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동해시, 발길 닿는 곳마다 그림! 사계절 걷기 좋은 도시로 '핫'하게

 강원 동해시가 사계절 언제 찾아도 즐거움이 가득한 '걷기 좋은 도시'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동해시 곳곳에는 아름다운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길, 웅장한 산악 풍경을 품은 길, 그리고 지역의 고유한 이야기가 담긴 길들이 조화롭게 조성되어 있어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특별하고 잊지 못할 도보 여행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동해시의 걷기 코스 중 가장 대표적인 곳은 대한민국 동해안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장거리 도보길인 '해파랑길'이다. 동해 구간의 해파랑길은 크게 두 코스로 나뉜다. 먼저 추암해변에서 묵호역까지 이어지는 33코스는 푸른 바다를 옆에 두고 걷는 동안 시시각각 변하는 동해의 황홀한 풍광과 넘실거리는 파도 소리, 그리고 장엄한 일출을 만끽할 수 있는 절경을 자랑한다. 이어서 묵호역에서 망상을 거쳐 한국여성수련원까지 이어지는 34코스 역시 해안선을 따라 걸으며 동해 특유의 정취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환상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해안길 외에도 삼화지역에서 정선 임계까지 이어지는 '소금길' 또한 동해시의 빼놓을 수 없는 걷기 명소로 손꼽힌다. 이 길은 동쪽으로는 달방저수지의 고요하고 평화로운 수변 경관이 펼쳐지고, 서쪽으로는 백봉령의 웅장하고 수려한 산악지대가 그림처럼 어우러져 사계절 내내 다채롭고 색다른 풍경을 감상할 수 있게 한다. 애초 3개 코스로 구성된 소금길은 신흥마을 대형주차장에서 원방재까지 이어지는 1코스, 이기령에서 장재터까지의 2코스, 그리고 미역널이 입구에서 무릉별유천지까지 연결되는 3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동해고속도로와 국도 7호선, 42호선을 통해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찾아와 자연 속에서 힐링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 외에도 동해시 곳곳에는 지역의 풍부한 역사와 문화, 그리고 자연의 이야기가 고스란히 담긴 '이야기길' 6개 코스가 조성되어 있어 걷는 재미를 한층 더한다. 각각의 길마다 숨어 있는 흥미로운 전설과 마을의 오랜 이야기, 그리고 다채로운 자연 생태를 접하며 걷는 즐거움은 물론, 깊이 있는 경험까지 선사한다.

 

동해시는 시민과 관광객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걷기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걷는 길 정비를 수시로 진행하며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홍보 활동을 통해 동해시의 걷는 길 관광을 활성화하는 데도 힘을 쏟고 있다. 아름다운 자연과 이야기가 살아 숨 쉬는 동해시의 걷는 길은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벗어나 자연과 교감하며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최고의 선택이 될 것이다.

 

공급은 '확실히', 세금은 '노코멘트'…대통령실이 시장에 보낸 혼란스러운 신호

 대통령실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시장의 혼란과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후속 정책의 방향성이 '공급 확대'에 있음을 분명히 못 박았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이번 대책이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설명하며, 기존에 발표했던 공급 대책들은 한 치의 차질 없이 추진될 것임을 거듭 강조했다. 이는 최근 발표된 대책이 수요 억제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공급 부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일각의 비판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정부의 정책 기조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시장에 명확히 전달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특히 대통령실은 정책 수장들의 발언을 인용하며 공급 확대 의지를 재차 확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 대변인은 김용범 정책실장이 개인 SNS를 통해 10·15 대책의 배경을 설명한 것 자체가 "공급 대책을 마련해서 확실히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정책 책임자가 직접 나서서 여론전에 나선 것을 두고, 단순한 해명을 넘어 공급 중심의 정책을 일관되게 밀고 나가겠다는 강력한 시그널로 해석해달라는 주문이다. 이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단기적인 시장 안정화 조치를 넘어, 장기적인 수급 균형을 맞추는 데 핵심 목표를 두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나아가 이재명 정부는 이번 부동산 문제를 단순한 주택 가격의 등락이 아닌, 한국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와 연결 짓고 있음을 시사했다. 김 대변인은 "부동산이 유일무이한 투자 수단이 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특정 자산으로의 쏠림 현상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부작용에 대한 정부의 고민을 드러냈다. 그 대안으로 주식시장 등 투자처를 다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자금이 생산적인 분야로 흘러 들어가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현 정부의 궁극적인 목표임을 덧붙였다.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넘어 경제 체질 개선까지 염두에 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시장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보유세 인상 가능성에 대해서는 철저히 말을 아끼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김 대변인은 보유세 관련 질문에 "현재 시점에서 따로 말씀드릴 것은 없다"고 선을 그으며, 김용범 정책실장의 기존 발언들을 참고하는 수준에서 이해해달라고 한발 물러섰다. 이는 공급 확대라는 큰 틀의 원칙은 고수하되, 세금이라는 가장 예민한 카드는 여론의 추이와 시장 반응을 살피며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공급 정책에 대해서는 확신에 찬 메시지를 내놓으면서도, 증세 문제에 대해서는 여지를 남겨두며 정책적 유연성을 확보하려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