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줄 서도 못 산다는 '이 굿즈', 연매출 300억 '대박'의 비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의 자체 브랜드 '뮷즈(MU:DS)'가 역대급 흥행 가도를 달리며 K-컬처의 새로운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재단에 따르면 '뮷즈'는 올해 들어 8월까지 누적 매출 217억 원을 기록하며 이미 지난해 연간 총매출액인 210억 원을 가뿐히 넘어섰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세가 연말까지 이어진다면, 브랜드 역사상 최초로 연 매출 300억 원이라는 기념비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016년 출시 첫해 매출이 61억 원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불과 몇 년 만에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문화 상품 브랜드 중 하나로 완벽하게 자리매김한 셈이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배경에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전 세계적인 흥행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작품의 인기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관련 '뮷즈' 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것이다. 재단 측에 따르면 '케데헌' 관련 상품들은 출시와 동시에 연일 '오픈런'과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는 '뮷즈'가 단순한 박물관 기념품을 넘어 MZ세대의 문화적 취향을 저격하는 '힙한' 아이템으로 급부상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현상이다. 전통 유물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디자인이 새로운 소비층의 구매 욕구를 강력하게 자극한 것이다.

 


국내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뮷즈'는 이제 본격적인 세계 무대 진출의 닻을 올린다. 그 첫 번째 신호탄으로 오는 11일, 홍콩의 대표적인 문화 창작 허브인 PMQ에 '뮷즈 상설홍보관'을 개관하고 글로벌 소비자들과의 첫 만남을 가진다. 이는 '뮷즈'가 세계 시장에 공식적으로 첫선을 보이는 자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홍보관에서는 반가사유상, 백제금동대향로, 청자, 나전 등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모티브로 한 7개 주제, 총 74종의 상품을 선보이며 K-컬처의 새로운 얼굴을 알릴 예정이다. 특히 개관일에는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기념하여 열리는 홍콩 최대 한국문화축제 '한국광장 2025'와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홍콩을 시작으로 '뮷즈'의 글로벌 영토 확장은 북미와 유럽으로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오는 11월에는 미국 스미소니언 국립아시아미술관에서 열리는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품 특별전과 연계한 특화 상품을 선보이며 북미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같은 달 뉴욕에서 개최되는 '2025 한류박람회'에도 참가하여 현지 바이어와 소비자들에게 '뮷즈'의 매력을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나아가 2026년에는 유럽 시장 진출까지 계획하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 정용석 재단 사장은 "'뮷즈'를 통해 전 세계에 한국 문화의 위상을 높이겠다"며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토트넘 '무동상' 원칙 깼다…첫 주인공은 '무조건' 손흥민, 이유는?

 오랜 기간 경기장 외부에 선수 동상을 세우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해왔던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토트넘 홋스퍼가 마침내 정책을 전면 수정하고 구단 레전드를 기리기 위한 동상 건립 계획에 시동을 걸었다. 라이벌 아스날이 티에리 앙리, 데니스 베르캄프 등 전설들의 동상을 세운 것과 대조적으로 '무동상 정책'을 유지해왔던 토트넘의 변화는 시즌 초, 구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로 꼽히는 빌 니콜슨의 이름을 딴 '빌 니콜슨 게이트'를 복원하면서부터 감지됐다. 선수와 감독으로 모두 구단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그의 업적을 기리는 것을 시작으로, 구단 CEO는 서포터즈와의 만남에서 "더 많은 전설들의 동상을 세울 계획이며, 이는 구단의 장기적인 비전이 될 것"이라고 공식화하며 팬들의 오랜 염원에 화답했다.구단의 발표에 팬들의 시선은 단 한 사람, '살아있는 전설' 손흥민에게로 향하고 있다. 2015년 입단 이후 9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토트넘 유니폼을 입고 454경기에 출전해 173골 101도움을 기록한 그는 구단 역사상 다섯 번째로 많은 골을 넣은 공격수이자, 450경기 이상 출전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한 단 4명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다. 특히 해리 케인과 함께 '손케 듀오'로 불리며 프리미어리그를 호령했던 그의 발자취는 리그에서만 127골 77도움이라는 압도적인 기록으로 남아있다. 팬들은 빌 니콜슨, 지미 그리브스 같은 과거의 영웅들과 함께 손흥민을 현대 토트넘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인물로 주저 없이 꼽고 있다.손흥민의 가치는 단순히 기록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그는 주장 완장을 차고 팀의 17년 무관 설움을 끊어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25년 5월, UEFA 유로파리그 결승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고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순간, 그가 흘린 눈물은 토트넘 팬들에게 '구원자'의 상징으로 각인됐다. 이뿐만 아니라 2020년 전 세계 축구 팬들을 열광시킨 번리전 원더골로 FIFA 푸스카스상을 수상했고, 2021-2022시즌에는 아시아 선수 최초로 프리미어리그 득점왕(23골)에 오르며 개인의 영광과 구단의 위상을 동시에 드높였다. 수많은 동료들이 우승 트로피를 찾아 팀을 떠나는 동안에도 그는 묵묵히 자리를 지키며 구단의 심장이자 정신적 지주로 활약했다.팬들의 열망은 이제 '손흥민 동상 건립'이라는 구체적인 요구로 번지고 있다. 토트넘 팬 커뮤니티와 공식 포럼에는 "과거의 전설이 니콜슨이라면 현재의 전설은 손흥민", "트로피를 찾아 떠난 케인보다 그가 먼저 동상으로 세워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봇물처럼 터져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과거 팀 동료였던 히샬리송까지 자신의 SNS에 AI로 만든 손흥민 동상 이미지를 게시하며 "제발, 스퍼스(Please, Spurs)"라는 글을 남겨 이 논의에 불을 지폈다. 구단 역시 그의 LAFC 이적을 발표하며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하나이자 진정한 클럽의 상징"이라는 극찬을 보낸 바 있다. 손흥민의 동상이 언제 세워질지는 미지수지만, 그의 이름이 이미 구단의 역사 그 자체가 되었음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