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향수와 신선함 사이, 30년 전 분위기가 안방을 점령한 비결은?

 가을밤, 30~40년 전의 향수를 자극하는 예능과 드라마가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복고 열풍은 1970·80년대를 넘어 1980·90년대로 확장되며 새로운 전성기를 맞았다. 소비 세대 변화와 함께 밀레니얼 세대 추억을 소환하고, Z세대에게는 신선한 아날로그 감성을 선사한다.

 

MBC 예능 '놀면 뭐하니?'는 '80s MBC 서울 가요제'를 통해 1980년대 가요 경연을 선보이며 큰 화제를 모았다. 당시 의상, 무대 장식, 자막 폰트까지 완벽 재현해 시청률을 6.6%까지 끌어올리는 저력을 보였다. 수도권 순간 최고 시청률은 10%를 돌파하기도 했다.

 


드라마 역시 시대극이 대세다. JTBC '백번의 추억'은 1980년대를 배경으로 버스 안내양 영례(김다미)와 종희(신예은)의 우정과 첫사랑을 그렸다. 제작진은 실제 운행했던 옛 버스를 복원하고, 주간학교 응원 쪽지나 음악다방 신청곡, 교복 미팅 등 1980년대 문화를 생생하게 담아냈다. 11일 첫 방송된 tvN '태풍상사'는 1997년 IMF 외환위기 시대를 배경으로, '압구정 오렌지족' 출신 초보 영업맨 강태풍(이준호)의 성장기를 다룬다. 이나정 감독은 "진정성 있는 고증이 작품 정체성"이라며, 제작진은 텔렉스까지 공수해 1990년대 말 사무실 풍경과 Y2K 분위기를 진정성 있게 고증했다.

 

이러한 흐름은 1980~90년대 학창 시절을 보낸 밀레니얼 세대가 사회 중추로 자리 잡으며 강력한 소비층이 된 데 기인한다. 또한 김헌식 대중문화 평론가는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는 현재 MZ세대가 누리는 대중문화의 원형이 형성된 시기"라며, Z세대가 겪어보지 못한 아날로그 감수성과 공동체적 온기를 신선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완벽한 고증보다 중요한 것은 '서사의 힘'이다. 김 평론가는 "드라마는 과거 이야기를 통해 현재 결핍을 채워주는 것이 중요하며, 예능 또한 개별성과 보편성을 함께 시도하는 변주가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추억을 소비하는 것을 넘어, 현재와 소통하는 깊이 있는 이야기가 복고 콘텐츠의 지속적인 성공 열쇠임을 시사한다.

 

뉴발란스·아디다스 입고 뛰었더니… 세탁 몇 번에 '물 먹는' 러닝 재킷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러닝 재킷 8개 제품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러닝 애호가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핵심 기능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세탁 후 기능 유지 여부에 초점을 맞췄다. 조사 결과, 절반에 해당하는 4개 제품이 세탁 후 물을 튕겨내는 발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시험 대상 8종 모두 세탁 전에는 가장 우수한 5등급의 발수성을 보였으나, 5회 세탁 후 '뉴발란스(UNI 스포츠 에센셜 바람막이)', '데상트(러닝 웜업 바람막이)', '아디다스(아디제로 에센셜 러닝 재킷)', '언더아머(UA 론치 후드 재킷)' 등 4개 제품의 등급은 3등급으로 두 단계나 하락했다. 반면 '나이키(리펠 마일러)', '안다르(클리어 페더 맨즈 윈드자켓)', '젝시믹스(RX 에어라이트 자켓)', '휠라(PERTEX 경량 바람막이)' 4종은 세탁 후에도 5등급을 그대로 유지해 대조를 보였다.발수성 외에도 운동 시 중요한 기능인 체온 유지성과 공기투과도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졌다.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 체온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능력을 평가한 체온 유지성 항목에서는 '나이키', '데상트', '안다르', '언더아머' 4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대로 운동 중 발생하는 땀과 열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공기투과도에서는 '뉴발란스', '아디다스', '젝시믹스'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원은 체온 유지성과 공기투과도는 서로 상충하는 기능이므로, 쌀쌀한 날씨에는 체온 유지성이 높은 제품을, 땀을 많이 흘리는 환경에서는 공기투과도가 좋은 제품을 선택하는 등 착용 환경과 개인의 기호를 고려해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했다.이번 조사 대상 제품들은 가격 면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저렴한 제품은 8만 9천 원인 '아디다스(아디제로 에센셜 러닝 재킷)'이었고, 가장 비싼 제품은 19만 9천 원인 '데상트(러닝 웜업 바람막이)'로, 두 제품 간 가격 차이는 2.2배 이상에 달했다. 흥미로운 점은 가격과 핵심 성능이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가장 비싼 데상트 제품과 가장 저렴한 아디다스 제품 모두 세탁 후 발수성이 저하되는 그룹에 속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단순히 가격표만 보고 제품의 내구성과 성능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제품 구매 시 가격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기능이 오래 유지되는지를 꼼꼼히 따져보는 합리적인 소비 태도가 필요하다.모든 평가 항목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소비자원은 가성비가 우수한 제품으로 '나이키(리펠 마일러)'를 꼽았다. 11만 5천 원인 이 제품은 세탁 후에도 최상급 발수성을 유지했을 뿐만 아니라, 상충 관계에 있는 체온 유지성과 공기투과도 항목에서도 모두 '양호' 등급을 받아 균형 잡힌 성능을 입증했다. 소비자원은 최종적으로 러닝 재킷을 구매할 때 특정 브랜드나 높은 가격을 맹신하기보다는, 소비자원 '행복드림' 사이트 등을 통해 제공되는 객관적인 비교 정보를 바탕으로 본인에게 필요한 기능성과 디자인, 내구성, 가격 등을 꼼꼼히 비교한 후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