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귀멸' 가니 '체인소' 오고 '주술' 대기…韓 영화 밀어내고 극장가 점령한 日 애니 군단

 한국 영화 대작들의 흥행 열기가 한풀 꺾인 극장가에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개싸라기 흥행(입소문 역주행)’의 저력을 보여주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개봉 3주 차에 접어든 이 작품은 마침내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귀멸의 칼날’에 이어 또 한 번의 ‘재패니메이션’ 신드롬을 예고하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체인소 맨’은 지난 주말(10~12일) 32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추석 연휴 승자였던 ‘보스’와 ‘어쩔수가없다’를 모두 제쳤다. 개봉 초반 2~3위에 머물렀던 순위를 18일 만에 뒤집은 완벽한 역주행이다. 흥행의 실질적인 척도인 좌석판매율 역시 27.5%로 가장 높아, 관객들의 뜨거운 지지를 입증했다. 누적 관객 수는 183만 명을 넘어서며 200만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러한 흥행 돌풍의 배경에는 ‘N차 관람’ 열풍이 있다. 특히 음악과 강렬한 연출을 온몸으로 체감할 수 있는 IMAX, 4DX 등 특별관 관람 비중이 16%에 달하며 재관람객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악마의 심장을 가진 소년 ‘덴지’와 의문의 소녀 ‘레제’의 애틋하면서도 폭발적인 이야기가 입소문을 타면서 관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것이다.

 

‘체인소 맨’의 바통을 이어받을 후속 주자의 기세도 만만치 않다. 오는 16일 개봉하는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은 이미 예매율 10%를 넘기며 ‘체인소 맨’의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이처럼 일본 애니메이션이 연달아 흥행에 성공하며 극장가의 판도를 뒤흔들자, 한때 박스오피스를 쌍끌이했던 한국 영화들은 다소 주춤하는 모양새다.

 

'쓴소리' 한동훈에게 尹 "총살"? 10월 1일 관저의 진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자신을 '총으로 쏴서라도 죽이겠다'고 발언했다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법정 증언에 대해 "참담하고 비통하다"는 심경을 밝혔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해당 주장이 "사실이 아니다"라며 즉각 반박하고 나섰으나, 전직 대통령의 극단적 발언이 법정에서 공개되면서 정치권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파문의 시작은 3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증언이었다. 곽 전 사령관은 지난해 10월 1일 대통령 관저에서 열린 만찬 자리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며 충격적인 내용을 공개했다.곽 전 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이 한동훈과 일부 정치인들을 호명하면서 잡아 오라고 했다"며, "총으로 쏴서라도 죽이겠다고 했다"고 증언했다. 당시 만찬에는 곽 전 사령관 외에도 복수의 군 관계자들이 참석했던 것으로 알려져, 발언의 진위 여부를 두고 논란이 가열될 전망이다.이 같은 증언이 보도되자 한동훈 전 대표는 3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즉각 입장을 표명했다. 한 전 대표는 "참담하고 비통하다"고 짧게 심경을 밝히면서도, 해당 발언이 나왔다고 지목된 시점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한 전 대표는 "10월 1일 무렵은 제가 여당 대표로서 당과 정부의 성공을 위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비공개로 쓴소리를 요청하고 있을 때였다"고 밝혔다. 그가 비공개로 요청했던 내용은 ▲의료사태 해결 ▲김건희 여사 비선에 대한 단속 ▲김 여사에 대한 민심을 반영한 특별감찰관 임명 등이었다.이는 당시 한 전 대표가 당 대표로서 대통령실과 정부에 대해 쓴소리를 아끼지 않으며 일종의 긴장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한 전 대표가 공개적으로 '참담함'을 드러냄에 따라,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악화설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반면,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은 곽 전 사령관의 증언 직후 입장문을 내고 "해당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력히 부인했다.윤 전 대통령 측은 곽 전 사령관의 증언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입장문에서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은 그간 일관성이 부족하고 발언이 자주 바뀌어 온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해당 내용이 사실인지 매우 의문"이라고 지적했다.이어 "오늘도 '한동훈 관련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고 하다가 곧바로 말을 바꾸는 등 본인이 직접 들은 것인지조차 불분명한 태도를 보였다"며, 곽 전 사령관의 증언이 명확하지 않음을 강조했다.이번 사건은 전직 대통령과 유력 정치인 간의 갈등이 극단적인 발언을 통해 수면 위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정치권에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전망이다. 특히 한 전 대표가 차기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이 향후 정치 행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