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먹방'부터 '꼰대'까지…579돌 한글날, 세계를 물들인 한글의 빛과 그림자

 "팅갈 민따 마앞 트루스 등으린 락얏 아파 수샇냐(사과하고 국민 말 좀 듣는 게 뭐가 그렇게 어렵냐)"

 

한글로 쓰였지만, 한국인은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이 문장은 인도네시아 네티즌들이 정부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한글 암호'다. 제579돌 한글날을 맞아, 지구촌 곳곳에서 때로는 저항의 도구로, 때로는 문화 보존의 방주로, 때로는 가장 '힙한' 신조어로 사용되는 한글의 놀라운 여정을 조명한다. 최근 인도네시아에서는 국회의원 특혜에 반대하는 시위가 격화되자, 네티즌들이 정부의 감시를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글은 표음문자이면서도 초성·중성·종성 체계로 외국어 발음을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고, 라틴 알파벳과 다른 독특한 모양 덕분에 자동 검열을 피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한글을 이용해 소셜미디어에서 자유롭게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글은 소수 민족의 언어를 지키는 '방주' 역할도 해냈다.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은 고유 언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2009년 한글을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 한글이 자신들의 언어 발음과 매우 유사하게 표기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제 찌아찌아족은 한글로 된 교과서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거리 곳곳에서 한글 간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미국 뉴욕타임스(NYT)에서도 민족 정체성 보존의 성공 사례로 주목한 바 있다. 한글 단어는 그 자체로 세계적인 신조어가 되기도 한다. '먹방(Mukbang)'은 이미 세계 공용어가 됐고, K팝 팬들은 '오빠(Oppa)', '막내(Maknae)'처럼 미묘한 뉘앙스를 살리기 위해 우리말을 그대로 사용한다. 일본의 젊은 세대는 '진짜(ジンチャ)'를 '정말'이라는 뜻의 신조어처럼 활용한다.

 

 

물론 빛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영국 BBC는 '꼰대(Kkondae)'를 '오늘의 단어'로 선정하며 한국의 경직된 위계 문화를 조명했고, NYT는 '갑질(Gapjil)', '재벌(Chaebol)' 같은 단어를 통해 한국 사회의 그늘을 짚기도 했다.

 

차재은 경기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한글은 '지혜로운 사람이면 나절,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이면 깨우친다'고 할 만큼 배우기 쉬운 과학적인 문자"라며, "한류의 영향력, 한국의 민주적 시위 문화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한글의 세계적 확산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결국 체력 방전…'철의 여인' 안세영, 불멸의 12승 대기록 도전 중단 선언

 '배드민턴 여제' 안세영이 세계 배드민턴 역사를 새로 쓸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스스로 내려놓았다. 올 시즌 9개의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압도적인 시즌을 보내고 있는 그는 지난 28일, 프랑스오픈 우승을 마치고 귀국한 자리에서 남은 시즌 운영 계획을 밝혔다. 그는 "유럽 일정을 잘 마쳐 홀가분하다"면서도 "휴가보다는 재정비의 시간을 가지며 호주 오픈과 파이널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하며, 숨 가쁘게 달려온 일정에 쉼표를 찍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는 오는 11월 일본에서 열리는 구마모토 오픈(슈퍼500)에 불참하겠다는 의미로, 역사적인 대기록 달성보다는 컨디션 조절과 재충전을 선택한 것이다.안세영의 2025년은 그야말로 '역대급'이라는 말로도 부족할 만큼 눈부셨다. 지난 26일 막을 내린 프랑스오픈 결승전에서 세계 2위 왕즈이를 단 42분 만에 완파하며 시즌 9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으로 그는 프랑스오픈 역사상 최초로 3회 우승을 달성한 여자 선수가 되는 영예를 안았다. 올 시즌 참가한 13개 국제대회 중 9개 대회에서 정상에 오르는 경이로운 승률을 기록했으며, 특히 최고 등급 대회인 슈퍼 1000 시리즈 3개(말레이시아, 전영, 인도네시아)와 그다음 등급인 슈퍼 750 시리즈 5개(인도, 일본, 중국, 덴마크, 프랑스)를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단일 시즌에 열린 6개의 슈퍼 750 시리즈 중 5개를 제패한 것은 남녀를 통틀어 세계 배드민턴 역사상 전례가 없는 대업이다.이러한 압도적인 페이스 덕분에 안세영은 단일 시즌 최다 우승이라는 대기록 경신까지 가시권에 두게 되었다. 현재 이 부문 최고 기록은 2019년 일본의 전설적인 남자 선수 모모타 겐토가 세운 11회 우승이다. 안세영에게는 구마모토 오픈, 호주 오픈, 그리고 왕중왕전 격인 월드투어 파이널까지 세 개의 대회가 남아있었다. 만약 이 세 대회를 모두 우승했다면 총 12승으로 모모타의 기록을 넘어서는 새로운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수십 년간 깨지기 힘든 불멸의 기록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았기에 팬들의 기대감은 최고조에 달했다.하지만 안세영의 선택은 '신기록'이 아닌 '미래'를 향했다. 그는 구마모토 오픈 불참을 선언하며 대기록 도전을 사실상 멈췄다. 1월부터 쉼 없이 전 세계를 누비며 달려온 강행군에 체력이 고갈된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그는 "일정이 조금 빡빡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솔직한 심정을 털어놓았다. 이로써 안세영은 남은 두 대회(호주 오픈, 월드투어 파이널)에서 모두 우승하더라도 11승으로 모모타와 타이기록을 세우는 데 만족해야 한다. 역사적인 12승 달성 기회를 스스로 접은 것은 아쉬운 일이지만, 눈앞의 기록보다는 더 길고 높은 곳을 바라보는 '세계 최강'의 현명한 자기 관리와 안목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