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내가 새 역사다”…홀란, 케인 기록 25경기 단축한 ‘A매치 최소 경기 50골’

 ‘괴물 공격수’ 엘링 홀란(맨체스터 시티)이 페널티킥을 두 번이나 실축하고도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기이한 활약으로 조국 노르웨이를 28년 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 문턱까지 올려놓았다. 이 경기에서 홀란은 해리 케인을 넘어 A매치 역대 최소 경기 50골이라는 새로운 이정표까지 세웠다.

 

노르웨이는 12일(한국시간) 열린 이스라엘과의 2026 북중미 월드컵 유럽 예선 I조 7차전에서 5-0 대승을 거뒀다. 경기의 주인공은 단연 홀란이었다. 그는 전반 3분, 키커로 나선 페널티킥이 골키퍼에게 막혔고, 골키퍼가 먼저 움직였다는 판정으로 다시 얻은 기회마저 놓치며 불안하게 출발했다.

 

 

 

하지만 홀란은 홀란이었다. 두 번의 페널티킥 실축에도 전혀 흔들리지 않고 전반 27분 첫 골을 시작으로 헤더로만 두 골을 추가하며 해트트릭을 완성했다. 지난 몰도바전 5골에 이은 2경기 연속 해트트릭이다.

 

이날 세 번째 골로 홀란은 A매치 46경기 만에 51호 골을 기록, 역대 최소 경기 50골 돌파라는 대기록의 주인공이 됐다. 종전 기록 보유자였던 해리 케인(71경기 50골)의 기록을 무려 25경기나 앞당긴 경이적인 페이스다.

 

‘홀란 보유국’ 노르웨이는 거칠 것이 없었다. 이스라엘전 승리로 예선 6전 전승(승점 18)을 질주하며 2위 이탈리아(승점 12)와의 격차를 6점으로 벌렸다. 조 1위에게 본선 직행 티켓이 주어지는 만큼,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이후 28년간 이어진 월드컵 잔혹사를 끊어낼 절호의 기회를 잡았다.

 

'쓴소리' 한동훈에게 尹 "총살"? 10월 1일 관저의 진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자신을 '총으로 쏴서라도 죽이겠다'고 발언했다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법정 증언에 대해 "참담하고 비통하다"는 심경을 밝혔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해당 주장이 "사실이 아니다"라며 즉각 반박하고 나섰으나, 전직 대통령의 극단적 발언이 법정에서 공개되면서 정치권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파문의 시작은 3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증언이었다. 곽 전 사령관은 지난해 10월 1일 대통령 관저에서 열린 만찬 자리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며 충격적인 내용을 공개했다.곽 전 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이 한동훈과 일부 정치인들을 호명하면서 잡아 오라고 했다"며, "총으로 쏴서라도 죽이겠다고 했다"고 증언했다. 당시 만찬에는 곽 전 사령관 외에도 복수의 군 관계자들이 참석했던 것으로 알려져, 발언의 진위 여부를 두고 논란이 가열될 전망이다.이 같은 증언이 보도되자 한동훈 전 대표는 3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즉각 입장을 표명했다. 한 전 대표는 "참담하고 비통하다"고 짧게 심경을 밝히면서도, 해당 발언이 나왔다고 지목된 시점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한 전 대표는 "10월 1일 무렵은 제가 여당 대표로서 당과 정부의 성공을 위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비공개로 쓴소리를 요청하고 있을 때였다"고 밝혔다. 그가 비공개로 요청했던 내용은 ▲의료사태 해결 ▲김건희 여사 비선에 대한 단속 ▲김 여사에 대한 민심을 반영한 특별감찰관 임명 등이었다.이는 당시 한 전 대표가 당 대표로서 대통령실과 정부에 대해 쓴소리를 아끼지 않으며 일종의 긴장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한 전 대표가 공개적으로 '참담함'을 드러냄에 따라,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악화설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반면,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은 곽 전 사령관의 증언 직후 입장문을 내고 "해당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력히 부인했다.윤 전 대통령 측은 곽 전 사령관의 증언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입장문에서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은 그간 일관성이 부족하고 발언이 자주 바뀌어 온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해당 내용이 사실인지 매우 의문"이라고 지적했다.이어 "오늘도 '한동훈 관련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고 하다가 곧바로 말을 바꾸는 등 본인이 직접 들은 것인지조차 불분명한 태도를 보였다"며, 곽 전 사령관의 증언이 명확하지 않음을 강조했다.이번 사건은 전직 대통령과 유력 정치인 간의 갈등이 극단적인 발언을 통해 수면 위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정치권에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전망이다. 특히 한 전 대표가 차기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이 향후 정치 행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