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노벨상 안 주면 관세 폭탄?… 트럼프의 ‘예측불가 보복’ 시나리오에 갇힌 노르웨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여부를 둘러싸고 노르웨이 전체가 전례 없는 긴장감에 휩싸였다. 현지시간으로 10일 발표될 수상자 명단에 트럼프 대통령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그가 보일 예측 불가능한 반응과 그로 인한 외교적 후폭풍을 우려하며 노르웨이 당국이 대비 태세에 들어갔다고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노르웨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수상 불발에 대한 불만을 품고 노골적인 정치·외교적 보복 조치에 나설 가능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외교적 마찰을 넘어 실질적인 국가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노르웨이 현지에서 거론되는 보복 시나리오는 구체적이고 위협적이다. 노르웨이의 저명한 언론인 하랄드 스탕알레는 트럼프 대통령이 보복에 나설 경우, 노르웨이산 제품에 대한 고율의 관세 부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분담금의 대폭 인상 요구, 심지어 노르웨이를 ‘적대국’으로 규정하는 극단적인 조치까지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을 “워낙 예측하기 어려운 인물”이라고 평가하며, “두렵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매우 난처하고 곤란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노벨상이라는 상징적인 이슈가 한 국가의 안보와 경제를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 큰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노벨위원회의 독립적인 운영 방식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다. 노르웨이 사회주의좌파당의 키르스티 베르그퇴 대표는 “노벨위원회는 정부로부터 완벽하게 독립된 기관이며, 정부는 수상자 결정에 어떠한 영향력도 행사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도, “문제는 트럼프가 과연 그 사실을 이해하고 받아들일지 모르겠다는 것”이라며 깊은 우려를 표했다. 실제로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재 성과로 내세우는 ‘가자지구 휴전 합의’가 발표되기 이틀 전인 지난 6일, 이미 올해의 수상자 선정을 모두 마쳤다고 공표했다. 이러한 결정 시점과 위원회의 독립성을 고려할 때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수상 가능성을 매우 희박하게 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에 대한 집착은 식을 줄 모르고 있다. 그는 1기 집권 시절부터 꾸준히 노벨상에 대한 강한 열망을 드러내 왔으며, 최근에는 “9개월 만에 8개의 전쟁을 끝냈다”고 주장하며 자신이 역사상 그 누구보다 수상 자격이 충분하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일각에서는 최근 극적으로 타결된 가자지구 1단계 휴전 합의 역시 노벨상 수상을 염두에 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압박이 작용한 결과라는 해석까지 나온다. 이처럼 수상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수상에 대한 당사자의 기대와 집착은 최고조에 달한 아이러니한 상황 속에서 노르웨이는 그저 폭풍이 무사히 지나가기만을 바라며 노심초사하고 있다.

 

“내가 새 역사다”…홀란, 케인 기록 25경기 단축한 ‘A매치 최소 경기 50골’

 ‘괴물 공격수’ 엘링 홀란(맨체스터 시티)이 페널티킥을 두 번이나 실축하고도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기이한 활약으로 조국 노르웨이를 28년 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 문턱까지 올려놓았다. 이 경기에서 홀란은 해리 케인을 넘어 A매치 역대 최소 경기 50골이라는 새로운 이정표까지 세웠다.노르웨이는 12일(한국시간) 열린 이스라엘과의 2026 북중미 월드컵 유럽 예선 I조 7차전에서 5-0 대승을 거뒀다. 경기의 주인공은 단연 홀란이었다. 그는 전반 3분, 키커로 나선 페널티킥이 골키퍼에게 막혔고, 골키퍼가 먼저 움직였다는 판정으로 다시 얻은 기회마저 놓치며 불안하게 출발했다. 하지만 홀란은 홀란이었다. 두 번의 페널티킥 실축에도 전혀 흔들리지 않고 전반 27분 첫 골을 시작으로 헤더로만 두 골을 추가하며 해트트릭을 완성했다. 지난 몰도바전 5골에 이은 2경기 연속 해트트릭이다.이날 세 번째 골로 홀란은 A매치 46경기 만에 51호 골을 기록, 역대 최소 경기 50골 돌파라는 대기록의 주인공이 됐다. 종전 기록 보유자였던 해리 케인(71경기 50골)의 기록을 무려 25경기나 앞당긴 경이적인 페이스다.‘홀란 보유국’ 노르웨이는 거칠 것이 없었다. 이스라엘전 승리로 예선 6전 전승(승점 18)을 질주하며 2위 이탈리아(승점 12)와의 격차를 6점으로 벌렸다. 조 1위에게 본선 직행 티켓이 주어지는 만큼,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이후 28년간 이어진 월드컵 잔혹사를 끊어낼 절호의 기회를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