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귀멸' 가니 '체인소' 오고 '주술' 대기…韓 영화 밀어내고 극장가 점령한 日 애니 군단

 한국 영화 대작들의 흥행 열기가 한풀 꺾인 극장가에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개싸라기 흥행(입소문 역주행)’의 저력을 보여주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개봉 3주 차에 접어든 이 작품은 마침내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귀멸의 칼날’에 이어 또 한 번의 ‘재패니메이션’ 신드롬을 예고하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체인소 맨’은 지난 주말(10~12일) 32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추석 연휴 승자였던 ‘보스’와 ‘어쩔수가없다’를 모두 제쳤다. 개봉 초반 2~3위에 머물렀던 순위를 18일 만에 뒤집은 완벽한 역주행이다. 흥행의 실질적인 척도인 좌석판매율 역시 27.5%로 가장 높아, 관객들의 뜨거운 지지를 입증했다. 누적 관객 수는 183만 명을 넘어서며 200만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러한 흥행 돌풍의 배경에는 ‘N차 관람’ 열풍이 있다. 특히 음악과 강렬한 연출을 온몸으로 체감할 수 있는 IMAX, 4DX 등 특별관 관람 비중이 16%에 달하며 재관람객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악마의 심장을 가진 소년 ‘덴지’와 의문의 소녀 ‘레제’의 애틋하면서도 폭발적인 이야기가 입소문을 타면서 관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것이다.

 

‘체인소 맨’의 바통을 이어받을 후속 주자의 기세도 만만치 않다. 오는 16일 개봉하는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은 이미 예매율 10%를 넘기며 ‘체인소 맨’의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이처럼 일본 애니메이션이 연달아 흥행에 성공하며 극장가의 판도를 뒤흔들자, 한때 박스오피스를 쌍끌이했던 한국 영화들은 다소 주춤하는 모양새다.

 

고등어 11%, 사과 21%…숨 막히는 장바구니 물가, 밥상 뒤엎을 판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으며 다시금 서민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2.4% 상승하며 지난해 7월(2.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8월 1.7%까지 둔화하며 잠시 안정세를 찾는 듯했던 물가상승률은 9월 2.1%로 반등한 데 이어, 10월에는 상승 폭을 더욱 키우며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이는 긴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억눌렸던 소비 심리가 폭발하며 여행 관련 서비스 비용이 급등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이번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은 단연 개인서비스 물가였다. 특히 열흘에 달하는 긴 추석 연휴를 맞아 여행 수요가 몰리면서 관련 품목들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솟았다. 콘도 이용료는 1년 전보다 무려 26.4%나 폭등했고, 승용차 임차료와 해외 단체여행비 역시 각각 14.5%, 12.2%라는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서비스 물가의 급등은 전체 물가를 0.72%포인트나 끌어올리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며, 연휴 특수가 물가 전반에 미친 파급력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일상적인 외식 물가 상승률(3.0%)이 다소 둔화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기간의 보복 소비가 전체 지표를 뒤흔든 셈이다.장바구니 물가 역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반적으로 3.1% 상승하며 가계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축산물과 수산물이 각각 5.3%, 5.9% 올랐는데, 특히 서민들이 즐겨 찾는 돼지고기(6.1%)와 고등어(11.0%)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잦은 비로 출하가 지연된 쌀(21.3%)과 찹쌀(45.5%) 가격도 급등했으며, 사과 가격 역시 21.6%나 오르며 과일 전체의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다만, 출하량이 늘어난 채소류 가격이 14.1% 하락하며 농산물 가격의 상승 폭을 일부 억제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전반적인 먹거리 물가의 상승 압력은 여전히 거셌다.에너지와 식료품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하여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표들도 일제히 상승 폭을 키우며 우려를 더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와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각각 2.5%, 2.2% 상승하며 모두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는 일시적인 요인을 넘어 경제 전반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심의관은 "긴 연휴로 인한 여행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지만, 근원물가의 상승세는 앞으로의 물가 안정을 낙관하기 어렵게 만드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