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향수와 신선함 사이, 30년 전 분위기가 안방을 점령한 비결은?

 가을밤, 30~40년 전의 향수를 자극하는 예능과 드라마가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복고 열풍은 1970·80년대를 넘어 1980·90년대로 확장되며 새로운 전성기를 맞았다. 소비 세대 변화와 함께 밀레니얼 세대 추억을 소환하고, Z세대에게는 신선한 아날로그 감성을 선사한다.

 

MBC 예능 '놀면 뭐하니?'는 '80s MBC 서울 가요제'를 통해 1980년대 가요 경연을 선보이며 큰 화제를 모았다. 당시 의상, 무대 장식, 자막 폰트까지 완벽 재현해 시청률을 6.6%까지 끌어올리는 저력을 보였다. 수도권 순간 최고 시청률은 10%를 돌파하기도 했다.

 


드라마 역시 시대극이 대세다. JTBC '백번의 추억'은 1980년대를 배경으로 버스 안내양 영례(김다미)와 종희(신예은)의 우정과 첫사랑을 그렸다. 제작진은 실제 운행했던 옛 버스를 복원하고, 주간학교 응원 쪽지나 음악다방 신청곡, 교복 미팅 등 1980년대 문화를 생생하게 담아냈다. 11일 첫 방송된 tvN '태풍상사'는 1997년 IMF 외환위기 시대를 배경으로, '압구정 오렌지족' 출신 초보 영업맨 강태풍(이준호)의 성장기를 다룬다. 이나정 감독은 "진정성 있는 고증이 작품 정체성"이라며, 제작진은 텔렉스까지 공수해 1990년대 말 사무실 풍경과 Y2K 분위기를 진정성 있게 고증했다.

 

이러한 흐름은 1980~90년대 학창 시절을 보낸 밀레니얼 세대가 사회 중추로 자리 잡으며 강력한 소비층이 된 데 기인한다. 또한 김헌식 대중문화 평론가는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는 현재 MZ세대가 누리는 대중문화의 원형이 형성된 시기"라며, Z세대가 겪어보지 못한 아날로그 감수성과 공동체적 온기를 신선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완벽한 고증보다 중요한 것은 '서사의 힘'이다. 김 평론가는 "드라마는 과거 이야기를 통해 현재 결핍을 채워주는 것이 중요하며, 예능 또한 개별성과 보편성을 함께 시도하는 변주가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추억을 소비하는 것을 넘어, 현재와 소통하는 깊이 있는 이야기가 복고 콘텐츠의 지속적인 성공 열쇠임을 시사한다.

 

‘보라색 소변’ 쑨양의 더러운 기록, 8년 만에 황선우가 깨끗이 지웠다

 8년간 굳건히 버텨온 '약물 스캔들'의 주역 쑨양의 시대가 마침내 막을 내렸다. 한국 수영의 간판 황선우가 부산 전국체전에서 남자 자유형 200m 아시아 신기록을 작성하며, 오랫동안 논란의 중심에 섰던 쑨양의 기록을 역사 속으로 밀어낸 것이다. 황선우는 20일 부산 사직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남자 일반부 결승에서 1분43초92라는 경이적인 기록으로 터치패드를 찍었다. 이는 2017년 쑨양이 세운 종전 아시아 기록(1분44초39)을 0.47초나 앞당긴 대기록이자, 그가 2023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세웠던 자신의 한국 기록(1분44초40)을 0.48초 단축한 눈부신 성과다. 레이스를 마친 황선우는 전광판의 기록을 확인하자마자 참아왔던 감정을 터뜨리며 오른팔로 물살을 힘껏 내리치는 포효로 기쁨을 만끽했다.황선우에게 이번 기록은 단순한 아시아 신기록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1분44초62로 한국 신기록을 세운 이후, 그는 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0.22초를 줄이는 데 그치며 '1분 44초의 벽'에 갇혀 있었다. 세계선수권에서 3회 연속 메달을 따내는 등 세계 정상급 기량을 유지하면서도 기록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자 그 스스로도 깊은 고민에 빠졌다. 특히 지난 7월 싱가포르 세계선수권에서는 4위에 그치며 연속 메달 행진을 마감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좌절하지 않았다. 지난겨울 기초군사훈련으로 인한 한 달간의 공백을 딛고 이뤄낸 성과였기에 오히려 자신감을 얻었고, 마침내 이번 전국체전에서 모든 구간 기록을 항저우 아시안게임 때보다 앞당기는 완벽한 레이스를 펼치며 1분43초대 진입이라는 쾌거와 함께 자신의 새 전성기를 활짝 열어젖혔다.황선우의 이번 대기록이 더욱 값진 이유는 그가 넘어선 것이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약물로 얼룩진 '불명예 기록'이었기 때문이다. 쑨양은 남자 자유형 200m, 400m, 1500m 아시아 기록을 보유했지만, 그의 커리어 내내 도핑 의혹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다. 2018년 도핑 검사 샘플을 망치로 깨뜨려 훼손하는 상식 밖의 행동으로 4년 3개월의 자격 정지라는 중징계를 받았고, 2019년 광주 세계선수권에서는 그와 함께 시상대에 오르는 것을 다른 선수들이 거부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벌어졌다. 심지어 2016년 리우 올림픽 당시 프랑스 선수는 "쑨양의 소변은 보라색"이라는 원색적인 비난을 퍼붓기도 했다. 이처럼 정정당당한 스포츠맨십을 저버린 행위로 세계 수영계의 공공의 적이 된 쑨양의 기록이 마침내 깨끗하고 정직한 땀으로 세워진 새로운 기록으로 대체되었다는 점에서 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 수영 팬들이 환호하고 있다."원래 눈물이 없고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으려 하는데, 오늘은 고생한 세월이 떠올라 하염없이 눈물이 흘렀다." 황선우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그동안의 마음고생을 털어놓으며 눈물을 보였다. 4년간 그를 짓눌렀던 1분 44초의 벽을 마침내 깨부수고 자신의 인생에서 손꼽을 정도로 행복한 날이라며 감격에 젖었다. 수영 역사상 7번째로 1분 43초대에 진입한 선수가 된 그는 이제 더 높은 곳을 바라본다. 불명예로 가득했던 과거의 기록을 지우고 아시아 수영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황선우의 시선은 자신의 꿈인 2028년 LA 올림픽 금메달을 향하고 있다. 이번 기록은 그 꿈을 향한 가장 강력하고 확실한 자신감의 증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