. 이후 A씨 가족이 인계를 거부하자, 경찰은 마트에서 계란, 햇반, 라면 등 식자재를 구매하여 제공하고 A씨를 귀가 조처했다. A씨는 검거 당시 형사들에게 "열흘 가까이 굶어 너무 배가 고팠다. 사람을 해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진술하며 범행 동기를 밝혔다.A씨의 범행은 극심한 생활고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됐다. 일용직 노동자로 일해 온 A씨는 지난 7월 이후 일거리가 끊기면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렸으나 연체로 인해 통장마저 압류된 상태였으며, 기초생활수급이나 민생회복지원금 등 각종 복지제도의 존재 자체를 알지 못해 신청조차 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당초 A씨가 흉기를 동원하여 범행을 저지르고 도주한 점 등을 고려하여 구속영장 신청을 검토했으나, A씨에게 전과가 없고 극심한 생활고가 범행의 주된 원인임을 참작하여 불구속 수사를 결정했다.경찰은 A씨의 재활과 자립을 돕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이날 경찰은 A씨를 오창읍 행정복지센터로 동행하여 기초생활보장제도 신청을 지원했다. 이에 따라 A씨는 대상자 선정 심사를 받는 약 3개월 동안 매달 76만 원의 임시 생계비를 지원받을 예정이다. 또한 청주시는 A씨의 구직 활동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장기적인 자립을 위한 다각적인 도움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사건은 사회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의 현실을 다시 한번 조명하며, 복지 시스템의 접근성 강화와 취약계층 발굴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