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향수와 신선함 사이, 30년 전 분위기가 안방을 점령한 비결은?

 가을밤, 30~40년 전의 향수를 자극하는 예능과 드라마가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복고 열풍은 1970·80년대를 넘어 1980·90년대로 확장되며 새로운 전성기를 맞았다. 소비 세대 변화와 함께 밀레니얼 세대 추억을 소환하고, Z세대에게는 신선한 아날로그 감성을 선사한다.

 

MBC 예능 '놀면 뭐하니?'는 '80s MBC 서울 가요제'를 통해 1980년대 가요 경연을 선보이며 큰 화제를 모았다. 당시 의상, 무대 장식, 자막 폰트까지 완벽 재현해 시청률을 6.6%까지 끌어올리는 저력을 보였다. 수도권 순간 최고 시청률은 10%를 돌파하기도 했다.

 


드라마 역시 시대극이 대세다. JTBC '백번의 추억'은 1980년대를 배경으로 버스 안내양 영례(김다미)와 종희(신예은)의 우정과 첫사랑을 그렸다. 제작진은 실제 운행했던 옛 버스를 복원하고, 주간학교 응원 쪽지나 음악다방 신청곡, 교복 미팅 등 1980년대 문화를 생생하게 담아냈다. 11일 첫 방송된 tvN '태풍상사'는 1997년 IMF 외환위기 시대를 배경으로, '압구정 오렌지족' 출신 초보 영업맨 강태풍(이준호)의 성장기를 다룬다. 이나정 감독은 "진정성 있는 고증이 작품 정체성"이라며, 제작진은 텔렉스까지 공수해 1990년대 말 사무실 풍경과 Y2K 분위기를 진정성 있게 고증했다.

 

이러한 흐름은 1980~90년대 학창 시절을 보낸 밀레니얼 세대가 사회 중추로 자리 잡으며 강력한 소비층이 된 데 기인한다. 또한 김헌식 대중문화 평론가는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는 현재 MZ세대가 누리는 대중문화의 원형이 형성된 시기"라며, Z세대가 겪어보지 못한 아날로그 감수성과 공동체적 온기를 신선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완벽한 고증보다 중요한 것은 '서사의 힘'이다. 김 평론가는 "드라마는 과거 이야기를 통해 현재 결핍을 채워주는 것이 중요하며, 예능 또한 개별성과 보편성을 함께 시도하는 변주가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추억을 소비하는 것을 넘어, 현재와 소통하는 깊이 있는 이야기가 복고 콘텐츠의 지속적인 성공 열쇠임을 시사한다.

 

꿈의 4000 돌파, 축포 터뜨린 증시…하지만 "진짜는 지금부터", 살얼음판 예고된 이유

 대한민국 주식 시장이 마침내 새로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썼다. 27일 오전, 코스피 지수가 장중 40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처음으로 '사천피' 시대를 열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8.20포인트(1.48%) 오른 3999.79로 출발하며 개장과 동시에 4000선 턱밑까지 치고 올라갔다. 이내 거침없는 상승세를 보이며 장중 한때 4021.93까지 치솟아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오전 9시 9분 현재 전장 대비 78.58포인트(1.99%) 급등한 4020.17을 기록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4000선 돌파를 두고, 그동안 꿈의 영역으로만 여겨졌던 '오천피'(코스피 5000)를 향한 본격적인 여정이 시작되었다는 장밋빛 전망까지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이날 역사적인 지수 상승의 일등 공신은 외국인과 개인 투자자였다.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787억 원, 1,204억 원어치를 순매수하며 강력한 매수세로 지수를 밀어 올린 반면, 기관 투자자들은 1,994억 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서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강력한 매수세는 국내 증시의 대장주들에게 고스란히 옮겨붙었다. 대한민국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 주가가 사상 처음으로 10만 원 선을 돌파하며 '십만전자' 시대를 열었고, 2위인 SK하이닉스 주가 역시 단숨에 53만 원대까지 치솟는 등 반도체 투톱이 시장의 열기를 주도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이처럼 한국 증시가 뜨겁게 달아오른 배경에는 긍정적인 대외 여건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간밤 뉴욕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훈풍을 불어넣은 것이 주된 동력이었다. 지난주 말 발표된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의 예상치를 밑돌자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었고, 이에 뉴욕의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하며 투자 심리를 크게 개선시켰다. 여기에 더해, 오는 30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이 예정되면서, 오랜 기간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했던 미·중 무역 갈등이 봉합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진 것 또한 국내 증시에 강력한 호재로 작용했다.다만, 축포를 터뜨리기엔 아직 이르다는 신중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당장 이번 주부터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APEC 정상회의, 본격적인 기업 실적 시즌 등 굵직한 이벤트들을 연달아 마주해야 한다. 키움증권의 한지영 연구원은 이러한 주요 이벤트들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일간 단위의 주가 변동성이 지난주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특히, 국내 증시는 전통적으로 기업들의 실적 발표 이후 단기 차익을 노린 실현 매물이 출회되는 경향이 짙었던 만큼, 이번에도 유사한 패턴이 반복되면서 일시적인 주가 조정이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